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 seeding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8초

Analysis of Lodging-Related Traits of Direct Seeded Rice

  • Kim, Hyun-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2-37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dging-related traits using different cultivars from Korea, Japan, and the U.S. in direct seeded rice on dry paddy field. Stem diameter and culm wall thickness were highest in 'Caloro' followed by 'Nongan', 'M202', and 'Calrose'. All the U.S. cultivar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in stem diameter and culm wall thickness. These two traits were important with regard to lodging. The highest breaking strength (1442g) was observed in Caloro. 'Gancheoek', 'Dongjin', and transplanted 'Hatsuboshi' showed more than 1000g in breaking strength. Lodging index was lowest in Hatsuboshi followed by Nongan and Gancheok. Even though breaking strength of the U.S. cultivars was higher than others, their lodging index values were hi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rch content. However, Calrose, Caloro, Dongjin, and Koshihikari we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in starch conte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ulm base weight, lignin and breaking strength. High contents of lignin and cellulose were observed in Nongan, transplanted Hatsuboshi, Calrose, and Caloro. Traits such as stem diameter, culm wall thickness, bending moment, culm length, breaking strength, cellulose, lignin, and culm base weight were closely related to a lodging index. According to path coefficient analysis, most important traits were culm length, stem diameter, thickness of clum wall, and top plant weight.

  • PDF

Effects of Urease Inhibitor, Nitrification Inhibitor, and Slow-release Fertilizer on Nitrogen Fertilizer Loss in Direct-Seeding Rice

  • Lee, Jae-Hong;Lee, Ho-Jin;Lee, Byu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0-235
    • /
    • 1999
  • To study the effects of an urease inhibitor, N-(n-butyl)-thiophosphoric triamide (NBPT), and a nitrification inhibitor, dicyandiamide (DCD), on nitrogen losses and nitrogen use efficiency, urea fertilizer with or without inhibitors and slowrelease fertilizer (synthetic thermoplastic resins coated urea) were applied to direct-seeded flooded rice fields in 1998. In the urea and the urea+DCD treatments, NH$_4$$^{+}$ -N concentrations reached 50 mg N L$^{-1}$ after application. Urea+NBPT and urea+ NBPT+DCD treatments maintained NH$_4$$^{+}$ -N concentrations below 10 mg N L$^{-1}$ in the floodwater, while the slow-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maintain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NH$_4$$^{+}$ -N in floodwater. The ammonia losses of urea+NBPT and urea+NBPT+DCD treatm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urea and urea+DCD treatments during the 30 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It was found that N loss due to ammonia volatilization was minimized in the treatments of NBPT with urea and the slow-release fertilizer. The volatile loss of urea+DCD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urea surface application. It was found that NBPT delayed urea hydrolysis and then decreased losses due to ammonia volatilization. DCD, a nitrification inhibito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mmonia loss under flooded conditions. The slow-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reduced ammonia volatilization loss most effectively. As N0$_3$$^{[-10]}$ -N concentrations in the soil water indicated that leaching losses of N were negligible, DCD was not effective in inhibiting nitrification in the flooded soil. The amount of N in plants was especially low in the slow-release fertilizer treatment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for 15 days after fertilization. The amount of N in the rice plants, however, was higher in the slow-release fertilizer treatment than in other treatments at harvest. Grain yields in the treatments of slow-release fertilizer, urea+NBPT+ DCD and urea+NBP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treatments of urea and urea+DCD. NBPT treatment with urea and the slow-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were effective in both reducing nitrogen losses and increasing grain yield by improving N use efficiency in direct-seeded flooded rice field.field.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양식(樣式)에 따른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 및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1 보(報). 잡초(雜草)의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Emergence of Weed Species and Their Competitive Characteristics in Direct-Seeded Rice (Oryza sativa) - 1. Distribution and Growth of Weeds in Direct-Seeded Rice)

  • 허상만;조이기;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8-288
    • /
    • 1995
  •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두 양식(樣式)(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하(下)에서 잡초(雜草)의 초종별(草種別)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및 군락구조(群落構造)의 변화(變化)를 파악하여 비교분석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발생잡초(發生雜草)는 화본과(禾本科) 2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8종(種), 및 사초과(莎草科) 4종(種) 등 총 14종이었고, 우점초종은 밭뚝외풀, 알방동사니, 황새냉이, 너도방동사니였다. 일년생과 다년생의 분포비율은 73.6 : 26.4%로 일년생 점유율이 높았다. 2.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화본과(禾本科) 1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7종(種), 사초과(莎草科) 4종(種)등 총 12종이었고, 우점초종은 알방동사니, 올챙고랭이, 밭뚝외풀 순(順)이었다. 일년생(一年生)과 다년생(多年生)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은 82.1 : 17.8%로 일년생(一年生) 점유비율이 단연 높았다. 3. 건답(乾畓) 및 담수직파(直播)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생장양상에서 대부분 잡초(雜草)들의 개체수(個體數)는 파종(播種) 후(後) 45일(日)경에서 결정되었고, 건물중(乾物重)은 파종(播種) 후(後) 75-90일(日)까지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초장(草長)의 신장(伸長)은 피, 올챙고랭이, 알방동사니는 파종(播種) 후(後) 45~60일(日), 미국가막사리는 파종(播種) 후(後) 60~90일(日)에 큰폭의 신장성(伸長性)을 보였으며 그 외의 잡초(雜草)들은 파종(播種) 후(後) 45일(日)이후부터 완만한 신장(伸長)을 나타냈다. 4. 생육후기까지 가장 우점했던 초종은 건답직파에서 알방동사니, 가막사리, 바랭이 및 피였으며,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알방동사니, 피 및 올챙고랭이였다.

  • PDF

벼 담수토중직파재배시 종자분의 재료에 따른 입모향상 효과 (Improvement of Rice Seedling Emergence by Seed Coating Materials in Direct Seeding into Flooded Paddy Soil)

  • 원종건;최충돈;이외현;이상철;김칠용;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6-291
    • /
    • 1997
  • 벼 담수토중직파시 산화제 종자분의에 의한 초기 출아입모 향상 효과를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환원전위차는 무처리가 가장 낮게 경과하였으며, KNO$_3$가 대체로 높으면서 산화 기간이 오래 지속되었던 반면 CaO$_2$는 타처리에 비해 약간 낮게 경과하는 경향이었고, 산화제처리로 출아기간동안 종자주위의 토양환원억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2. 토양 pH변화는 무처리에서 7이상으로 가장 높게 경과하여 논토양의 환원된 상태를 보였으며, 산화제 처리구에서는 초기에 낮았다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무처리보다 낮아 일시적으로 토양을 산성화 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3. 입모수는 CaO$_2$가 파종후 8일경에 60%이상의 출아율을 보였고, 특이산성토 처리는 CaO$_2$ 보다는 낮았지만 무처리에 비해 입모율은 많이 향상되었다. 4. 초기생육에서 초장은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엽령차이는 CaO$_2$ 및 특이산성토에서 7.6매로 무처리의 6.2매에 비하여 1.4매 정도 많아 잎의 전개가 더 빨랐으며 근장 또한 CaO$_2$ 분의종자에서 10.2cm로 가장 길었고, 경수는 CaO$_2$와 특이산성토 피복종자에서 가장 많았다. 5. 본 실험에서 CaO$_2$는 입모가 균일하고 출아 소요 기간도 짧아 담수토중 직파재배에서 벼 종자 분의 재료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특이산성토분의에서도 양호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 PDF

Vetch Effects for the Low-input No-till Direct-Seeding Rice-Vetch Cropping System

  • Cho, Young Son;Choe, Zhin 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1-224
    • /
    • 1999
  •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weed control effects of vetch and to evaluate vetch characteristics on clay loam soil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s. The effects of weed control, forage productivity, and N content of vetch plants were investigated. With the progress of plant growth, density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gradually decreased, but densities of foxtail and other weeds decreased steeply due to the depression by the over-shaded vetch canopy in a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paddy field. The vetch density in tillage systems was lower than in notillage cropping systems. Lower vetch density occurred with an increase in foxtail density and other weeds. Weed control effect increased by the progress of vetch growth, which indicated that the vetch canopy over-shaded the weeds. Vetch straw was degraded rapidly submergence after with water at the time of wet sowing of rice. Early harvesting of vetch seed resulted in lower seed germination. To acquire enough seedlings without re-sowing, the harvesting of seed should be delayed at least 28 days after the flowering stage in order to ensure the vetch population is sustainable in a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survival of vetch plants, vetch seeds should germinate from the heading .stage to before the full-ripening stage of rice plants. To enhance the percent of over-wintering survival, vetch seeds should germinate no later than the end of October in southern Korea. The dry weight of vetch plants increased with the progress of vetch growth until the flowering stage but N content decreased for 30 days from before the flowering stage (2.9%) until the ripening stage (1.8%). We concluded that Chinese milk vetch could have an effect on weed control before the flowering stage, sustainability without re-sowing of seed annually, and effective green manure for rice pre-crop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relay cropping systems.

  • PDF

농가포장에서 재배양식별 앵미(잡초성 벼)의 발생정도 및 입치 (Weedy Rice Occurrence Rate and Position in Transplanted and Direct Seeded Farmer's Field)

  • 서학수;백준호;하운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2-356
    • /
    • 1997
  • 우리 나라 농가포장에 현재까지 잡초성 벼인 앵미가 잔존하게된 경로를 추정하고자 앵미 발생이 극심한 농가포장을 선정하여 전체 개체에 대한 앵미 발생비율, 단위면적당 앵미 개체수, 이앙재배와 직파재배 포장에서의 앵미 발생 위치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앙재배 포장에서 앵미 발생율이 가장 높았던 것은 5.5%였다. 2. 직파재배 포장의 앵미 발생이 이앙재배 포장보다 많았다. 3. 이앙재배 포장에서는 앵미가 대부분 재배벼 주내에 혼입되어 있었으나, 골뿌림 직파재배 포장에서는 골 사이에 발생한 앵미 개체가 많았다. 4. 비장려품종 재배 포장에서의 앵미 발생이 장려품종 재배 포장보다 많았다. 5. 이앙재배에서 앵미는 대부분 재배벼 종자에 혼입되어 잔존하였고, 극히 일부는 자연탈립에 의하였으며, 직파재배에서는 자연탈립에 의한 앵미 발생이 종자혼입에 의한 발생보다 많았다.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잡초(雜草)와 작물간(作物間)의 경합(競合) 및 방제(防除) (Competition between Crop and Weed and Weed Control in Dry Direct Seeded Rice)

  • 연규보;김길웅;신동현;이인중;정종우;김학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8-186
    • /
    • 1991
  • 벼 건답직파재배지(乾畓直播栽培地)에 발생(發生)하는 벼와 잡초(雜草)의 경합(競合)이 벼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 적합(適合)한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을 위해 수행(遂行)하여 얻어진 연구(硏究)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서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잡초(雜草)는 피(Echinochloa crusgalli), 방동사니(Cyperus amuricus), 속속이풀(Rorippa islandica) 등(等)이었으며 이 가운데 피는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동안 가장 우점(優占)하는 초종(草種)이었다. 발생잡초(發生雜草)의 우점도(優占度)를 Simpson's dominance index로 산출(算出)해 낸 결과(結果)를 보면 개체수(個體數)의 경우는 파종(播種) 후(後) 30 일에 0.26으로 가장 높았으나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減少(減少)한 반면, 건물중(乾物重)의 경우는 15일의 0.09에서 60일의 0.28로 증가(增加)함을 특정(特定) 잡초(雜草)(피)가 우점(優占)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잡초(雜草)와의 경합(競合)에 의한 벼의 초장(草長) 및 분벽수(粉蘗數)는 는 경합(競合) 시기(時期)에 큰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으나, 수량(收量)은 경합(競合) 시기(時期) 및 기간(期間)에 따라 다소(多少) 차이(差異)를 보였다. 수량(收量)의 감소(減少)는 잡초발생(雜草發生) 후(後) 20-40일 (6월 7일 - 6월 27일)부터 수확시(收穫時)까지 경합(競合)시킬 때 나타났다 3.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 유효(有效)한 제초제(除草劑)로는 토양(土壤) 처리(處理)로 Dimepiperate/Bensulfuron-methyl 나, Butachlor를 토양처리(土壤處理)하고 30일째 Mefenacet/Bensulfuron-methyl/Dymron을 체계처리(體系處理)하거나, 파종(播種) 후(後)40 일째에 Bentazone/Quinchlorac을 경엽처리(莖葉處理)하면 효과적(效果的) 방제(防除)가 기대(期待)된다.

  • PDF

호남지역(湖南地域) 논 토양(土壤)의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 및 인산시비(燐酸施肥)에 따른 괴불발생(發生)과 수량(收量) (Distribution of Available Soil Phosphorus and Effect of Phosphorus Application on Appearance of Algal Waterbloom and Rice Yield in Honam Area)

  • 유철현;최정원;신복우;이상복;정지호;김성조;한성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0-274
    • /
    • 1996
  • 호남지방(湖南地方) 논 토양의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인산시용방법별(燐酸施用方法別) 괴불발생정도(發生程度)와 수도(水稻) 수량성(收量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94-'95년까지 연구한 결과(結果) 지대별(地帶別)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은 노령 동서(東西) 내륙지대(內陸地帶) 및 호남(湖南) 내릉지대(內陵地帶)에서 가장 높았고 차령 남부(南部) 평야지대(平野地帶)에서 가장 낮으며 지형별(地形別)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은 하성평탄지(河成平坦地)에서 가장 높았고 홍적태지(洪積台地)에서 가장 낮았다. 전북통(全北統)의 무기태(無機態) 인산(燐酸) 형태별 함량은 Ca-P이 가장 많았고, Fe-P, Al-P 순위(順位)를 보였다. 인산시비방법별(燐酸施肥方法別) 괴불발생(發生)은 기비(基肥) 100%시용구(施用區)와 70%구(區)에서 많았으며 인산무시용구(燐酸無施用區)와 3엽기(葉期)에 100% 시용(施用)한구(區)에서 가장 적었고 하해혼성(河海混成) 평야지(平野地)의 보통답(普通畓)에서 수도(水稻) 1모작시(毛作詩) 인산적정시용량(燐酸適正施用量)은 ha당 21kg였으며 인산시비방법별(燐酸施肥方法別) 쌀 수량(收量)은 관행(慣行) 시비량(施肥量)의 50%를 기비(基肥)로 시용시(施用時) 6%의 증수(增收)를 보였다.

  • PDF

벼와 피의 침관수에 따른 생장 반응 (Growth Responses of Rice and Barnyardgrass Varieties to Flooding at Early Growing Period)

  • 김해진;오성환;박종현;조성우;우선희;이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39-244
    • /
    • 2014
  • 본 연구는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벼와 피 종의 관수 처리 전 후의 생장 반응과 단백질 발현 양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 벼와 피종들의 자연 상태에서의 파종후 10일 벼와 피종들의 초장은 10 cm 정도로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후 25일부터는 벼에 비하여 피 종들의 초장이 더욱 현저하게 신장하였고, 피 종에서는 식용피의 초장이 현저히 신장되었다. 2. 벼와 피를 생육 초기에 관수하였을 때 벼의 초장은 관수후 3일에서 7일까지도 신장하였으나 피 종들의 초장 신장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관수기간 중 벼는 관수후 3일에 1.8배, 관수후 5일에 2.5배, 관수후 7일에 2.7배 정도의 신장률을 보인데 비하여 물피와 돌피는 1.1~1.3배, 식용피는 1.4~1.7배를 나타냄으로서 관수에 대한 저항도는 피에 비하여 벼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관수 종료후 벼와 피의 초장의 생장 속도를 보면 벼는 완만하게 생장하는데 비하여 피종들은 관수 종료후에는 벼보다 급격히 초장이 크게 신장하였고, 피 종에 따라서는 식용피>돌피>물피의 순으로 크게 신장하였다. 4. 관수에 따른 벼와 피의 단백질 spots를 비교한 결과 벼의 잎 단백질 spots은 모두 감소하거나 없어졌지만 피종들의 단백질 spots이 더 선명하게 감소하거나 없어졌다.

No-Touch Radiofrequency Ablation of VX2 Hepatic Tumors In Vivo in Rabbits: A Proof of Concept Study

  • Kim, Tae-Hyung;Choi, Hyoung In;Kim, Bo Ram;Kang, Ji Hee;Nam, Ju Gang;Park, Sae Jin;Lee, Seunghyun;Yoon, Jeong Hee;Lee, Dong Ho;Joo, Ijin;Lee, Jeong Mi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19권6호
    • /
    • pp.1099-1109
    • /
    • 2018
  • Objective: In a proof of concept study, we compared no-touch radiofrequency ablation (NtRFA) in bipolar mode with conventional direct tumor puncture (DTP) in terms of local tumor control (LTC), peritoneal seeding, and tumorigenic factors, in the rabbit VX2 subcapsular hepatic tumor model. Materials and Methods: Sixty-two rabbits with VX2 subcapsular hepatic tumo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rocedure: DTP-RFA (n = 25); NtRFA (n = 25); and control (n = 12). Each of the three groups was subdivided into two sets for pathologic analysis (n = 24) or computed tomography (CT) follow-up for 6 weeks after RFA (n = 38). Ultrasonography-guided DTP-RFA and NtRFA were performed nine days after tumor implantation. LTC was defined by either achievement of complete tumor necrosis on histopathology or absence of local tumor progression on follow-up CT and autopsy. Development of peritoneal seeding was also compared among the groups. Serum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nterleukin-6 (IL-6) were measured via ELISA (Elabscience Biotechnology Co.) after RFA for tumorigenic factor evaluation. Results: Regarding LTC, there was a trend in NtRFA (80%, 20/25) toward better ablation than in DTP-RFA (56%, 14/25) (p = 0.069). Complete tumor necrosis was achieved in 54.5% of DTP-RFA (6/11) and 90.9% of NtRFA (10/11). Peritoneal seeding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DTP-RFA (71.4%, 10/14) than in NtRFA (21.4%, 3/14) (p = 0.021) or control (0%). Elevations of HGF, VEGF or IL-6 were not detected in any group. Conclusion: No-touch radiofrequency ablation led to lower rates of peritoneal seeding and showed a tendency toward better LTC than DTP-R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