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nophycea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초

선박평형 수 내 유해 와편모조류(Dinophyceae)의 분자생물학적 검출 (Molecular Detection of Harmful Dinoflagellates (Dinophyceae) in Ballast Water)

  • 박태규;김성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1호
    • /
    • pp.36-40
    • /
    • 2010
  • 선박평형 수는 유독 와편모조류 및 다양한 미세조류의 국제적인 이동경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평형 수에 있는 와편모조류의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와편모조류 특이적인 PCR primer와 종 특이적인 real-time PCR 유전자 탐침자를 이용하였다. 선박평형 수 시료에 대한 광학현미경 조사에서는 와편모조류가 매우 낮은 농도로 관찰되었지만, SSU rDNA의 cloning 및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서는 기생 와편모조류, 초미세플랑크톤, 어패류 폐사 원인종 등 다양한 종류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종 톡이적 PCR primer와 같은 분자생물학적 방법이 선박 평형 수에 외래 유입종의 신속 정확한 진단에 유용함을 보여주고 있다.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을 이용하여 2019년 남해도 해역에서 발생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적조의 조기검출 (Early Detec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Blooms in Namhaedo in 2019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 박태규;김진주;송선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4-680
    • /
    • 2020
  • 적조가 처음 시작되는 해역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을 경남해역 적조현장에 활용하였다. 2019년 경남해역을 대상으로 Cochlodinium polykrikoides를 qPCR로 정량분석한 결과, 6월 초에 저밀도로(0.0015~0.0058 cells mL-1) 검출되기 시작하여 8월 중순에는 최대 0.163 cells mL-1 밀도로 증가하였고, 주로 남해도 주변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8월 말에는 현미경 검경으로 남해도 주변에서 높게 출현함이 확인되었고(최대 24 cells mL-1), 9월 2일에는 남해도에서 적조주의보가 발령되었고(최대 200 cells mL-1), 9월 1일에는 최대 12,000 cells mL-1까지 남해도 해역에서 발생하였다. 위 결과는 극미량의 C. polykrikoides이 적조발생 전에 남해도에서 검출되었고 이후 같은 해역에서 적조가 발생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qPCR이 극미량의 C. polykrikoides을 조기검출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보여준다.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lexandrium tamarense and A. catenella (Dinophyceae) from Korean Coastal Waters

  • Kim, Keunyong;Kim, Chang-Hoo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1-272
    • /
    • 2001
  • Taxonomic studies of HAB species have been hindered by paucity of informative morphology, phenotypic variation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ifluences, lack of knowledge on their sexual reproduction. In Korea, two PSP incidents resulting in human deaths after eating contaminated mussels broke out in 1985 (Chang et al.1987 and 1996 (Lee et al, 1997). (omitted)

  • PDF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월 변동 (Monthly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 정병관;신용식;양성렬;박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4호
    • /
    • pp.238-245
    • /
    • 2011
  •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5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두 번에 걸쳐(2월, 8월)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이 발생하였고, 시기에 따라 발생 위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총 7개 분류군(Bacillariophyceae, Chlorophyceae, Chrysophyceae, Cryptophyceae, Cyanophyceae, Dinophyceae, Euglenophyceae) 134종이 출현하였다. 대체로 규조류(Bacillariophyceae)가 우세한 분포를 보였으나 하계에는 와편모조류가 증가하였고 내측해역보다는 외측해역에서 개체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과 차우점종 역시 규조류인 경우가 많았으나 6월부터 7월에는 와편모조류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생태지수 분석결과 종다양성지수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았으며 우점도지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Alexandrium tanarense (Lebour) Balech, A. catenella (Whedon et Kofoid) Balech and One Related Morphotype (Dinophyceae) in Korea

  • Kim, Keun-Yong;Matoko Yoshida;Yasuwo Fukuyo;Kim, Chang-Hoon
    • ALGAE
    • /
    • 제17권1호
    • /
    • pp.11-19
    • /
    • 2002
  • Twenty-nine culture strains belonging to the genus Alexandrium Halim (Dinophyceae) were established from water column or sediments in Korea. Seventeen isolates were identified as A. tamarense (Lebour) Balech, eight isolates as A. sp. cf. catenella and one as A. catenella (Whedon et Kofoid) Balech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ntral pore, the shape of the posterior sulcal plate and the sulcal width. Three isolates were unable to be identified due to considerable distortion of thecal plates and lack of enough materials, but typical of A. tamarense and/or A. catenella. The overall cell shape of A. tamarense was usually longer than wide. The posterior sulcal plate was definitely longer than wide dorsoventrally, and sulcus extended posteriorly without apparent widening. They were distributed in three major coasts of Korea. In contrast, the cell shape of A. sp.cf. catenella was generally anterior-posteriorly flattened. The transversal axis of the posterior sulcal plate was always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or both axes were nearly equal in length. Its sulcus was broader than that of A. tamarense and widened in the direction of antapex about 1.5 times. This morphotype existed in nearshore and offshore waters of the southern Korea sea. One of A. catenella isolates from Jinhae Bay showed no conspicuous differences with A. sp. cf. catenella except for the consistent absence of a ventral pore.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 (Effects of Light Quantity and Quality on the Growth of the Harmful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 오석진;윤양호;김대일
    • ALGAE
    • /
    • 제21권3호
    • /
    • pp.311-316
    • /
    • 2006
  • The effects of light qual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were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At 25°C and 30 psu the irradiance-growth curve was described as μ = 0.34 (I-9.76)/(I+12.5), (r=0.98). This suggests half-saturation photon flux density (PFD) (Ks) of 32.0 μmol photons m–2 s–1, and a compensation PFD (Ic) of 9.76 μmol photons m–2 s–1. Because the Ic equates to a depth of ca. 15.4 m, these responses suggest that irradiance at the depth around and below the thermocline in Yeosuhae Bay would provide favorable conditions for C. polykrikoides. Photoinhibition did not occur at 300 μmol photons m–2 s–1, which was the maximum irradiance used in this study. Blue (450 nm), yellow (590 nm) and red (650 nm) light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growth of C. polykrikoides: it grew well under blue light, but not under yellow light. This implies that C. polykrikoides is more likely to cause an outbreak of red tide in the open sea where blue-green wavelengths predominate, rather than in enclosed water bodies where suspended particles absorb most of the blue wavelengths, and yellow-orange wavelengths predominate.

제주 기생화산 화구호의 환경과 식물성 플랑크톤상 (Freshwater algal flora and environmental factor at crater of Cheju parasite volcano)

  • 김은희;이호원;이상명;강현무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9
    • /
    • 2002
  • 본 연구는 제주 기생화산 화구호의 생물다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00년 3월부터 11월까지 식물성 플랑크톤상을 조사했다. 결과 출현한 조류상은 전체 6강 12목 23과 44속 87종 13변종 2품종으로 전체 102분류군이 출현하였다. Chlorophyceae가 40분류군(39.2%), Bacillariophyceae가 34분류군(33.3%), Cyanophyceae가 14분류군(13.7%), Euglenophyceae가 9분류군(8.8%), Dinophyceae가 3분류군(3.0%), Chrysophyceae가 2분류군(2.0%)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 출현은 3월이 74 분류군이 5월에는 46분류군이 8월에는 21분류군이 11월에는 22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였다. 조사지별 출현은 물찻이 54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물영아리는 22분류군이, 물장오리는 26분류군이, 동수악은 12분류군이, 어승생은 6분류군이, 샘이오름은 27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였다.

  • PDF

어류치사성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생물의 유전적 진화 및 특성 (Genetic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Ichthyotoxic Cochlodinium polykrikoides(Gymnodiniales, Dinophyceae))

  • 조은섭;정창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453-1463
    • /
    • 2007
  • 본 연구는 유해성 적조생물인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유전적 계통진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24 종의 개체에 대한 SSU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C. polykrikoides는 와편모조류와 밀접한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고 있다. Neighbor-joining 혹은 parsimony 분석에 의하면 C. polykrikoides는 Gymnodiniales 보다 Prorocentrals 목 (order)에 훨씬 근접한 100% 유연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과 (family)로 분석해 보면 Gymnodiniaceae에 속해 있고, 특히 Prorocentrum micans와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형태적으로는 Gyrodinium속 (genus)에 가깝지만, 유전적으로는 Gymnodinium 속에 근접하고 있다. C. polykrikoides는 와편모조류 중에서 독립적인 계통군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p. micans는 Gymnodinium의 조상으로 추측되며, C. polykrikoides는 P. micans와 Gymnodinium 속의 중간단계인 것으로 보인다.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의 동아시아와 필리핀 유전형의 남해안 분포 (Distributions of East Asia and Philippines ribotype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in the South Sea, Korea)

  • 박태규;김진주;송선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3호
    • /
    • pp.422-428
    • /
    • 2019
  • 어류폐사 와편모조류인 Cochlodinium polykrikoides는 large-subunit(LSU) ribosomal RNA gene을 기반으로 전 세계적으로 4가지 유전타입이 알려져 있으며, 남해안에는 2가지 유전타입이 출현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 polykrikoides의 동아시아 타입과 필리핀 타입의 남해안 출현양상을 quantitative real-time PCR(qPCR)을 이용하여 3년간(2014~2016년) 조사하였다. 동아시아 타입의 경우 2014~2016년에 40~100% 비율로 남해안 전 정점(통영~완도)에서 검출이 된 반면, 필리핀타입은 대마난류 유입이 강했던 2016년에만 통영~고흥 일부 해역에서 1~2% 비율로 극미량 검출되었다. 위 결과는 동아시아타입이 남해안의 우점 C. polykrikoides 개체군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부 유영세포는 대마난류를 따라 외해역으로 부터 유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백야도 연안의 동계 해양환경 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군집 분석 (Analysis of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ies of Phytoplankton through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Water of Baegyado Island during Winter)

  • 김미경;박정원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47-255
    • /
    • 2004
  •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variations in a marine ecosystem through examin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 of Baegyado Island during winter. Water temperature, salinity, SS, NH$_4$-N, NO$_2$-N, NO$_3$-N and SiO$_2$-Si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chlorophyll a and species number according to stations and water depth. The total number of species was 88, composed of 94% Bacillariophyceae, 3.4% Chrysophyceae, 2.2% Dinophyceae and 1.1% Euglenophyceae. The dominant species were Rhizosolenia setigera, Skeletonema costatum and Stephanopyxis palmeriana. The maximum of standing crops was $5,450cells{\cdot}ml^(-1)$, while the minimum was $1,700cells{\cdot}ml^(-1)$. The coastal water was influenced with two water bodies which had characteristics of low water temperature - low salinity and high water temperature - high sali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