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persons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인 직업 유지 기간이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용근로자와 일용근로자의 비교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disabled for the duration of employment: Comparison between regular and temporary workers)

  • 현다경;임옥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25-536
    • /
    • 2020
  • 장애인이 일자리를 얻는데 있어서 큰 장벽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 기능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인 장애인 일자리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개인의 자아성취감 획득뿐만 아니라 동시에 자립생활을 확립시키는데 있어 장애인에게 직업은 없어서는 안 될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취업한 장애인들이 지속적인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애인들이 직업을 유지하는데 있어 상용근로자와 일용근로자에 따라 업무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애인 직업유지에 있어 상용근로자의 경우 근로계약기간 설정여부가 직업유지 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9)에서 실시한 2019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용근로자는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 12개월 이상 직업유지가 높게 나타나고, 일용근로자는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는 근로자가 12개월 이상 직업유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직종으로 장애인들에게 선택권 및 자기결정권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어 국가는 다양한 직종 및 직무개발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일용근로자들이 근무한 소규모 기업의 장애인 취업 증가는 기업의 규모에 영향을 받고 있는 고용부담금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 계약기간의 설정유무가 장애인들의 직업유지에 있어 유의미한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치과장애인 환자의 외래마취 하 치과치료 귀가 후 전화추후 관리 분석 (Analysis of Telephone Follow-up Data of Out-patient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of Disability Patients)

  • 김미선;서광석;이정만;김혜정;한진희;한희정;이은희;신순영;신터전;김현정;장주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97
    • /
    • 2012
  • Background: Some disabled patients show insufficient cooper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and general anesthesia in an outpatient setting can be successfully administered. To minimize post-anesthetic complications is an essential issue, and strict discharge protocols are required for the safety of the patients. Post-anesthetic follow-ups using telephone calls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outpatient care system. The authors evaluated the post-operative condition of patients after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Total 143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received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Clinic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July, 2011 to April, 2012. Telephone calls were given to the patients or their caregivers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systemic condition and anesthesia-related complications. Results: Among 131 patients with responses of telephone calls, 87 patients (66.4%) reported no discomfort, while 44 patients (33.6%) presented post-anesthetic complications. A total of 20 patients reported mild fever, 10 patients had vomiting, and 7 patients had sore throat. Other complications included nausea, fatigue, nasal bleeding, skin sore, and body rash. Among the patients with the history of epilepsy, 63.6% showed post-anesthetic discomfort or complication (P = 0.027, ${\chi}^2$ test). Conclusions: One third of dental patients who received general anesthesia due to insufficientcooperation complained discomfort after discharged from outpatient anesthetic care.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이용자의 홍보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f Differently-Abled Users'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Services in Libraries)

  • 노영희;안인자;박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79-20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활성화 방안 및 홍보전략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이용자인식조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서 이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홍보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하고자 설문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장애인이용자의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홍보경험은 32.4%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지적장애인의 경우 전원이 홍보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도서관 홍보매체 경험으로는 인터넷, 도서관게시판, 현수막, ARS 서비스, 인터넷 방송 순으로 나타났으나, 홍보물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이하(3점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에 홍보물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이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도서관홈페이지는 학교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공공도서관 순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 이용률은 매우 낮게 나타났고, 경험한 자의 만족도도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서관 이용에 있어 장애인이용자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편의시설의 확보 및 제공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해 도서관에 도달하는 것의 편의성, 도서관에 도착해서 이용하는 시설의 편의성, 자료의 이용 용이성 등을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난청인을 위한 문자통역서비스 제도화 연구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peech-to-text Services for the Deaf People)

  • 전동일;서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53-63
    • /
    • 2017
  • 본 연구는 난청인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하여 문자통역서비스 활용 현황과 제도화 방안을 찾아보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조사 대상자의 문자통역서비스 이용경험자는 17.8% 수준이었고 젊은 층일수록 이용경험률이 높았다. 문자통역서비스 제공기관은 복지기관(38.3%), 민간단체(18.3%), 공공기관(18.3%) 순이었다. 문자통역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제도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자통역서비스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정당한 편의 중의 하나라는 것을 적극 홍보해야 한다. 둘째, "장애인복지법"의 일부 조항에 문자통역서비스를 추가 열거해 주어야 한다. 셋째, 난청인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달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수화통역서비스와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정비되어야 한다. 대면 접촉을 위한 문자통역서비스 방식의 개선방안이나 ICT를 활용하여 문자통역서비스를 발전시킬 수 있다면, 직업재활에서의 새로운 장애 근로자의 유입뿐만 아니라 난청인의 삶의 만족도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 - 포토보이스방법론을 적용하여 (Caring of Family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uses the Psychiartric Rehabilitation Facility -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 류세나;조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47-559
    • /
    • 2022
  • 본 연구는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은 어떠한지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분석결과, 정신장애인 가족의 삶은 6개의 주제에서 12개의 하위주제로 나타났다. 발병하기 이전의 삶의 모습은 전기난로처럼 따뜻하고 편안한 일상생활, 가족간 갈등으로 새장의 앵무새처럼 답답하고 힘든생활로 나타났다.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당사자를 바라보는 느낌은 앞이 잘 보이지 않는 두려움과 막막함, 삶을 꽃 피우기 전 질병에 갇힌 자녀에 대한 죄책감이었고, 강제 입원, 그리고 나의 느낌은 찢어지는 마음에 어찌할 바를 모름, 불투명한 회복과 미래의 삶에 대한 걱정으로 생각이 혼란해짐으로 나타났다. 질병이 장기간 지속되고 입·퇴원이 반복되면서 느낀 경험은 주변에 가족의 정신병이 알려질까 두려움, 반복되는 재발과 증상 악화에 대처하기 위해 안간힘을 씀으로 도출되었다.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면서 변화된 삶은 편안한 쉼터에서 마음의 위로를 받음, 미래에 대한 희망이 보이고 웃을 수 있는 여유가 생김으로 나타났고, 앞으로 기대하는 삶, 그리고 희망은 작은 변화를 보며 감사함을 느낌, 회복을 위한 따뜻한 울타리가 되길 다짐함으로 도출되었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제도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정책효과 (The effect of policy on Korea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 김송숙;김유민;나가연;백승희;이근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67-274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가 정책효과로서 수급자 가구원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시켰는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국복지패널 6차(2011년)과 12차(2017년)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성향점수매칭 중 Caliper matching을 이용하여 제도를 이용한 실험집단 64명과 이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344명을 선정하였다. 집단간 특성차이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였고, 제도 전후의 정책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단순이중차이분석과 이중차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제도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활동지원제도는 이용자 가구원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제도 이용자의 수의 적음으로 인한 낮은 통계적 검정력과 불완전한 매칭 그리고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서비스만으로는 장애인 자립에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제도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전문화된 서비스와 장애인과 부양가구원의 요구에 맞는 제도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20세 이상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추이 및 관련 요인분석 (Trends and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Rate in Korean National Health Screening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 윤지은;임보라미;호승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2-180
    • /
    • 2014
  • Background: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higher prevalence rates and earlier onset of chronic disease than the non-disabled; therefore, their participation in health screening is important. This study evaluates the participation rate and trends in health screen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participation rate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status. Methods: Data on disability-related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Disability Registry, and participants' corresponding health examination data were taken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between 2002 and 2011. A total of 873,819 participants aged ${\geq}20$ yea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esults: The rate of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health screening has increased each year, but their participation rate is lower than that of the total population. The participation rate was lower in females than in males; the elderly group than in the younger group; those who live in city areas than rural areas; self-employed for health insurance than employees; those with an internal organ disability than those with an external physical disability; those with a severe disability than those with a mild disability; and those with a short-term disability than for those with a long-term disability. Conclusi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rate are age, sex, socioeconomic status,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ealth check-up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omoted using an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oeconomic status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in this population.

장애인치과학 수업 전후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STUDENT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 A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 이효주;방재범;이은영;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
    • /
    • 2014
  • Patients with disabilities are a significant segment of Korea population. However, they encounter more challenges when seeking dental care. So, dentists and students who are future dental providers should have a responsibility to provide oral care services for them. In this study, we hypothesize that the education of special care dentistry may influence positive attitudes of the disabled. The attitudes are influenced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religion,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ies and marital statu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 of attitudes of students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72 students enrolled at the Kyung Hee University were surveyed. All participants attended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in the third grade. The survey was conducted two times, just before class and after class. The attitudes of students were assessed using the well-documented ATDP (Attitude Toward Disabled Person)-O(Original) scale and MAS (Multidimensional Attitudes Scal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scale through the methodology of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der,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ies and marital status did not affect their ATDP and MAS score. In religious affiliation, on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 attitudes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It means that habitual religious activity may offer stronger effects on student's attitude than short-term education. Therefore, long-term and specific educational experiences are needed to promote positive attitud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노인요양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 연구 - 부산지역 12개 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Nursing Homes - Focused on the 12 Nursing Homes in Busan -)

  • 박진경;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3-13
    • /
    • 2011
  • The Korean society is recently becoming the aging society at an unprecedentedly rapid speed. Following the increase of the older population, their needs for special care is also rocketing. However, due to the increase of working women, nuclear-families, and old persons living alone, new facilities for the elderly such as nursing home are urgently needed. Thus, many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are also rapidly providing. It is needed to examine if such nursing homes are properly designed for the dependent elderly to l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ield observation using a checking sheet with measuring and taking photograph. The subjects were 12 nursing homes which gave positive responses for walking through their facilities. The items for observing and measuring were made based on the regulation on improving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the pregnant. Whether each item fits the regulation or not was examined. The 9 areas in each nursing home were examined : entrance, hallway and corridor, stair, elevator, ramp, bed room, shower and locker room, bathroom, and rest room. It was founded that many accessible-related items were met. However, many supportive-related items such as ones for the visual disabled, and many supportive-related and accessible-related ones for bathroom, shower room, and restroom were unmet.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t was founded that the tool for evaluating the design of nursing home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should be developed.

출입문 측면 활동공간 설치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tandards for the Manoeuvring space at Doors)

  • 신동홍;박광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71-79
    • /
    • 2019
  • Purpose: The manoeuvring space at doors must be secured for users of walking aids, wheelchair users, stroller users, luggage carriers, etc., so clear criteria must be established. The korean standards for the manoeuvring space at doors need to be improved to present clear criteria depending on the type of entrance and the direction of opening and closing. Method: Korean standard, International Standard(ISO 21542, 2011), German Standard(DIN 18040-1, 2010), Austrian Standard(OENORM B 1600, 2017) and Swiss Standard(Norm SIA 500, 2009)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 comprehensive improvement of the criteria for the manoeuvring space at doors is proposed. Results: The manoeuvring space at doors, which is essential for the disabled to use the door, shall be installed with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doors, the Circulation space, the direction of access, and the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Korean standards, such as the width of doors, the Circulation space, and the manoeuvring space at doors, are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which require improvement of standards. The criteria for the manoeuvring space at doors shall be clearly improved so as not to be misinterpret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doors and the BF-certification. Implication: The criteria for the installation of doors shall be presented as a comprehensive alternative through continued study of details. In addition, improvements in standards that reflect changes in international standards should b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