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saster Area

검색결과 1,513건 처리시간 0.023초

고해상도 공간영상을 이용한 자연재해 피해조사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velopment of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using High Resolution Spatial Images)

  • 김태훈;김계현;남기범;심재현;최우정;조명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7-6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는 고해상도 영상과 GIS 기술을 활용하여 광역적 자연재해 피해 조사를 위한 피해조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2008년 7월 집중호우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한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선정하였으며, 시스템 시범적용을 위해 대상지역 중 가장 피해가 큰 춘양면 약 $60km^2$을 중심으로 GIS DB를 구축하였다. GIS DB는 춘양면 일대의 피해 전, 후 항공사진 및 위성 영상과 1:5,000 수치지형도, 1:1,300 연속지적도를 편집 가공하였다. 피해조사시스템은 VB.NET 2005와 공간 연산을 위해 ArcObject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MS-SQL을 사용하여 정보전송 및 동기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세부 프로세스는 피해 전, 후 항공 위성영상을 비교하여 피해지역을 파악하고, 제반 DB와 중첩분석을 통해 해당 피해항목의 피해규모와 피해추정액을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하였다. 고해상도 영상기반의 자연재해 피해조사시스템은 광역적 피해지역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피해정보를 소수의 전문 인력을 통해 신속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복구예산의 조기편성 및 응급대응책 마련에 효율적이다. 또한 피해정보의 손쉬운 관리와 전산화된 데이터를 통해 피해예방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활용 가능 할 것이라 생각되며, 궁극적으로 IT 기반의 유비쿼터스 방재시스템 개발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추후 더욱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 산출된 피해정보의 전자재해대장 연계를 통한 지속적인 방재 DB 구축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비탈면 배수로 설계기술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for Gutter Design Method in Sloping Area)

  • 이영대;김종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09-115
    • /
    • 2008
  • 호우 시 비탈면에서 배수로(측구 및 도수로)의 기능저하는 우수의 표토유입을 가속시켜 지반의 강도정수를 저하시키고, 도수 등에 의한 유수이탈은 비탈면 표토세굴을 유발하고 이는 2차적으로 경사지 직하류 유역에 재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하류부에서 하천범람에 따른 홍수재해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과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상류유역에서의 비탈면유실이나 세굴 및 부유물에 따른 침수문제 등에 대해서는 관심과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비탈면의 산마루측구나 도수로 등 배수로의 기능향상은 도시고지대와 같은 비탈면유역에서의 강우에 따른 재해방지를 위하여 해결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방에서의 강우와 재해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도시고지대에서의 재해방지를 위하여 비탈면에서의 지표수가 측구 등 배수로내로 잘 유하하고 도수로에서의 유수이탈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자료수집 및 분석과 모형 실험을 통하여 설계개선안을 얻었다.

도로경사와 연령별 보행속도 차이를 고려한 자연재난 대피소의 입지분석 - 서울시 사례분석 (The Spatial Location Analysis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for Considering Resistance of Road Slope and Difference of Walking Speed by Age - Case Study of Seoul, Korea)

  • 이소희;구신회;전영우;박영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77
    • /
    • 2015
  • 우리나라 대피시설의 종류는 재난유형별 대피계획에 따라 구분된다. 자연재난 대피의 경우, 시 군 구별로 수립되는 '안전관리계획'에 대피소의 입지 및 대피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그러나 인구수용이 용이하고 구조상 안전한 건축물을 지정하도록 되어 있을 뿐 대피소의 입지나 규모 등에 대한 정량적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실적인 대피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자연재난 대피소의 분포 및 대피면적에 대한 현황 분석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도로경사 등 지형요소와 연령별 신체능력의 차이는 도보 대피 시 신속한 대피경로 분석을 위한 주요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요소와 연령별 보행속도 차이를 고려한 3차원 기반의 최적 대피경로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기준 대피시간(7.5, 15, 30분)별 대피소 커버권역의 지역적 차이 분석을 통해 자연재난 대피소의 입지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인구 1인당 평균대피면적은 $0.45m^2$로 분석되었다. 이는 최소 대피면적을 $1m^2$로 가정했을 때 서울시 전체 인구의 45%만 수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기준 대피시간 7.5분 이내에 대피 가능한 인구비율은 서울시 전체 인구의 33%에 불과하였다. 셋째, 5~9세 어린이나 65세 이상 노인의 대피가능 인구비율은 15~49세 기준 보행속도 그룹에 비해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Probability of Street Blockade at a Large-scale Disaster in a Historic Preservation Area

  • Mishima, Nobuo;Ishimaru, Daisuke;Oh, Yong-Sun;Park, Sun Gyu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1-252
    • /
    • 2013
  • Most of the Historic Preservation Areas are very vulnerable to disast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uild probability of street blockade for evacuation routes planning from each house to an evacuation place at a large-scale disaster in such a historic preservation area. The study area is Hamanaka Machi Happongi Shuku in Kashima city, Saga Prefecture,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 preservation district of traditional buildings. To achieve this aim, we referred to the formula for probability of street blockade for normal city area made by Tokyo Fire Agency. We revised it, considering the width of street under 4 m, structure of houses along the street, and the distance from the house to main street with the width over 4 m. Then, we applied the revised formula to the study area.

  • PDF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안전교육방안 연구 - 인천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Safety Education Plan to Prevent Industrial Disaster - Focused on 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Incheon area -)

  • 이백현;정수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31
    • /
    • 2007
  • If you examine the Industrial Disaster Analysis Content that occurs every year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ndustrial disaster occurs because of manager's lack of safety and worker's unprepared safety education. Therefore effective safety education systems are needed to offer adequate knowledge and technology to the workers. On this research, to give an effective education way to decrease industrial disaster we administered to the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300 workplace in Incheon area to search actual condition of industrial disaster and to disclose a link between industrial disaster and industrial safety education. We put in effect on frequency study and examined x2 using SPSSWIN 10.0. On the research, the results shows that the industrial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are in effect regularly and the satisfaction are low. But the manager's satisfactions are high through safety education. So it shows that we need to find a way to put in effect safety education to satisfy the workers.

재난관리 영역에서 안전네트워크 체계화 모색 (Seeking Safety Network Organized in the Area of Disaster Management)

  • 이정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3-49
    • /
    • 2011
  • New governance in the area of disaster management(New Governance) of the Safety Building in the form of public-private network as required in this era, SWOT can provide a strategic way to build public-private partnership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a more efficient way. Between government agencies, private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for the network between the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mutual trust, and participation by the activation of the meaning of seeing places studied. Partnership for Disaster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settlement than if the exist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response system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functioning in reducing human and material damage is expected to contribute are getting out.

Hyper KANAKO 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피해지 분석 (Analysis of Debris Flow Affected Area Using Hyper KANAKO Model)

  • 강배동;전계원;김영환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51-59
    • /
    • 2021
  • 국토의 64%가 산지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는 하절기에 집중되어 있는 태풍과 국지성 호우로 산사태와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해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연구대상 지역은 2019년 10월 태풍 미탁에 의해 토석류 피해가 발생했던 지역으로 하류부에 위치한 주택이 전파되는 등 시설물에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는 침식과 퇴적 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Hyper KANAKO 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 수치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피해 면적과 모형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대상 지역의 토석류 피해 면적은 53,875 m2로 나타났으며, 최대 유동심은 2.4 m, 평균 유동심은 1.7 m로 분석되었다.

연안거주민에 대한 재해대응능력 평가 연구 (A Study on Assessing Disaster Response Capacity for Coastal Residents)

  • 강태순;이승록;이종섭;김종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979-990
    • /
    • 2014
  • Recently the frequency of coastal disasters caused by global warming is increasing and the damage is becoming greater.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is establishing various policies and measures to minimize damage. For disaster prevention, this study will evaluate the disaster response capacity of each local resident(Eup/Myeun/Dong) in coastal areas through the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the disaster response capacity and analyze spatial autocorrelation between hot spots(vulnerable area) and cold spots.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of 311 towns(Eup/Myeun/Dong) about the disaster response capacity of coastal residents. As a result, Namhae has the highest average score(4.9). On the contrary, Hampyeong has the lowest(1.6). Coastal residents in Namhae seem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first aid and preventive maintenance. But coastal residents in Hampyeong seem to not have these characteristics. Afterwards, this study builds a database of disaster response capacity, and analyzes it us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 Finally, the area of hot spots and cold spots for disaster response capacity was quantitatively detected.

Inplementation of flooding simulation in coastal area based on 3D satellite images and Web GIS

  • Jo, Myung-Hee;Park, Hyeon-Cheol;Kim, Hyoung-Sub;Choi, Yong-K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166-169
    • /
    • 2006
  • Our country's coast is vulnerable area to natural disaster which the repetitive damages occur every year including a loss of lives, the damage of facilities and erosion mostly except for the east coast because of a typhoon, tidal waves, sea water overflowing by topographic structure of low-lying gentle slope and shallow sea. However, as for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 occurring every year, the situation is that it's centered on the restorationcentered measures and the general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to minimize damages at the time of disaster occurrence is insufficient. This study intendedlop t to devehe techniques possible for real time sampling of damage prediction areas on Web in order to support decision making for damage prevention and establishment of disaster prevention policy. For this, the thematic map was produced related to disaster based on high-resolution satellite picture, and the environmental DB similar to real world was constructed through topographic construction of three-dimension integrating the parts of land and the sea. In addition, the system was developed possible for the expression of damageable regions by real time grasp of dangerous regions at the time of disaster occurrence through over flowing simulation of three-dimension, and it's intended to prepare a basis to minimize damages to disaster situations through it.

  • PDF

위기관리체계 확립을 위한 재난통신망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ilding Plan of Disaster Area Network for Establishment of Crisis Management System)

  • Park, Namkwun;Lee, JuLa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92-198
    • /
    • 2014
  • 최근 세월호 침몰사고 등 대규모재난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재난현장에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대응기관 간 신속한 정보의 전달, 공유는 피해의 규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긴급하게 대응활동을 실시해야 하는 재난현장에서 재난대응기관 간 적절한 통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기관리체계 확립을 위해 각 기관 간 통신방법, 무선망 등의 운영 실태에 대하여 주목을 하였고, 각 기관의 현황, 업무의 내용파악 등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통신망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