•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Management Policy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8초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구축을 위한 매뉴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al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y Constructing at Disaster Site)

  • 윤유상;서상욱;이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38-46
    • /
    • 2017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관리 체계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마우나리조트, 세월호 사건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발표 등 재난안전과 관련하여 많은 정책적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재난거점병원을 확충하는 등 시설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인구 당 응급의료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며, 재난 시 다양한 기관의 미흡한 협조체계로 효율적 재난관리가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 요구되는 응급의료시설의 효율적 구축과 체계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선진국 대비 국내 응급의료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유형 및 상황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방정부 재난안전 거버넌스 -서울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Local Government's Disaster Safety Governance using Big Data)

  • 김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61-67
    • /
    • 2017
  •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 재해 테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 하고 효과적인 재난안전관리체계가 구축 운영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각 재난관리 및 대응에 관련된 중앙부처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개인 등 모두가 상호 명확한 역할분담 하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복구를 위한 통합업무 수행체계가 이행되어야 할 것이다. 서울시의 경우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난의 증가 가능성과, 테러위협의 확대, 도심의 노후화 및 산업고도화에 의한 대형재난 발생 위험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재난 예방과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재난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관점을 적용하여 서울시의 부처간 조직체계 및 실행과정, 대응단계의 체계화를 중심으로 재난 대응체계와 재난현장에서의 지휘체계 등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경찰의 재난위기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police disaster crisis management system)

  • Chun, Yongtae;Kim, Moonkw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56-569
    • /
    • 2015
  • 국민의 75%가 정부의 재난관리 정책을 비판하는 등 세월호 참사와 같은 대형 재난 관리실패는 정부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와 같은 재난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재난안전에 있어 골든타임 확보가 중요하며, 주민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경찰의 재난 위기관리 능력 개선이 필요하다. 재난 안전 역시 경찰 임무의 본질로서 다음과 같이 국가위기관리 단계별로 경찰의 재난안전 관리 시스템의 강화가 필요하다. 첫째, 예방단계에서는 과거 다중운집행사의 경우 수익성 행사의 경우 경찰력을 투입하지 않았으나, 앞으로는 기준을 수익성이 아닌 위험성 여부로 판단해야 한다. 그동안 교통 소통이 우선이었으나 안전 중심으로 교통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화하고, 대형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수사 경찰은 비정상적 관행과 건축불법 하도급을 근절하며, 정보 경찰은 '안전'이라는 주제에 대한 정보 수집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대비단계와 관련 최근 경찰관 대상 설문 조사 결과 경찰관의 72%는 안전관리와 경찰이 업무연관성이 없다고 응답하는 등 재난안전에 대한 인식도 개선이 시급하므로 재난 안전 교육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위기상황에 대한 민간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민 관 경재난 안전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대응단계에서 신속한 초동 대응을 위해 재난 통신망을 일원화하고, 경찰기관 상황실에 실시간 영상정보망을 도입해야 하며, 넷째, 복구단계에서는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복구지원팀을 운영해야 한다.

일반재해 발생시 산재처리 방안연구 -건설현장 사고사례를 중심으로- (General Disaster Scattered Ac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Site Accident Cases-)

  • 유용태;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33
    • /
    • 2015
  • Recentl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anagement is a trend to strengthen all men death rate than the accident rate. Points reduction in the accident rate change orders related to credit rating score to +2 points in his plans as part of +1 poi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ancy linger RISK treatment in the event of a disaster site and fiction treatment to achieve accident-free during processing the scene interspersed with equity issues have been raised. In general disaster for the problem in the first two cases occurs when abnormal process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e manager positions dismissal policy, each division headquarters itself, interspersed disasters performance compared to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refrain, processing expenses in accordance with the composition of untreated industrial accident, costs and burdens partners FTC,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ssues raised, such as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response to domestic social practice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site practices and prevention measures should be evaluated with respect to what.

GIS를 이용한 도시방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대구광역시 소방지리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 (Fire Emergency Response System Based on GIS - Daegu Metropolitan City FGIS -)

  • 백동승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09-118
    • /
    • 2004
  •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한 재난사례들을 살펴보면 사전예방과 관리보다는 상황이 발생하고 난 이후에 일어나는 현장처리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재난이 발생한 후에도 그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사전예방에 활용하지 못함에 따라 동일한 형태의 재난이 반복되는 상황을 경험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재난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재난관리정보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한 도시방재시스템의 구축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서 구축한 소방지리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소방지리정보시스템의 구축효과 및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

행정학에서 재난관리분야의 학문적 연구경향 (Trends of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 안혜원;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83-190
    • /
    • 2007
  •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행정학 연구가 전개되어 온 과정에서 재난관리 분야의 연구경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재난관리 연구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학문적 발전을 위한 재난관리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동안의 재난관리 분야의 연구경향을 살펴본 결과, 첫째 시대별 변화추이에서 2000년도 이후의 재난관리 분야 연구 논문이 전체의 81.8%를 차지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둘째 연구 방법적인 면에 있어 사례연구가 47.7%를 차지함으로써 사례연구에 치중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연구목적의 경우 정책대안의 제시 논문이 79.5%로 가장 많았으며, 이론검증의 경우 13.6%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학문적 기반 형성을 위해서는 이론의 정립 및 검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넷째 재난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2001년 이후, 사회적 재난 및 사회적 인적 자연적 재난의 복합적인 연구가 각각 27.3%, 50%로써 매우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정책대상별로 살펴보았을 때 중앙 지방정부 민간부문 및 NGO등의 통합 적 재난관리 운영에 대한 연구가 5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재난관리단계별 변화추이에서는 사전전략(예방 준비), 사후전략(대응 복구) 전 과정에 있어서의 연구가 56.8%로 가장 많으며, 단계적 구분에 있어서는 사후전략에 더욱 치우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해연보 기반 지역특성을 반영한 강풍피해예측함수 개발 : 경상지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Estimation Functions for Strong Winds Damage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Disaster Annual Reports : Focused on Gyeongsang Area)

  • 노정래;송창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23-236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예방-대비-대응-복구) 중 대비차원으로 활용하고자 강풍피해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강풍피해예측함수는 재해연보이력, 피해당시 기상자료 그리고 지역특성을 고려하였다. 기상자료는 기상청에서 관측한 풍속과 기온, 피해이력에 해당하는 통계자료는 재해연보, 그리고 지역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요소로는 재해연보 상 수록된 복구비, 인구, 비닐하우스 면적, 농가수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함수식은 과거에 발생한 강풍피해이력을 기반으로 예측되는 기상인자와 지역특성을 반영하였으며, 단시간에 피해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강풍피해예측함수는 정책결정자들의 의사결정, 비상인력 및 방재자원의 배치 등과 같은 효율적인 재난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대응에서 발신자 특성과 재난 메세지가 구성원의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중관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nder Characteristics and Disaster Messages on Members' Response Behavior in Response to COVID-19: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Relations)

  • 정기식;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52-362
    • /
    • 2023
  • 연구목적: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위기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평상시 어떤 활동들이 기업에 요구되는지를 탐색하여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L기업에 재직 중인 종사자를 대상으로 회사의 코로나 19 대응 과정에서 느낀 재난 대응부서, 재난 메시지와 평상시 회사에 대한 인식 및 종사자의 반응행동 정도에 대해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신자 특성은 구성원의 행동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기업 내부의 재난 대응 메시지는 구성원의 규범적 행동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재량적 행동에는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발신자 특성과 재난 대응 메시지는 공중관계성에 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공중관계성은 발신자 특성과 구성원의 재량적 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평상시 기업 내부의 재난 컨트롤타워에서는 재난 대응 메시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며, 공중관계성 강화를 위한 구성원 친화적인 기업문화 구축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

효율적 목조 문화재 방재관리를 위한 방재설비 데이터베이스구축 (Development of Safety Equipment Database for Effective Management in Wooden Cultural Heritage)

  • 김동현;이지희;이명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46-53
    • /
    • 2016
  • 우리나라 목조문화재는 화재 및 풍수해 등의 재해에 취약하므로 평상시 효과적인 안전 예방 조치와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문화재청에서는 목조문화재 508개를 대상으로 재난방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508개소에 설치된 재난방재시스템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는 힘들며, 관련자들의 자료공유는 물론, 각각의 재난방재시스템의 유지 관리가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예방적 관리의 기초단계로서 구축된 재난방재시스템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주요 제원, 수량, 위치에 관한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방재설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것은 추후 종합적인 문화재 안전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이며 중요한 정보이며, 다음 단계의 문화재 안전관리 시스템을 표상화 할 수 있는 기본 시스템이다.

소방 방화복 교차오염 저감 및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Delphi Study on the Reduction of Cross-contamination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on Firefighting Protection Suit)

  • 김수진;함승헌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2-194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s and recommends the priority of policy implementation to improve the fire protection clothing management system used by firefighters and the reduction of cross-contamination from contaminated clothing at the scene of a fire. Methods: It consisted of 7 experts and conducted three interviews and two modified Delphi surveys. Throug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 plan to reduce cross-contamination of fire suits and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was first derived. An improvement plan was presented in the four areas including resources, management, fire protection related work, and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priority of policy implementation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racticality of the policy at the same tim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priority was education on the health effects of pollutants at the disaster scene for firefighters, and the second priority was the addition of SOP for the primary decontamination of on-scen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preparation for the health effects of the disaster scene, and education for fire suppression and rescue workers. The next step wa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fire suits and develop a training course for systematic operation. Conclusions: This findings could be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mid- to long-term firefighting policies for the systematic operation and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fire protective su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