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ion-Oriented Interpola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전 방향 에지 예측 기법을 이용한 De-interlacing 알고리듬 (Novel De-interlacing Algorithm Using All Direction Edges Estimation Technique)

  • 구수일;이세영;강근화;정제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9C호
    • /
    • pp.725-733
    • /
    • 2008
  • 본 논문은 전 방향 에지예측 기법을 이용한 De-interlacing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DOI(Direction-Oriented Interpolation) 알고리듬을 기본 방법으로 사용 하였다. De-interlacing 방법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진다. 먼저 에지의 방향을 예측한 후, 잃어버린 화소값을 에지의 방향에 따라 보간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각도 에지를 고려한 DOI 알고리듬을 통하여 에지를 예측한 후 잃어버린 화소값을 중간값(median) 필터를 사용하여 보간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듬이 기존의 알고리듬들 보다 객관적 및 주관적인 평가에서 우수함을 입증한다.

채널 간 국부 상관도에 기반 한 에지 적응적 컬러 보간 (Color Interpolation with Hard-Decision based on Local Cross-Channel Correlation)

  • 오현묵;강문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847-848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ovel edge-oriented color interpolation method which determine the edge direction with hard-decision based on high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channels. The novel edge direction estimation criterion improves the color interpolation method especially on edges by considering high frequencies between channels.

  • PDF

디인터레이싱을 위한 방향지향 보간법의 개선 (Improvement of Direction-Oriented Interpolation for Deinterlacing)

  • 박도영;이연경;유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209-2215
    • /
    • 2014
  • 본 논문은 DOI방법을 개선한 디인터레이싱 방법을 제안한다. DOI방법은 강력한 인트라필드 기반의 디인터레이싱 기술이지만 긴 연산시간과 주기적인 패턴에서 방향을 잘못 찾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전역검색 대신하여 2단계 검색을 하여 연산속도를 향상시키고 두 가지 과정을 추가하여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단계로 잘못된 방향으로 찾은 공간벡터를 삭제하며 두 번째 단계로 찾지 못한 방향에 대한 공간 방향벡터를 삽입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에서 잘못 찾은 공간 방향벡터를 정확한 결과인지 재확인하여 픽셀의 보간에 사용할지 검사한다. ISO 실험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과 line evarage, edge-based line averaging, DOI, selective deinterlacing algorithm 등의 기존의 방법을 비교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객관적으로나 주관적으로 우 수하다는 것을 보였다.

방향성 보간을 이용한 공간적 에러 은닉 기법 (A Spatial Error Concealment Technique Using Edge-Oriented Interpolation)

  • 유현선;김원기;정제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3C호
    • /
    • pp.133-14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블록 기반의 영상압축에 있어서 방향성 기반 공간적 에러 은닉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우선 공간적 경계 정합 기법을 이용하여 손실된 블록 내의 에지 방향성을 나타내는 공간 방향 벡터들을 찾아낸다. 이 벡터들을 이용한 방향성 보간을 통해 복원 블록들을 만들고, 그 중 방향성 경계정합 에러가 작은 복원 블록들을 이용하여 최종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제안된 기법은 매크로블록이나 슬라이스 단위의 에러에 대해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복잡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복원 화질을 얻게 해준다.

픽셀 단위의 정밀한 방향성 보간을 이용한 공간적 에러 은닉 기법 (A Spatial Error Concealment Using Pixelwise Fine Directional Interpolation)

  • 김원기;구자성;진순종;정제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2C호
    • /
    • pp.124-13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송 에러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의 손실을 정밀한 방향성 보간(FDI: Fine Directional 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복원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공간 방향 벡터(SDV: Spatial Direction Vector)를 도입한다. 공간 방향 벡터는 손실블럭 주위의 영상 데이터의 에지 정보를 추출하여 구한다. 이 후 손실된 영상 블록은 공간 방향 벡터를 이용하여 픽셀단위로 적응적으로 보간함으로써 복원된다. 이러한 방식은 평탄한 영역뿐만 아니라 에지를 포함한 복잡한 영역도 우수하게 복원할 수 있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공간적 에러은닉 방법과 비교하여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상 블록에서의 에지 맵을 이용한 단일 필드 디인터레이싱 알고리듬 (A Single Field Deinterlacing Algorithm Using Edge Map in the Image Block)

  • 강근화;전광길;정제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4C호
    • /
    • pp.355-36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블록내의 에지 맵을 이용한 새로운 인트라 필드 디인터레이싱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향성 기반 라인 평균 방식들은 화소단위 상관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화소값의 변화에 민감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방향성 에지를 탐색할 때 탐색 영역 내에 에지들이 다수 존재할 경우 부적절한 에지 방향을 찾게 되고 이는 화질의 열화를 가져온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에지 맵에 의해 계산되는 에지 방향 벡터와 이 벡터가 이용된 보간방식을 제안한다. 먼저 소벨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지 방향 벡터를 구한 후, 구해진 에지방향 벡터를 이용해 다섯 개의 에지 방향 벡터의 가중치 값을 구한다. 구해진 값들은 이후에 여러 에지방향으로부터 구해지는 보간값들과 중해짐으로써 최종 보간값을 예측하게 된다. 본 논문의 핵심 아이디어는 에지 검출기를 통해 구해진 하나의 에지 방향 정보만으로 보간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사용 가능한 모든 에지방향의 정보로부터 구해지는 결과값들에 가중치를 곱하여 보간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정교한 방향성을 고려한 디인터레이싱 알고리즘 (Fine Directional De-interlacing Algorithm)

  • 박상준;진순종;정제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3C호
    • /
    • pp.278-28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비월 주사 영상을 순차 주사 영상으로 보간 하는데 사용되는 효율적인 디인터레이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보간할 화소의 주변 화소들이 갖는 공간적 방향성의 경향을 구하고 구해진 경향에 맞게 소벨 연산을 적응적으로 적용하여 기울기 벡터를 구함으로써 정교한 에지의 방향을 구한다. 이렇게 구해진 정교한 에지 방향에 맞게 보간을 수행하므로 좀 더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복잡도를 줄이는 동시에 정확한 에지 방향을 추출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정지 영상에 대한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객관적, 주관적 우수함을 증명한다.

디인터레이싱을 위한 정교한 DOI 기법 (A Fine Interpolation method for De-interlacing)

  • 박순태;김원기;정제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 /
    • pp.7-10
    • /
    • 2006
  • 격행 주사 방식은 제한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찬 수 있기 때문에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PAL(Phase Alternation Line), 그리고 SECAM(Sequentiel couleur a Memoire)을 포함한 다양한 TV 방송 표준에서 넓게 이용되어지고 있다. 격행 주사 방식을 이용하면 같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동안에 프레임 율을 2배로 늘일 수 있으나 이 방식은 주사 방식의 특징 때문에 영상의 화질 열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화질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기존의 많은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기법들이 소개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정교한 DOI(Direction Oriented Interpolation)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안정적이고 에지의 방향을 좀 더 정교하게 찾는 특징이 있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식은 주관적인 화질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성능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PDF

에지 방향 벡터 기반 디인터레이싱 기법 (A Deinterlacing Method Based on the Edge Direction Vectors)

  • 이광보;박성한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5권4호
    • /
    • pp.47-53
    • /
    • 2008
  • 본 논문은 에지 방향 벡터(edge direction vector, EDV)가 이용된 새로운 디인터레이싱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필터는 움직임이나 장면 전환이 많은 영역에서 높은 효율을 보이는 알고리듬이다. EDV는 소벨 마스크가 이용된 에지 맵을 통과하면서 계산되는데, 에지 방향을 정교하게 구하는데 이용된다. 제안된 EDV에 기반한 디인터레이싱 방식은 먼저 다섯 개의 방향, 즉 $26.5^{\circ}$, $45^{\circ}$, $90^{\circ}$, $135^{\circ}$, 그 리고 $153.5^{\circ}$ 위에 있는 픽셀 사이 밝기 차이를 조사한다. 그 차이값들은 소벨 마스크를 거치면서 에지 방향의 각도와 확신도 값을 반환한다. 에지 방향 각도와 확신도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최종 보간 방식이 정해진다. 제안하는 방식은 기존 방식보다 안정적이고 에지의 방향을 더욱 정교하게 찾는다는 특징이 있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식은 주관적 화질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성능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벼 작물생육모형 국내 도입 활용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 (History and Futur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Rice Growth Models in Korea)

  • 김준환;상완규;신평;백재경;조정일;서명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7-174
    • /
    • 2019
  • 작물 생육모형은 기존의 경험적 작물모형과는 달리 벼의 생장과정을 모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작물생육 모형들은 80년대 후반부터 적극적으로 국내도입이 이루어 졌다. 유럽에서 개발된 MACROS로 부터 시작하여 이후 Oryza1 및 Oryza2000 모형과 북미에서 개발된 DSSAT 계열의 모형인 CERES-RICE 모형을 도입하게 되었다. 각각의 모형들은 최초에는 단순히 품종수 적합 후 특정지역에의 수량을 모의하는데 활용되었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국내에 적합한 작물모형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작물생육모형을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하였고 실용적인 수준에서의 활용은 미미하였다. 일부 농가 적용을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널리 활용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활용상의 문제점은 기상자료의 공간해상도가 문제가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는 각 지역별이 품종에 대한 품종모수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활용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상관측의 공간해상력을 높이기 위한 관측소의 확대 또는 공간 내삽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신품종이 일정 재배면적 이상 확대될 경우 이에 대해 품종모수를 적합할 제도적 기술적 방법이 필요하다. 작물모형의 활용 확대를 위해서는 기상 또는 토양 분야와도 연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군락의 증산 속도와 토양모형에 정보가 필요하며 이는 군락 광합성 관련 부분과 토양 특성에 대해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