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Damaged Area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초

대형재난발생에 따른 피해지역주민의 대응과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2002년 태풍 ${\ulcorner}RUSA{\lrcorner}$의 주요피해지역을 중심으로 - (The Investigation Research about the Countermeasure and Demand of Residents which are Damaged from the Large Disaster Occurrence - the focus of the area damaged by typhoon RUSA in 2002-)

  • 백민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15-125
    • /
    • 2004
  • This research is inquired to the residents in Kimcheon, Kyongsang-Boukdo and in Kangnung, Yangyang, Kangwon-Do. The residents were damaged by typhoon ${\ulcorner}RUSA{\lrcorner}$ in 2002, which occurred the biggest damage in our country's natural disaster. The result of inquiry is arranged in this research. Inquiry contents arrange a current events points through the inquiry. which is about the resident's demand and confrontation caused by a big disaster occurrence; the damage present condition which is caused by typhoon ${\ulcorner}RUSA{\lrcorner},$ the countermeasure condition on damage occurrence, the necessity content of area disaster information, the difficulty factor of damage restoration,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 and relation group's countermeasure which is about typhoon ${\ulcorner}RUSA{\lrcorner},$ the mental and body problem after disaster occurrence. And inquiry contents present th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the area prevention of disaster plan hereafter.

UAV를 활용한 건물철거 지역 변화탐지 (Change Detection of Building Demolition Area Using UAV)

  • 신동윤;김태헌;한유경;김성삼;박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5_2호
    • /
    • pp.819-829
    • /
    • 2019
  • 붕괴사고가 발생하였을 시, 피해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며 피해면적 산출, 대응 및 복구 계획 수립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선 피해지역에 대한 정확한 탐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붕괴사고 피해탐지를 위해 신속하고 실시간 대응이 가능한 Unmanned Aerial Vehicle(UAV)를 활용하여 피해지역 탐지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재개발 사업이 착수되면서 주택 및 아파트의 철거가 진행 중에 있는 울산 중구 B-05 주택재개발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이 지역은 건물의 철거 모습이 붕괴된 상태와 유사하고 철거 전후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으며, 2019년 5월 17일, 7월 9일 각각 UAV 영상을 획득하였다. 건물의 붕괴 전후 영상에서 변화지역을 피해지역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를 위해 대표적인 변화탐지 기법인 분광벡터 변화분석 기법(Change Vector Analysis)과 SLIC(Simple Linear Iterative Clustering)기반 superpixel 기법을 이용하였다. 피해지역을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해 비관심지역(식생)을 ExG(Excess Green)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제거해주었고, 변화탐지가 된 객체들 중 면적으로 인한 오탐지가 된 객체들은 최소면적을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제거해주었다. 그 결과 변화지역 탐지의 전체결과는 95.39%를 나타냈으며, 추후 붕괴사고에 대한 대응 및 복구대책 및 피해액 산출 등 다양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사진을 이용한 산불 피해 조사 방안 (A Plan for Estimation of Damaged Area from Forest Fire Using Digital Photographs)

  • 정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50
    • /
    • 2010
  • 우리나라는 국토에서 산림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산불은 방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취급된다. 산불 피해 면적 산정은 향후 복원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예산 수립이나 물량 산출에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정확하게 산정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산불이 발생되면 GPS를 이용하여 피해 면적을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산불 피해 면적을 산정하는 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산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산불 담당 기관인 산림청은 전국을 대상으로 하여 충분한 수의 산림 헬리콥터를 운용하고 있다. 따라서 산불 피해가 발생한 후에 산림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피해지역을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중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스냅 촬영한 산불 피해 지역 사진을 이용하여 그 피해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처리 방법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적합한 방안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에 디지털 사진을 이용한 산불 피해 조사 시스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해상도 공간영상을 이용한 자연재해 피해조사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velopment of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using High Resolution Spatial Images)

  • 김태훈;김계현;남기범;심재현;최우정;조명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7-6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는 고해상도 영상과 GIS 기술을 활용하여 광역적 자연재해 피해 조사를 위한 피해조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2008년 7월 집중호우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한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선정하였으며, 시스템 시범적용을 위해 대상지역 중 가장 피해가 큰 춘양면 약 $60km^2$을 중심으로 GIS DB를 구축하였다. GIS DB는 춘양면 일대의 피해 전, 후 항공사진 및 위성 영상과 1:5,000 수치지형도, 1:1,300 연속지적도를 편집 가공하였다. 피해조사시스템은 VB.NET 2005와 공간 연산을 위해 ArcObject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MS-SQL을 사용하여 정보전송 및 동기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세부 프로세스는 피해 전, 후 항공 위성영상을 비교하여 피해지역을 파악하고, 제반 DB와 중첩분석을 통해 해당 피해항목의 피해규모와 피해추정액을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하였다. 고해상도 영상기반의 자연재해 피해조사시스템은 광역적 피해지역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피해정보를 소수의 전문 인력을 통해 신속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복구예산의 조기편성 및 응급대응책 마련에 효율적이다. 또한 피해정보의 손쉬운 관리와 전산화된 데이터를 통해 피해예방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활용 가능 할 것이라 생각되며, 궁극적으로 IT 기반의 유비쿼터스 방재시스템 개발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추후 더욱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 산출된 피해정보의 전자재해대장 연계를 통한 지속적인 방재 DB 구축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한반도에서 발생되는 기상재해 분석 (An Analysi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Occurre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종길;장은숙;최효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13-619
    • /
    • 2005
  • Recently, we are suffered enormous loss from a natural disaster and making an effort to prepare measures for dealing with disasters. This study shows the major causes of natural disasters and stricken area with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Central Disaster Relief Center records during 1987-2003 and classifies natural disasters according to the causes and damaged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most damaged area were Gangwon, Gyeongnam and Gyeongi province as a result of a typhoon and a localized heavy rain. To establish an effective disaster measure for these area, detailed prevention plans should be established by its causes after investigating precise regional damage data analysis.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자연재해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Natural Disaster Using Remote Sensing Data)

  • 박병욱;김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7-24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홍수 및 가뭄 피해지역 에 대한 객관적이고 효율적 인 조사방법으로서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흔적분석의 타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각 피해시기에 관측된 위성자료와 이와 비교할 평시의 위성자료에 대하여 각각 토지피복분류 작업을 실시하였고, 중첩분석을 통하여 홍수 및 가뭄흔적을 파악하였다. 이후 현지조사 자료와 비교 분석함으로서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대체적으로 홍수흔적 분석은 당해 연도의 자료만으로도 어느정도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그 분석결과가 현지조사와 상당히 잘 일치하고 있고, 현지조사시 파악하지 못했던 지역들도 상당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홍수흔적 조사에서는 발생 후 수개월 지나 실시하는 현지조사보다 위성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훨씬 정확하고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가뭄흔적 분석에 있어서는 경년변화의 분석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수자원의 고갈현상 파악은 가능하나 그 변화가 매우 미미하게 감지되며, 농작물의 피해는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지만 실질적 인 피해조사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재난 피해지역 사회적 경제조직의 역할과 온라인 기부 시스템 -동일본 대지진 피해지역을 중심으로- (Roles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nd Online Donation System at Disaster Area: Focusing on East Japan Earthquake Damaged Area)

  • 네모토 마사쯔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19-128
    • /
    • 2014
  • 재난 피해지역 사회적 경제조직의 역할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기부 또한 늘고 있다. 이재민에게 직접 전달되는 의연금과 달리 피해지역 지원활동의 자금으로 전달되는 새로운 흐름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의연금에 치중되어 온 국내 기존연구에 더하여 본 논문은 사회적 경제조직 및 기부가 증가하고 있는 일본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일본 대지진 피해지역 사회적 경제조직과 온라인 기부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었고, 분석결과, 서비스 이용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건전한 사회적 경제 시장 형성 및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바우처 방식과, 지원자와 지원을 받는 자 간의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는 시민기금이라는 두 가지 온라인 기부방식의 유효성이 제시되었다.

STUDY ON PREPARING FOREST DISASTER MAP USING GISANDRS

  • Jo Myung-Hee;Song Wan-Yo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687-690
    • /
    • 2005
  • Rec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kinds of damages in forest area such as forest fires, forest pest, landslide so that the efficient methods to mange those information and the way to face them are deadly needed. In this study, there were preparing the various vegetation index map and comparing them with the field surveying the tried to figure out which vegetation index algorism is the best proper to present forest fire damaged area. These all were based on Landsat ETM+ satellite image (2000.10.16).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high correlation algorism among the various vegetation indexes and then construct the forest fire disaster map, the case of forest fires damaged area.

  • PDF

풍수해에 의한 농촌지역 피해시설 현황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Damaged Facilities in Rural Area by Storm and Flood Hazard)

  • 임창수;오윤경;이승철;김은자;최진아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19-29
    • /
    • 2016
  • Disasters that occur most frequently in rural areas are drought, flood, damages from wind and cold weather. Among these, damages from storm and flood and drought are the main disasters and recently, these are occurring on a large scale due to unusual weather conditions. Under such circumstances, projects and researches on disasters in rural areas are under way but they are mostly targeting one area or making approaches focusing on repair facilities, maintenance project of facilities in small streams, and disaster management, so there have not been enough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of overall damaged facilities in the rural areas. Against this backdrop,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amaged facilities due to storm and flood in rural area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e data for policies needed for disaster recovery planning and maintenance work of rural areas. For the analysis of damaged facilities due to storm and flood in rural areas, using the annual report on disasters issued by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and based on the occurrence rate of estimated damage in each city and district for the past 10 years(2004~2013), 8 areas with the highest number of occurrence and cost of damage were found from each province and target areas were selected. Then, regarding the selected target areas, the General Plan for Reducing Damages from Storm and Flood, which is the report on top-level plan for preventing disasters, was secured and the current status of damaged facilities were analyzed. After organizing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the tendency of damaged facilities due to storm and flood in rural areas, the items of damaged facilit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storm and flood damages, and risk factors were suggested. Based on this result,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follow-up researches, it is thought that disaster recovery planning and establishing the system of remodeling items necessary for maintenance work would be possible by analyzing damage investigation items recorded in additional researches on rural areas, researches on natural disasters, and recovery plan instructions and by conducting on-site investigation on the damaged villages from storm and flood in rural areas.

자연재난 복구비용 산정을 위한 기법 및 실용화 연구 (Recovery Cost Evalu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Index Assessment of Private Facilities Damaged by Natural Disaster)

  • 정우영;김성준;최현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67-73
    • /
    • 2009
  • 현행 국내의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 사유시설에 대한 지원은 자연재해대책법 등에 명시된 재난복구비 지원기준에 따라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행 복구지원기준의 경우 실제 품목별 단가조사 및 산정이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조사, 산정되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나 지금까지 실질적으로 수행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국내 복구비용 단가조사 및 산출근거 기준을 포괄적으로 진단하여 파생되는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사유시설의 복구비용 조사방법과 산정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복구지원 단가기준의 문제점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피해조사 품목별 지원기준을 조사, 부처별 실거래 단가의 현실화율을 산정하였고, 활용된 부처별 조사 데이터의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시험조사지역을 설정, 실제 현장단가를 조사,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된 분석결과 및 개선방안을 토대로 실제 공공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유시설 품목별 단가조사방법 및 산출기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