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 safety education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24초

인천시 UN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위한 재난 복원력 스코어카드 평가 (Evaluation of Disaster Resilience Scorecard for the UN International Safety City Certification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 김용문;이태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9-75
    • /
    • 2020
  • 본 연구는 인천시가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는 데 필요한 평가 도구인 'UNDRR의 도시 재난 복원력 스코어카드'를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이 스코어카드 평가를 통해 도출된 결과가 인천시의 재난경감 계획수립에 기여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물론 재난 복원력 스코어카드는 도시가 직면한 모든 재난에 대한 복원력 향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시가 직면하고 있는 복원력의 약점을 발견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여 도시의 재난 위험도를 경감시키는 데 있다. 이는 인천시가 직면한 재난위험도를 실무자들이 인지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리고 재난에 취약한 분야에 대해 복원력을 갖출 수 있도록 UNDRR에서 권장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인천시의 재난 복원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UNDRR에서는 세계 도시의 재난경감을 위하여, 2010년부터 '기후변화, 재해에 강한 도시 만들기 캠페인, 일명 MCR(Making Cities Resilient) 캠페인'을 전 세계 도시로 확산시키고 있다. UNDRR에서 채택된 재난경감 지침을 적용함으로써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이웃 도시들 간의 협업 등을 권장하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의 UN 도시 재난 복원력 스코어카드 평가 결과는 필수사항 10가지 중에 5개 분야(1. 재난 복원력을 위한 조직구성 및 이행 준비, 4. 복원력에 강한 도시개발과 설계추구, 5. 자연생태계가 제공하는 보호기능 강화를 위한 자연 완충재 보존, 9. 효과적인 재난대비와 대응력 확보, 10. 신속한 복원과 더 나은 재건)에서 5점 만점에 4점 이상(4.3~5.0)의 점수를 획득하여 강한 복원력 분야로 평가되었다. 이에 반해 5개 분야(2. 현재와 미래의 위험 시나리오 분석, 이해, 활용, 3. 재난 복원력을 위한 재정적 역량 강화, 6. 복원력을 위한 기관 역량 강화, 7. 복원력을 위한 사회적 역량 이해 및 강화, 8. 사회기반시설의 복원력 강화)는 5점 만점에 4점 미만(3.20~3.85)의 점수를 획득하여 약한 복원력 분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스코어카드 평가 결과를 통해, 인천시가 당면한 위험요소를 우선순위별로 확인할 수 있었고, 재난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복원력 향상방안, 도시안전 기반의 도시개발계획 수립, 활용 가능한 재난경감자원 확인, 통합적인 재난대비 방안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백열전구를 이용한 학습 교구용 단락보호장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hort-circuit Protection System for Learning Teaching Instruction Using Incandescent Light Bulb)

  • 김홍용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844-850
    • /
    • 2023
  • 연구목적: 본 논문은 백열전구를 이용하여 단락보호 전원공급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학습 교구로 활용하는 연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안전과 에너지 절약을 동시에 고려한 이 연구는 교육과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백열전구를 활용한 단락보호 전원공급 장치는 기존의 전원공급 장치와 비교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학습 교구로 학습자들에게 전기 안전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실생활에서의 전기 안전 지식을 습득하는데 기여한다. 연구방법: 백열전구를 사용하여 단락보호 전원공급 장치를 개발하고 개발된 장치의 성능 평가 및 안전성 확인을 통해 학습 교구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전원공급장치를 제작 한다. 결론:백열전구를 활용한 단락보호 전원공급 장치의 개발과 학습 교구로의 응용 가능성을 탐구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전기 안전과 에너지 절약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였으며, 교육 분야와 산업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이러한 연구는 전기 안전 및 에너지 관리 분야에서의 연구와 교육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안전교육이 건설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관리감독자와 일반근로자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Industrial Safety Education to Workers in Construction Field -Focus on the Supervisor and the Worker-)

  • 조재환;우흥식;박민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55
    • /
    • 2009
  • In terms of deregulation requests from business, in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re rapidly increasing after reducing the regular safety training hours. Especially, to prevent incidents through safety trainings for construction site workers, who have lots of hazardous tasks than general manufacturing, is not only to protect property of both the companies and the country but also to increase their profits. That is why there are loud voices regarding that the safety training is a core mandatory to prevent industrial incidents. But, most companies, as soon as the deregulation for safety training is implemented, mitigated conducting safety trainings to prevent incidents. With this, the incidents are currently to be increased and caught in a vicious circle of many incidents at the smaller companies because of their absentmindedness regarding safety training due to their poorness as subcontractors of major companies, comparing to major companies. This study explain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anagers and workers are existing about safety awareness and knowledge. And, we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factor led by deficiency of safety awareness and knowledge was the major factor.

건축현장의 화재 문제점 분석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Problems and Preventive Measures in Construction Sites)

  • 오영택;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24
    • /
    • 2017
  •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fire risk factor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each of five major types of construction, focusing on construction sites. For this purpose, disaster cases were analyzed and countermeasures were prepared. In addition, fire risk factors and 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s by construction type according to construction process were identified and preventive measures thereof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policy improvement directions that meet various educational needs and expectations by identifying the use status of 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s and figuring out the fire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process by work type in construction sites.

임업 안전사고 심층분석을 통한 재해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risk reduction method in forestry using in-depth analysis)

  • 남기훈;조구현;김광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95-103
    • /
    • 2019
  • Safety and welfare of forestry is very poor because of poor working environment, decreasing workforce and budget, and aging. These have brought many accidents and casualties. The accident rate in the field of forestry were about 2.83 times higher than average of an entire industry and mortality rate were 1.84 times higher than it. The most reason among the mortality accident was caught in, under or between objects and struck by objects. In analysis of 60 serious accident cases, the number of occurrence s of caught in, under or between objects and struck by objects were the highest. We suggest education, engineering, environment, and enforcement methods which is first aid education and emergency response system, equipment of combined IoT technologies and sensors, and certification and career progra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안전교육 표준안에 대한 연구 : IPA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7 Guidelines of Safety Education: Using IPA Methodology)

  • 강민정;한선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61-67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 유치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해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안전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할 항목과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치원 안전교육 표준안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우선적 지원과 장기적 지원 및 개선의 필요성을 분석하기 위해 '중요도와 실행도(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매트릭스'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부 유치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중요도와 실행도는 모든 영역과 항목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현장에서 바람직한 안전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영역과 항목은 '폭력 및 신변안전' 영역의 2개 항목, '약물 및 사이버 중독' 영역의 1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영역과 항목은 '응급처치' 영역의 6개 항목, '폭력 및 신변안전' 영역의 1개 항목', '직업안전' 영역의 3개 항목, '약물 및 사이버 중독' 영역의 3개 항목', '재난 안전' 영역의 1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미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 제안: 가족생활교육으로서의 내용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Proposal of lifelong education contents in futur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reflecting social needs: Focus on the contents proposal as family life education)

  • 강남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33-246
    • /
    • 2018
  •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an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 households. The incidence of the MERS, epidemic in 2015, and the subsequent cases of child abuse have been major shocks to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household debt, that is in danger of causing a serious crisis in the stability of our society and the family. The current demand for increased accountability in the democratic process is becoming an important topic. There is also an increased awareness of natural disaster preparation due to local earthquakes that have caused concern. At this point, the lifelong education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in Korea is in line with the changes and crises of various societies. Problems related to family life that have happened in the real life of learners stand in the place of the study with preventive character. It should provide the best alternative for family, home, and society, and help to overcome the problems of life. In order for lifelong education to respond to these social changes $vis-{\grave{a}}-vis$ Home Economic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formation and improvement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coping ability training', 'safety education',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es', 'consumer culture education', 'ethics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resources', 'sustainability education', 'local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coping ability training', 'safety education',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es', 'consumer culture education', 'ethics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resources', 'sustainability education', 'local economic activation education', and other topics of lifelong education topics related to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required. Consequently, various related program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disseminated.

다중이용업소의 화재예방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based on big data for fire prevention of multiple shops)

  • 전병관;이성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7-32
    • /
    • 2018
  • 본 연구는 다수의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다중이용업소의 화재예방을 위하여 국민안전처의 예방소방행정 통계자료와 소방청의 국가화재정보센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중이용업소의 화제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색적으로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소방청의 예방소방행정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다중이용업소 소방안전교육의 효과성에 초점을 맞추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소방안전교육이 실제 화재예방에 있어서 실효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었다. 선행 연구들을 통해 그 원인이 소방안전교육의 운영 미흡이라는 것을 찾아내었으며 이를 통해 체계적인 소방안전교육 시스템 개발이라는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A Review on Fire Safety Engineering: Key Issues for High-Rise Buildings

  • Li, Guo-Qiang;Zhang, Chao;Jiang, Jian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65-285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state-of-the-art review on the design, research and education aspects of fire safety engineering (FSE) with a particular concern on high-rise buildings. FSE finds its root after Great Fire of Rome in 64 AD, followed by Great London Fire in 1666. The development of modern FSE is continuously driven by industry revolution, insurance community and government regulations. Now FSE has become a unique engineering discipline and is moving towards performance-based design since 1990s. The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 (PBFSD) involves identification of fire safety goals, design objectives,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criteria, and selection of proper solutions for fire safety. The determination of fire scenarios and design fires have now become major contents for PBFSD. To experience a rapid and positive evolution in design and research consistent with other engineering disciplines, it is important for fire safety engineering as a profession to set up a special educational system to deliver the next-generation fire safety engineers. High-rise buildings have their unique fire safety issues such as rapid fire and smoke spread, extended evacuation time, longer fire duration, mixed occupancies, etc., bringing more difficulties in ensuring life safety and protection of property and environment. A list of recommendations is proposed to improve the fire safety of high-rise buildings. In addition, some source information for specific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FSE is provided in Appendix.

학교 내 안전체험교실의 시설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cility Model for Safety Training Class in School)

  • 박성철;안유정;송병준;조진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2호
    • /
    • pp.19-33
    • /
    • 2017
  • 본 연구는 교육부, 학교현장, 건축가, 기업 등 관련 기관의 정책수립, 운영계획수립, 시설건립 등 다양한 사업추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안전체험교실에 적용하기 위한 필수 교육프로그램을 도출하고 단위공간 조성과 이에 대한 구성요소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5단계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첫째, 안전교육 수행 및 시설계획 기본방향과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공간규모, 시설구성 등 공간조성 실태와 운영실태분석을 바탕으로 안전교육 체험교실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존 안전체험교실의 장 단점을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참여디자인을 통하여 5가지의 시설모형(안)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안)은 1) 교통안전(보행안전, 차량안전, 지하철안전) 2) 응급처치(응급구조, 신고요령) 3) 재난안전(화재 대피안전, 지진 생활안전) 4) 승강기안전(승강기안전, 에스컬레이터안전) 5) 약물 및 폭력안전(흡연 음주안전, 성폭력안전, 식품안전)에 대한 체험존과 각 영역의 세부 안전체험공간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안)은 학교현장의 수용 가능한 공간적 규모에 따라 각 모형을 조합 또는 분리하여 안전체험교실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