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peptidyl peptidase-4 억제제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디펩티딜 펩티다제 4 억제제 중 Sitagliptin과 Vildagliptin의 약물 사용 평가 (Sitagliptin and Vildagliptin Use Evaluation among Dipeptidyl Peptidase 4 Inhibitors in Adult Korean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박현정;이옥상;임성실
    • 약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36-143
    • /
    • 2012
  •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is characterized by high blood glucose in the context of insulin resistance and relative insulin deficiency. Diabetes is often initially managed by increasing exercise and dietary modification. As the condition progresses, medications may be needed such as oral sulfonylurea or others. Recently, dipeptidyl peptidase 4 (DPP- 4) Inhibitor is new drug which can control blood glucose by increasing the active levels of incretin hormone in the body. However,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for mostly Caucasian and Japanese, not for Koreans at all. Therefor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DPP-4 inhibitor (Sitagliptin, Vildagliptin) in patients with T2DM in Korea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retrospectively with reviewing of medical records from the 141 patients who received sitagliptin or vildagliptin over 24 week periods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09. Information including demographics, concomitant medication, disease duration, and exercise was evaluated. $HbA_{1c}$, random blood glucose, post prandial 2 hour glucose, blood pressure, AST, ALT, serum creatinin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evels were also collected at baseline and endpoint (at 24 weeks). In each post-treatment group, $HbA_{1c}$, random blood glucose and post prandial 2 hour glucose level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baseline in the sitagliptin group (-0.82%, -28.76 mg/dl, -46.65 mg/dl) and vildagliptin group(-1.22%, -27.96 mg/dl, -67.2 mg/dl). Greater $HbA_{1c}$ mean reductions from baseline to 24 weeks were seen in patients with higher baseline values (>7.0%), with shorter disease durations (${\leq}1$ year) compared with those with lower baseline values (<7.0%), with longer disease durations (>1 year) in both sitagliptin and vildagliptin groups. The incidences of hypoglycemia, headache and upper respiratory infection were 0%, 8.7%, 5.8% in sitagliptin group and 2.8%, 8.3%, 6.9% in vildagliptin group. In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DPP-4 inhibitor provided similar efficacy compared with sulfonylurea after 24 weeks of treatment and were safer than sulfonylurea in hypoglycemia for Korean T2DM. Also vildagliptin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improvement in $HbA_{1c}$ reduction in Korean patient with subgroup (body mass index<25 $kg/m^2$, metformin dose${\geq}$1000 mg, p<0.05) compared to sitagliptin. Therefore, even though DPP-4 inhibitor use for Korean needs to be studied more consistently in the future, DPP-4 inhibitor is a safe and effective drug for Korean T2DM based on our result.

우유단백질 유래 혈당 조절 기능성 펩타이드 (Anti-diabetic peptides derived from milk proteins)

  • 김선영;임지영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1권4호
    • /
    • pp.302-312
    • /
    • 2018
  • 우유 단백질과 같은 식이 단백질은 분해되기 전에는 대사 조절을 위한 생물학적인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나 장에서의 소화과정이나 단백질 분해 효소, 또는 미생물 발효 과정을 통하여 저분자의 펩타이드로 분해되어 수용체 결합을 통하여 생체조절기능을 발휘하거나, 체내 대사의 조절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우유단백질의 섭취에 의한 혈당 감소 효과는 여러 연구자에 의하여 확인되었으며, 그 작용 기전은 주로 분지사슬 아미노산에 의한 인슐린 분비촉진 기전과 음식물의 소화 과정 중 위장관에서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 촉진, glucagon의 분비를 감소시켜 혈당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내분비 호르몬의 일종인 GLP-1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을 생각할 수 있다. 생리적 환경에서 GLP-1은 GLP-1을 가수분해하여 불활성화시키는 DPP-4에 의하여 빠르게 분해되어 생물학적 활성을 소실하기 때문에 DPP-4 억제제는 제 2형 당뇨의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DPP-4의 억제 효능을 가진 다수의 기능성 펩타이드가 우유단백질의 분해에 의하여 생성됨이 보고되었으며 그 효능이 in vitro 연구는 물론 동물 모델을 이용한 연구에서도 증명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할 때 우유 단백질 유래 DPP-4 억제 펩타이드는 인체 적용 연구를 통하여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 개선효과 (Caulerpa okamurae ethanol extract improves the glucose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in vitro and in vivo)

  • 박철민;타쿠리랙스미센;류동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89-9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Caulerpa okamurae 에탄올 추출물(COE)이 제2형 당뇨병 치료의 약물 표적 중 하나인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COE는 in vitro 실험에서 단백질 티로신 포스타제 1B (PTP1B)와 디펩티딜 펩티데이즈-IV (DPP-IV) 효소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또한, COE는 3T3-L1 지방세포와 제브라피쉬에서 당 흡수, 인슐린 수용체 기질(IRS-1) 및 당 수송체(GLUT4) 단백의 발현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L6 근육세포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으로 유도된 인슐린 저항성 모델에서도 COE는 인슐린 신호전달 및 당 흡수 단백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켰다. 더불어 인슐린 저항성 지표로 알려진 IRS-1 Ser307의 인산화 활성도 COE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그러나 COE는 췌장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COE는 인슐린 표적세포와 제브라피쉬에서 인슐린 신호전달과 당 수송체 GLUT4 단백 발현의 조절을 통해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