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선교 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for Mission Purpose)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6-17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선교 목적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에 출판되어 있는 세 권의 선교 목적 한국어 교재를 분석,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선교 목적 한국어 교재의 개발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 언어와 성경적 언어의 균형이 중요하다. 둘째, 선교 대상자의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교재가 출판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어 교육 전문가와 기독교 교육 전문가가 협력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넷째, 교재 개발의 전문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재 개발은 교사 교육과 연계되어야 한다.

교육·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교과서전문도서관 발전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Specialized Textbook Libraries for the Benefit of Research and Education)

  • 노영희;최원태;윤다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51
    • /
    • 2015
  • 교과서전문도서관은 현재 우리나라 교육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교과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와 교과서 개발 출판사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교수와 학생의 연구 및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전문도서관의 현실을 보면, 국가지원운영 예산 부족, 공공기반시설로서 기반 취약, 교과서 관련자료 수집의 어려움, 도서관 간 연계체제 미흡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사례분석, 그리고 전문가의견수렴과정을 거쳐 교과서전문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전문도서관 구축 및 운영의 중장기 정책방향을 크게 교과서전문도서관 조직 및 운영, 교과서전문도서관 정보자원의 수집 및 목록작성 방안, 그리고 교과서전문도서관 정보화전략 및 특화콘텐츠의 구축 등으로 대분하여 제안하였다.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에 근거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 방향 탐색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based on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권유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1-7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평가기준에 반영된 교과 관점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현재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과 교과서 평가기준과의 관련성과 더불어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을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실과(기술 가정) 교과서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과서 평가기준에서의 교과 관점의 의미를 탐색하며,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제시된 교과 관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기준에서 강조하고 있는 관점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교과서 평가기준은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관점을 제공하고, 교과의 주요 개념과 가치를 전달하며,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과 관점들은 관리역량, 생활역량, 실천적 경험, 개인과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역량, 생활문제해결, 그리고 진로 및 생애설계이다.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관점들에 터하여 교과서 평가기준의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 자료 평가기준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 방법, 교사 활동 평가 등 다양한 평가 틀에 교과 관점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수학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경제수학> 교과서의 일관성 분석 연구 (Analysis Study on the Consistency of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Textbooks)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373-391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고시한 <경제수학> 과목의 교과서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경제수학> 교과서는 상경계열을 지원하는 학생을 위해 개발된 최초의 교과서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가 매우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수학> 교과서가 교육과정 개발자가 제시하고 교과서 인정 기관에서 구체화한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과 일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국가에서 고시한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관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의 일관성에 대한 분석 결과 <경제수학> 교과서의 내용은 부분적으로 일관성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다수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향후 고등학교 선택과목의 검·인정에 있어 보다 철저한 기준 마련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의 제시가 요구된다.

디지털교과서 개발전략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Strategies and development direction)

  • 정의석;송윤희;채정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230-235
    • /
    • 2008
  • 지금까지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은 보조적인 교수자료나 학습도구로서 인식되어 왔지만 디지털교과서(Digital Textbook)의 출현으로 컴퓨터와 학교 교육과정 및 수업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컴퓨터의 교육적 역할이 학습보조수단에서 교수.학습활동의 주된 교재로써의 역할로 바뀌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2007년 3월, 교육과학기술부(MEST)에서 본격적인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보급을 위한 준비 단계의 계획으로 '디지털교과서 상용화(常用化) 방안'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는 급변하는 국가 사회적 요구를 교과서에 신속히 반영하고 체계적인 교수 학습 국가 DB를 구축하기 위한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정의와 기능을 제시하며, 국내외의 디지털교과서 개발사례를 살펴본다. 또한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 개발전략 및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디지털교과서 활용 정책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A study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on Digital Textbook Utilization Policy)

  • 안성훈;안석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2호
    • /
    • pp.111-118
    • /
    • 2021
  • 향후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올바른 방향 설정과 현 디지털교과서 사용에 따른 단점과 역기능을 파악하여 보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교과서를 이미 활용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의 실태를 일률적인 기준에 의해 검토하고 분석하여 국내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 캐나다, 말레이시아, 중국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정책을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의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각 국가별 디지털교과서 추진 주체 및 전략, 사용범위, 발행제도, 활용 방식을 각각 비교·분석하고 각 국가별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국가별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제시된 디지털교과서 개선 방안은 향후 디지털교과서의 발전 방안 정책을 마련하는데 의미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개념과 미래형 교과서의 방향 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extbooks using online content and the direction of future textbooks)

  • 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57-264
    • /
    • 2021
  • COIVD-19로 인해 2020년부터 온라인 수업이 실시되면서 e-book, 구글 도구, 동영상 등 수업 시 온라인 콘텐츠 활용이 증가하였다. 이에 학생들이 온라인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사가 만들어가는 교과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교사들은 온라인 수업 및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학생 참여형 수업이 확대됨에 따라 서책형 교과서뿐 아니라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를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온라인 수업을 위한 대비에만 국한하지 않고, 미래 교육체제로 변환을 위해 온라인 교과서의 개념 정립과 현행 교과서의 제도 및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도입되고 잇는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들을 분석하였고 향후에 개발될 미래형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탐색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 교과서 수록 읽기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최영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29-44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 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독서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어, 수학, 영어, 통합과학, 통합사회 주요 교과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였고, 읽기자료의 분석 기준은 주제 유형, 목적, 학생 활동이었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교과서에는 인간, 자유, 문화, 환경, 지구 등 다양한 주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개념과 연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국어교과는 한단원에만 '한 학기에 한권의 책 읽기'라는 단원이 신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읽기자료가 효과적인 독서 전략이나 독서 방향에 대한 안내가 없으며, 읽기자료의 양이 부족하고 확장적 독서를 위한 자료나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학습 내용을 단순하게 보충하거나 개념 이해를 위한 단편적인 단서로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의 읽기자료 제시가 나열식으로 단순하게 전개되어 있으며, 읽기자료가 학생들의 독서 흥미, 독서의 내면화 그리고 독서 확장을 위한 도구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과서의 확장을 위한 읽기자료의 보조 자료를 제안하고, 교과서 구성 측면과 수업 방법 측면에 대한 제안을 통해 교과서와 독서교육의 발전적 관계를 모색해보았다.

수산·해운계고 교육과정의 중점과 발전적 방향 (Developing Direction and Subject Matter of Curriculum in the Fisheries Marine Science High School)

  • 김삼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4-165
    • /
    • 2003
  •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y as national basic industry need continuous growth and bas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investigating of the related literature and reports. The purpose of study for developing direction and subject matter of curriculum in the fisheries marine science high school was as follows. Recently, reforms of vocational high school will expand professionalization and specialization. Therefore systematic curriculum of basic knowledge, basic skill and technical is required more and more in field work of fishery and merchant marine. The other important factors of curriculum improvement were cooperative role between school and local industry, adaptation of basic ability, job analysis, various curriculum opening. Above all, teachers of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require advanced consciousness and must participate in revising curriculum. And the textbook of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is useful to improve the level of learning ability degree and must be written by the related teacher, and the textbook contents must be studied by the expert group under professors leading to advanced discipline and skill of field work.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익힘책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ctivity Book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2호
    • /
    • pp.99-111
    • /
    • 2010
  • 본 연구는 5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보조교과서인 수학익힘책에 대한 연구이다. 교육과정의 변천과 함께 수학익힘책도 세 차례의 개정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익힘책의 도입 과정에 대한 문헌고찰을 기초로 하여, 수학익힘책의 도입 목적, 개발 방향, 수학익힘책의 구성 체제, 교육과정과 관련된 수학익힘책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수학익힘책에 대한 비교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