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ptera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산 애잎굴파리 속의 분류 (파리 목: 굴파리 과) (A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Liriomyza (Diptera: Agromyzidae) from Korea)

  • Sang Jae Suh;Yong Jung K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4호
    • /
    • pp.311-318
    • /
    • 1998
  • 한국산 애잎굴파리 속을 분류 동정한 결과, 모두 8종으로 정리되었으며, 그 중에서 3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처음 보고된다. 국내 분포종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으며, 기주식물 및 채집지를 정리하였다.

  • PDF

한국 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의 분포와 특성조사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 soils in Korea)

  • 김호산;박현우;이대원;유용만;김정일;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4-349
    • /
    • 1995
  • 해충의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요할 수 있는 Bactllus thuringiensis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전국의 다양한 토양을 채취하여 B. thuringiensis의 분포와 독성을 조사하였다. 총 548개의 토양을 전국 각지에 채취하여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 64개의 B. thuringiensis를 분리했다. 분리된 64개의 B. thuringiensis를 나비목의 누에(Bombyx mori), 파리목의 빨간집모기(Culex pipens), 딱정벌레목의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의 세 종에 대해서 독성을 검정한 결과, 누에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42.2%로 가장 많았으며, 누에와 빨간집모기에 동시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31.3%, 빨간집모기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20.3%의 비율로 분리되어 다양한 독성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쌀바구미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분리되지 않았고, 내독소 단백질은 형성하지만 독성이 없는 무독성 B. thuringiensis가 62%의 비율로 분리되었다.

  • PDF

cryIVD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Bacillus thuringiensis NT0423 균주 내독소 단백질의 모기 유충에 대한 독성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in Mosquitocidal Activity of Crystal Proteins from Bacillus thuringiensis NT0423 Transformed with cryIVD Gene)

  • 박현우;유용만;오현우;진병래;김인기;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5-90
    • /
    • 1996
  • 국내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 NT0423은 나비목과 파리목 곤충에 독성을 보이는 130 kDa의 전형적인 다이아몬드형 내독소 단백질을 생성한다. 이 균주의 파리목에 대한 독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B. thuringeinsis NT0423에 모기 유충에 강한 독성을 보이는 B. thuringiensis subsp. morrisoni PG-14의 cryVID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pCG10 플라스미드를 electropo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하였다. 형질전환체인 B. thuringiensis PT1227내에서 cryIVD와 숙주가 생성하는 원래의 다이아몬드형 130kDa 내독소 단백질 유전자는 그 자신의 형태로 잘 발현되었다. 형질전환체의 모기 유충에 대한 독성은 원래 숙주의 내 독소 단백질과ㅏ 도입된 CryIVD의 상승효과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 PDF

Molecular Phylogeny of the Subfamily Tephritinae (Diptera: Tephritidae) Based on Mitochondrial 16S rDNA Sequences

  • Han, Ho-Yeon;Ro, Kyung-Eui;McPheron, Bruce A.
    • Molecules and Cells
    • /
    • 제22권1호
    • /
    • pp.78-88
    • /
    • 2006
  • The phylogeny of the subfamily Tephritinae (Diptera: Tephritidae) was reconstructed from mitochondrial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using 53 species representing 11 currently recognized tribes of the Tephritinae and 10 outgroup species. The minimum evolution and Bayesian trees suggested the following phylogenetic relationships: (1) monophyly of the Tephritinae was strongly supported; (2) a sister group relationship between the Tephritinae and Plioreocepta was supported by the Bayesian tree; (3) the tribes Tephrellini, Myopitini, and Terelliini (excluding Neaspilota) were supported as monophyletic groups; (4) the non-monophyletic nature of the tribes Dithrycini, Eutretini, Noeetini, Tephritini, Cecidocharini, and Xyphosiini; and (5) recognition of 10 putative tribal groups, most of which were supported strongly by the statistical tests of the interior branches. Our results, therefore, convincingly suggest that an extensive rearrangement of the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Tephritinae is necessary. Since our sampling of taxa heavily relied on the current accepted classification, some lineages identified by the present study were severely under-sampled and other possible major lineages of the Tephritinae were probably not even represented in our dataset. We believe that our results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for a more rigorous sampling of additional taxa representing all possible major lineages of the subfamily, which is essential for a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tephritine tribal classification.

금강에 서식하는 꺽지(Coreoperca herzi)의 식성 (Studies on the Feeding Habits of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the Geum River,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2-478
    • /
    • 2017
  • 꺽지의 식성 분석을 위해 금강에서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채집을 하였고 크기는 전장이 38~70 mm, 71~109 mm, 110 mm 이상 등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먹이생물은 수서곤충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강도래목(Plec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등과 어류 이었다. 꺽지는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였고 개체수에 있어 98.8%, 생체량은 55.8%, 상대중요성 지수는 97.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성은 육식성이었으며 먹이 섭취 특성과 형태는 Keenleyside의 분류를 적용하면 육식포식자(stalker)에 속하였다. 꺽지의 주요 먹이원은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었고 잠자리류, 강도래류, 딱정벌레류, 어류 등은 희소하게 섭식하고 있었다. 꺽지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식한 먹이의 생체량에 있어 하루살이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날도래류와 어류가 증가하는 먹이 전환이 발생 하였다. 딱정벌레류와 파리류는 큰 변동이 없이 일정하였다. 전반적으로 꺽지는 먹이생물의 구성이 계절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다. 하천에 있어 꺽지의 자연증식과 서식지를 복원할 경우 주요 먹이원인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 다량 서식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