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spyros kaki Thunb.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1초

감나무 생육 및 과실 특성의 연차 변이에 대한 주요 기온 요인 추출 (Selection of Main Air Temperature Factors on Annual Variation of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 전경수;김호철;한점화;김태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5-170
    • /
    • 2010
  • 본 연구는 감나무 생육 및 과실 특성의 연차 변이에 대한 주요 기온 요인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차 변이는 3월과 4월의 평균기온, 적산일수 빛 적산온도에서 가장 컸다. 25개 기온 요인 중 제1주성분으로는 연 평균 기온 요인들 14개, 제2주성분으로는 4월 기온요인들 3개로 추출되었으며 그 누적 기여율은 52.2%이었다. 제1주성분에 양의 영향력을 크게 받은 연도는 1990년, 음의 영향력을 크게 받은 연도는 1980년과 1986년으로 나타났다. 감나무의 전엽일, 개화일 및 과실 성숙일의 연간 편차는 4.0~6.7일 범위였으며 변이계수는 개화일, 전엽일에서 개화일까지의 일수가 가장 켰다. 그리고 파실 특성 중 과중, 당도, 경도는 연차 변이가 적었으나, 종자수는 평균 4.0개, 연간 편차 1.3개, 변이계수가 32.8로 연차 변이가 가장 컸다. 감나무 생육 및 과실 특성과 기온 요인들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화일에서 과실 성숙일까지의 일수는 10월의 평균기온 및 적산일수, 전엽일에서 개화일까지의 일수는 4월 평균기온, 과중은 3월 평균기온과 10월 평균기온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잎, 녹차의 건분 및 물, 에탄올추출물이 노령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and Green Tea Leave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 오현명;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3호
    • /
    • pp.285-298
    • /
    • 2001
  • Th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and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and green tea on lipid metabolis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12-month-old rats. Forty-nin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520$\pm$19g were block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Rats were raised for four weeks with control(no tea leaf powder or extracts) an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either 5%(w/w) dried leaf powders of persimmon(Diospyros kaki Thunb) or green tea(Camellia sinensis O. Ktze), or water or ethanol extract from equal amounts of each dried tea powder. Food intakes of all tea diet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Weight gains and food efficiency ratios of all tea diet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All tea diets decreased plasma triglyceride level, especially, green tea powder and persimmon ethanol diets were more effective than other diet. All the tea diet groups showed decrease in liver triglyceride level, and persimmon powder and ethanol extract increased fecal triglyceride excretion. Plasma cholesterol levels of all the tea diet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but control. Fecal cholesterliver cholesterol concegroups were significantlntrations of all tea y lower than that of ol excretions of persimmon powder, green tea ethanol extract, persommon ethanol extract and green tea ethanol extract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lasma and live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s of all the tea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Especially, plasma TBARS concentrations of green tea powder and persimmon ethanol extract groups were sinificantly low. Red blood cell(RBC)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ies of persimmon ethanol extract and green tea water extract groups were increased, and RBC catalase activities of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BC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ctivities of persimmon ethanol extract, persimmon water extract and green tea powder groups were increased. Liver SOD activities of all the tea diet groups except green tea ethanol extrac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Liver catalase activities of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liver GSH-px activity of green tea powd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In conclusion, dried leaf powders, and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and green tea were effective in lowering lipid level,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and increasing antioxdative enzyme activities in 12-month-old rat. Green tea leaf powder with high contents of flavonoids and water soluble dietar fiber was most effective in lowering plasma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TBARS level. (Korean J Nutrition 34(3) : 285~298, 2001)

  • PDF

추출 조건을 달리한 감잎과 녹차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이 노령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Different Condition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 김성경;이혜진;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5호
    • /
    • pp.499-512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water, 75% and 95%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on lipid metabolis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12-month-old rats. Fifty-four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542$\pm$4.5g were block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body weight and were raised for four weeks with the diets containing 5%(w/w) dried leaf powders of persimmon(Diospyros kaki Thunb) and green tea(Camellia Sinensis O. Ktze), water or 75% and 95% ethanol extracts from same amount of each dried tea powder. Foo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but weight gain of green tea powd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lasma and liver lipid levels of all the tea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Especially, 7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decreased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plasma and 9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decreased liver total lipid level.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75% ethanol extracts groups and 95% ethanol extracts groups in lipid metabolism.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 activities in erythrocyte were remarkably increased by all the green tea diets.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in liver were increased by the feeding of ethanol extracts from green tea and persimmon leaf powder. Liver xanthine oxidase activity was not different among all groups. Plasma Thiobarbirut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s of all the green tea die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 It was thought that high flavonoids in green tea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by promoting SOD, catalase activities in erythrocyte. 9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also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by high vitamin E and beta-carotene. Persimmon leaf powder decreased liver TBARS concentration by vitamin E, betacarotene and vitamin C and by increasing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with flavonoids. In conclusion, dried leaf powders, water, 75% and 95%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were effective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in 12-month-old rats. Above all,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decreased plasma and liver lipid levels and persimmon leaf powder effectively inhibited liver lipid peroxidation. Extracts of green tea leaf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ethanol extracts were more effective than water extrac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75% ethanol extracts and 95% ethanol extracts in lipid metabolism. (Korean J Nutrition 34(5) : 499~512, 2001)

  • PDF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 김은진;최주연;유미리;김미영;이상현;이복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7-3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약으로써 이용되었거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던 식물을 문헌고찰을 통해 40여종(자생식물 26종과 생약식물 14종)을 선발하여,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자생식물인 비수리의 폴리페놀(228.90 mg/g extract)과 플라보노이드 함량(90.15 mg/g extract)이 가장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75.69%)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감나무와 관중의 폴리페놀 함량(감나무 112.98 mg/g extract, 관중 121.46 mg/g extract)과 플라보노이드 함량(감나무 46.10 mg/g extract, 관중 58.69 mg/g extract)은 높은 편은 아니었으나, DPPH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2.87%와 79.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약식물에서는 삼백초의 총 폴리페놀함량이 194.60 mg/g extract, 애엽이 203.93 mg/g extract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삼백초 66.27%, 애엽 66.22%) 또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삼백초와 애엽을 제외한 12종류의 생약식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50% 미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 다양한 자생식물과 약용식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기능성 탐색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연구되지 않은 무수히 많은 식물 소재들이 많아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그 동안 대중화 되어있지 않았던 식물 소재들의 기능성 소재로의 가능성이 새롭게 조명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관련된 의약품, 미용제품 및 건강보조식품 등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조사한 자생식물과 생약식물 중 총 폴리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뛰어나게 나타난 몇몇 식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단감 품종 판별을 위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 적용 검정 (The Applic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for Discrimination of Sweet Persimmon Cultivars)

  • 박여옥;최성태;손지영;김은경;안광환;박지혜;정완규;장영호;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14-624
    • /
    • 2020
  • 최근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의 발달로 유전체 분석 사례는 증가하고 있으나, 단감에 있어 적용 가능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마커 및 적용 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 고유 떫은감 5품종으로부터 개발된 SNP primer 들을 단감 품종에 적용하여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Jung 등에 의해 개발된 19개 SNP primer들의 PCR 조건을 확인 한 후 본 실험의 전기영동 방식으로는 분석이 매우 어려웠던 8개의 primer를 제외한 11개의 SNP primer들을 최종 선발하였다. 1, 2차 검증을 통해 최종 선발된 11개의 SNP primer 들을 76품종 및 계통(불완전단감 20, 완전단감 30, 완전떫은감 20, 불완전떫은감 6)에 적용한 결과 38품종 및 계통(불완전단감 8, 완전단감 18, 완전떫은감 9, 불완전떫은감 3품종)은 각 품종 및 계통 간 구분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종 선발된 11개의 SNP primer 들을 신품종에 적용한 결과만를 보면 '감누리', '단누리', '홍추'와 '자미시', '미감조생'을 동시에 구분할 수 있어 단감 신품종 판별을 위한 특이적 마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어린 감 과실 분말 첨가가 쌀쿠키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persimmon fruit powder on rice cookie quality)

  • 성종환;박한솔;정헌식;김동섭;김한수;이영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60-1066
    • /
    • 2017
  • 어린 감 과실의 활용과 쌀쿠키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밀가루나 글루텐 무첨가 쌀쿠키의 품질특성에 어린 감 분말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쌀쿠키는 쌀가루 대비 감 분말을 0, 1.5, 3, 6 및 12%를 각각 첨가하여 반죽을 한 다음 두께 3 mm 직경 35 mm 원판으로 성형한 후 $170-180^{\circ}C$ 오븐에서 굽고 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손실률과 퍼짐성 지수는 감 분말첨가량에 따라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는 감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아짐을 나타내었다. 색도 $L^*$값과 $a^*$값은 감 분말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됨을 보였다. 총페놀 함량과 DPPH 유리기 소거능은 감 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첨가량 3%에서 큰 폭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따라서 어린 감 과실 분말첨가가 쌀쿠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었고, 쌀쿠키의 일반 품질특성 저하 없이 항산화능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감 분말의 첨가량은 3%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풋감 주정 추출물의 유전독성 연구 (Genotoxicity Study of Immature Green Persimmon Extract)

  • 함영민;윤선아;현호봉;고보람;정용환;오대주;윤원종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67-573
    • /
    • 2020
  • 감은 중국, 한국, 일본, 브라질, 터키, 이탈리아 등을 포함하는 온대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일부 아시아권 소비자들에게는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 원료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감에 포함된 풍부한 파이토케미컬들은 감을 섭취함으로써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의 미숙과인 풋감추출물(DKA)의 유전독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미생물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포유류 소핵발생시험을 수행하여 풋감추출물(DKA)의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미생물복귀돌연변이시험에서 DKA는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와 Escherichia coli WP2uvrA에서 S9 대사활성계의 존재에 상관없이 돌연변이 유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은 풋감추출물(DKA)처리군에서 소핵을 가진 다염성 적혈구와 전체적혈구 중 다염성 적혈구의 비율의 증가는 볼 수 없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에서 모든 세포주의 처리시간 및 S9 대사활성계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염색체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풋감추출물(DKA)은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기능성 식품 원료로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전정처리가 감나무 '고동시'의 수확량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ing on the Yield and Fruit Quality of 'Godongsi' Persimmon)

  • 유희원;김철우;박성인;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57-566
    • /
    • 2022
  • 본 연구는 감나무 '고동시'의 안정적인 고품질 과실 생산과 효율적인 재배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정 2년 차의 평균 본당 착과수는 결과모지수 300개, 400개, 500개 처리구 및 700개(대조구)가 각각 676.3개, 786.0개, 866.7개, 1,238.7개로 나타났다. 감나무 '고동시'는 전정강도가 강해질수록 평균 본당 착과수가 감소하였고, 평균 과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평균 과중은 결과모지수 300개 처리구에서 212.2 g으로 대조구 대비 1.5배 높았다. 고품질 곶감 가공을 위한 L(170 g<x≤200 g) 등급 이상의 과실의 비율은 결과모지수 300개, 400개, 500개 처리구 및 대조구에서 각각 86.9%, 48.6%, 33.5%, 8.1%로 나타났고, 전정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곶감 판매가격을 기준으로 본당 생산액은 결과모지수 300개 처리구와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착과수가 많을 경우, 곶감 품질은 낮고 수확 및 가공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가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감나무 '고동시'의 과실품질(과중, 등급)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정처리가 필수적이며, 전정 시 결과모지수를 300개 내외로 조절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고체 발효한약재의 대장암 세포성장 억제 활성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olid-State Fermented Medicinal Herbs Using Phellinus baumii against Human Colorectal HCT116 Cell)

  • 손호용;신용규;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68-12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 고체발효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36종의 한약재 및 이들의 고체발효 한약재 추출물을 대상으로, 인간 대장암세포(HCT116) 성장억제능, 정상세포(HEK-293, 3T3-L1 및MC3T3-E1)에 대한 세포독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 선별된 36종의 한약재 추출물은 100 ${\mu}g/ml$ 농도에서, 사인, 천궁, 석곡, 백선피, 시체, 두충, 백과, 신이, 와송, 삼칠, 견우자, 원지 및 괄루인의 13종에서 암세포 성장률이 50% 이하를 나타내었으며, 균사체 추출물은 46.3%의 성장률을 나타내었다. 반면 25종의 발효한약재 추출물은 대부분 암세포 성장억제능의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백선피, 백과, 신이, 황부자, 산약, 현삼 및 괄루인은 암세포 증식억제능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도인, 골쇄보, 구기자 및 패모에서는 암세포 성장억제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골쇄보, 구기자 및 패모 추출물의 대장암세포에 대한 $IC_{50}$는 각각 394, 917 및 149 ${\mu}g/ml$이었으나, 발효 후 각각 28, 85 및 80 ${\mu}g/ml$를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 골쇄보, 구기자 및 패모 추출물은 200 ${\mu}g/ml$ 농도까지 정상세포에서 미미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 고체발효가 새로운 항암 활성물질 개발 및 신규의 생리활성물질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감잎(Diospyros kaki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s)

  • 유기환;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91-16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되어진 감잎 추출물(PLE)의 추출방법을 달리하고 그 추출물을 비 특이적 흡착 resin을 사용하여 부분 정제함으로서 추출물의 활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PLE와 PLE의 부문 정제물(PPLE)의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항산화제와 항알레르기 개선제로써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효과에 관여하는 DPPH 라디칼 포착효능,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포착효능과 제Ⅰ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능에 관여하는 5-LO억제 효능, COX억제효능, NO소거효능 및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억제 효능(PCA)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LE와 PPLE의 페놀성 화합물은 각각 $230.0{\pm}19.6$ mg/g, $475{\pm}38.7$ mg/g이 함유되어 있었고,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34.8{\pm}6.5$ mg/g, $78.8{\pm}3.6$ mg/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LE와 PPLE이 각각 $23.8{\pm}63.2$ mg/g, $10.0{\pm}1.3$ mg/g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을, $47.6{\pm}3.4$ ppm, $22.4{\pm}3.3$ ppm의 농도에서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LE와 PPLE의 항알레르기 효능에 관하여 5-LO의 $IC_{50}$값이 각각 $77.1{\pm}11.7$ ppm, $38.6{\pm}7.0$ ppm으로 양성대조군인 EGCG의 $IC_{50}$($18.9{\pm}5.5ppm$)보다는 높았지만 PLE와 PPLE가 EGCG와 같은 단일물질이 아니라 천연혼합물임을 감안하였을 때 5-LO를 비교 적 낮은 농도에서 억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COX-2의 선택적 저해율을 COX-1과 COX-2의 비율 비교를 통해 나타낸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GCG보다는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다른 천연물과 비교하였을 때 COX-2를 상당히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주를 사용하여 낮은 세포독성과 NO소거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반응 억제 효과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감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고 있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관련 질병 예방 및 개선 또는 건강식품 원료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