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Worker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1초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장애정도 비교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Wage Workers with Acquired Disabil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Degree of Disability)

  • 김승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46-558
    • /
    • 2021
  •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장애정도에 따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8차(2015년) 조사에 참여한 중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 187명,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 606명이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증 및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 모두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중 공식적 네트워크 활동이 증가할수록 조직몰입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일수록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중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경우 사회참여 활동이 증가할수록 조직몰입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경우 건강할수록, 정규직일수록, 자격증이 많을수록 조직몰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 및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사회적 자본 확대와 함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지적장애 이용자와의 관계에 대한 실천가의 인식유형 (The Study on the Perception Types of the Service Practitioners Working for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ervice Users)

  • 박숙경;김용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1호
    • /
    • pp.367-389
    • /
    • 2010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지적장애 이용자와의 관계에 대한 실천가들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피상적 평등 지향형, 성찰적 실천가 우위 인정형, 헌신적 옹호 지향형 등의 세 가지 인식유형을 발견하였다. 발견된 인식유형의 일반적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장애인복지관, 생활시설, 공동생활가정에서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실천가 30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거된 253개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피상적 평등 지향형 48.2%, 성찰적 실천가 우위 인정형 40.5%, 헌신적 옹호 지향형 11.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양자관계에 대한 실천가의 주관적 인식내용을 실증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고, 현상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해석을 통해 양자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 모색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 PDF

사회복지사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Library Services Perceptions of the Social Worker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9-122
    • /
    • 2013
  • 최근에 국립장애인도서관(The National Librar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이 개관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봉사에 관심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장애인 봉사를 한 단계 더 높이기 위하여, 장애 및 복지분야의 전문가인 사회복지사(social worker)의 도서관 인식(library perception)을 근거로 두 직종간의 협력방안을 정책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적 협력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서와 사회복지사와의 전문소통 채널을 구축해야 한다. (2) 사회복지사에게 도서관과 사서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3) 사서의 사회복지분야 전문지식의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4) 사서와 사회복지사 업무간의 명확한 정체성을 확립하여야 한다.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인식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Identification of Latent Profiles in Perception of Work Environment among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37-243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국가인권위원회 2014년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9개의 지표로 구성된 직무환경 인식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업무시간 압박도와 업무책임감에서 낮은 인식을 보인 '낮은 업무부담 집단(24.5%)',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낮고 성차별과 학연/지연 차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차별 인식 집단(14.7%)', 업무자율성, 직장동료 지지도,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긍정적 인식 집단(26.8%)', 업무량, 업무시간 압박도, 업무책임감에서 높은 인식을 보인 '높은 업무부담 집단(8.5%)',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간 정도의 인식을 보인 '중간 집단(25.5%)'이 그것이다. 직무만족도의 경우 긍정적 인식 집단이 가장 높고, 중간 집단, 낮은 업무부담 집단과 높은 업무부담 집단, 차별 인식 집단 순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사의 복지테크놀로지 개념 인식과 적용 사례 (Social Workers's View Regarding the Concept of Welfare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 박동진;김혜성;최희철;최권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387-399
    • /
    • 2021
  • 복지국가들은 사회복지를 위해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복지테크놀로지는 노인, 장애인 등을 비롯하여 일반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이 복지테크놀로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사회복지 분야에 복지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향후 발전전망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8년 1월 한 달 간, 서울, 경기지역 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13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복지테크놀로지의 개념', '복지테크놀로지의 필요성', '복지테크놀로지의 활용현황', '복지테크놀로지의 향후 전망'이라는 4개의 범주 및 12개의 하위범주, 2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현장에서의 복지테크놀로지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사회복지사 연령별 일-생활 균형 영향요인 비교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by Age)

  • 김요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78-184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연령에 따라 일-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비교·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이며 설문에 참여한 42개 시설 313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회복지사의 개인 요인(Level 1)과 기관 요인(Level 2)을 산정한 다층모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일-생활 균형 전체 변량의 20.2%가 지역복지관별 차이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사회복지사 일-생활 균형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 요인에서는 직무요구와 가족 요구가 일-생활 균형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남성보다 여성이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과 경제상태는 일-생활 균형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별 사회복지사의 일-생활 균형의 영향요인 검증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직무요구가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에서 가족 요구와 남성보다 여성이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태도 일-생활 균형에 중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일-생활 균형 향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an Outbreak of Hepatitis A at a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2011

  • Lim, Hyun-Sul;Choi, Kumbal;Lee, Saerom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2호
    • /
    • pp.62-73
    • /
    • 2013
  • Objectives: An outbreak of hepatitis A occurred at a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in July 10, 2011.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response plan, and to find the infection source of the disease. Methods: A field epidemiologist investigated the symptoms, vaccination histories, living environments, and probable infection sources with 51 residents and 31 teachers and staff members. In July 25, 81 subjects were tested for the hepatitis A virus antibody, and specimens of the initial 3 cases and the last case were genetically tested. Results: Three cases occurred July 10 to 14, twelve cases August 3 to 9, and the last case on August 29. Among the teachers and staff, no one was IgM positive (on July 25). The base sequences of the initial 3 and of the last case were identical. The vehicle of the outbreak was believed to be a single person. The initial 3 patients were exposed at the same time and they might have disseminated the infection among the patients who developed symptoms in early August, and the last patient might have, in turn, been infected by the early August cases. Conclusions: The initial source of infection is not clear, but volunteers could freely come into contact with residents, and an infected volunteer might have been the common infection source of the initial patients. Volunteers' washing their hands only after their activity might be the cause of this outbreak. Although there may be other possible causes, it would be reasonable to ask volunteers to wash their hands both before and after their activities.

근로장애인 빈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Poverty Among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 김종진;박자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251-27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장애인의 고용특성과 빈곤 실태를 파악하고 근로장애인의 빈곤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장애인 근로자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근로장애인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x^2$,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거주지역, 그리고 가구원 수가 근로장애인의 빈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애특성 변수에서는 장애정도, 장애발생시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질 변수 중에서는 고용형태, 업종, 직종, 취업기간, 직장 내 지위 등이 근로장애인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 자체만으로는 장애인들의 빈곤이 해결되지 않으며, 근로장애인의 빈곤을 해소하기 위해 고용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들과 중증장애인들의 소득보장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PDF

경쟁고용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개인 및 조직특성에 대한 다층분석의 적용 (A Study on the Impacters of the Disabled Worker's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the Competitive Labour Market: Application of the Multi-Level Analysis of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roperties)

  • 권재용;이동영;전병렬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1호
    • /
    • pp.33-66
    • /
    • 2017
  • 본 연구는 일반노동시장에서 근로자의 체계적 경력과정이 개인과 조직 모두의 성공적 성과착근과 창출의 핵심적 요소로 인식함을 전제로, 경쟁고용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및 조직(기업)의 다차원적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천적 통계적 적확성에 기반 한 자료를 토대로 장애인근로자의 성공적 직업생활을 위한 경력관리의 방향성에 대해 실천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및 충청, 강원도 지역의 48개 기업에 취업중인 장애인근로자 12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개인 및 조직특성 자료를 수집하고, 다층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조직효과를 감안한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걸과, 우선 주관적 경력성공의 총 분산 중 조직특성에 의한 설명이 32.1%로 나타나 조직변수의 중요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와 다층모형적용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수준에서는 장애정도, 성장욕구, 자기주도적 경력태도, 가치지향적 경력태도 등이, 조직수준에서는 장애관련 편의제공, 경력지원, 인사지원, 대인지원 등이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어 개인수준의 특성변수에 대한 주관적 경력성공의 영향을 의미 있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조직효과를 감안한 개인요인들의 활성화로 주관적 경력성공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바 장애특성을 반영한 편의지원시스템 구축,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의 적용, 프로티언 경력개발 지원체계구축, 인적 네트워크 구축 지원 등 개인-기업 통합적 실천전략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고령자를 위한 교회건축 편의시설 개선방안 (Church Architectural Amenities Improvement Program for the Aged)

  • 이종희;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206-213
    • /
    • 2010
  • This study, for church architectural amenities for the aged, with a base of 'laws on securing promotion of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aged, and pregnant women,' would like to propose improvement program after figuring out church worker (priest)'s willingness for amenities improvement, request of the aged church members, and level of request by different ages of the aged church members and total number of church members. The scope of geographical range for the study is limited to Northern side of Han River in Seoul and the churches with its own building having 500 to 3,000 people attending services, and implementation range, with a base of laws on promotion of convenience, separates specific items into mediation facility, interior facility, sanitary facility, and other facilities. The study selected 40 workers in church and 339 aged church members as subjects. As analysis method for the study, we have measured reliance level of questions by performing reliance test on each question, and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observe church worker's willingness to improve and request level of the aged church members.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on opinion by the aged church members and total number of church members, we have performed "One way ANOVA," that verifies average difference. For evidence analysis we have verified all of them in attention level of p<.05, and for statistics analysis we have analyzed them using SPSSWIN 12.0 program. We are proposing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study and analysis as next: First, since most of church workers have strong willingness to improve amenities we have learned that it is very optimistic to see improvements on church's amenities in the future. Second, since the aged church members' level of request was high on 3 of mediation facilities, elevators, and restrooms, it is desirable to improve mainly with these facilities. Third, the result on level of request for facilities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church members revealed that the churches with 1,000-2,000 members have the highest level of request. Thus, we feel that the churches with 1,000-2,000 members should try harder to improve compared with churches with different number of members. Fourth, since the level of request on church amenities by different age group showed that the age group with 65-70 had the highest level of request on all facilities, except elevators, there are needs to apply the opinions of this age group more in depth based on this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