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methylamine (DMA)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5초

어육 열처리 가공중의 dimethylamine(DMA)의 변화 (CHANGES OE DIMETHYLAMINE (DMA) CONTENT IN FISH MUSCLE DURING HEAT PROCESSING)

  • 류병호;이종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5-120
    • /
    • 1974
  • 열처리 가공중의 발암성이 있는 nitrosamine의 전구물질이 되는 dimethylamine(DMA)의 함량 변화를 실험하였다. 신선한 어육중의 DMA함량은 명태가 피등어꼴두기, 조기. 고등어 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열처리 가공중의 DMA량의 변화를 보면 생시료에 비하여 명태는 열풍건조중 1.8배, 천일건조중 16,6배 증가하였다. 고등어는 배건중에 6.3배, 통조림 가공중에는 9.5배 DMA함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명태, 피등어꼴뚜기, 조기, 고등어 육에서는 dimethylamine, diethylam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Analysis of Dimethylamine and Trimethylamine in Fishes by Gas Chromatography

  • Oh, Myung-Cheol;Oh, Chang-Kyung;Kim, Sung-Hong;Kim, Soo-Hy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3호
    • /
    • pp.197-201
    • /
    • 1997
  • To develop a rapid analytical method of dimethylamine(DMA) and trimethylamine(TMA) in fish, the contents of DMA and TMA in squid(Illex illecebrosus and Sepiell maindroni), cod(Gadus marcrocephalus) and plaice (Paralichthys olivaceus) by gas chromatographic (GC) and colorimetric method were determined. Recoveries for DMA in fish were 86.8~102.5% by GC and 74.2~94.5% by colorimetric method, while those for TMA were 93.0~101.1% by GC and 62.9~117.5% by colorimetric method. The contents of DMA and TMA in fish by GC were 29.7~325.3mg/kg and 145.6~356.0 mg/kg, respectively, and these by colorimetric method were 20.0~241.2mg/kg and 139.1~304.3mg/kg,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DMA and TMA in fishes by GC after the solvent extraction was simpler and faster and showed better recovery than colorimetric method.

  • PDF

H/D substitution makes difference in photochemical studies: the case of dimethylamine

  • Kim, So-Yeon;Lee, Jeongmook;Kim, Sang Kyu
    • Rapid Communication in Photoscience
    • /
    • 제4권3호
    • /
    • pp.63-66
    • /
    • 2015
  • When the molecule in the excited state is subject to prompt predissociation, it is quite nontrivial to obtain vibrational structure of the excited state in general. This applies to the case of photochemistry of dimethylamine (DMA:$(CH_3)_2NH$). When DMA is excited to its first electronically excited state ($S_1$), the N-H bond dissociation occurs promptly. Therefore, $S_1$ vibronic bands are homogeneously broadened to give extremely small ionization cross sections and heavily-congested spectral features, making infeasible any reasonable spectral assignment. Here, we demonstrate that the predissociation rate of the excited state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NH/ND substitution to give the much better-resolved $S_1$ spectral feature, revealing the vibrational structure of the excited state of $DMA-d_1$ ($(CH_3)_2ND$) for the first time.

Strawberry, Garlic and Kale Consumption Increase Urinary Excretion of Dimethylamine and Trimethylamine in Humans

  • Chung, Mi-Ja;Lee, Soo-Jung;Shin, Jung-Hye;Sung, Nak-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9-23
    • /
    • 2003
  • Dimethylamine (DMA) is the immediate precursor of carcinogenic N-nitrosodimethylamine (NDMA).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using whole strawberries, and garlic and kale juic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concentrations of DMA and trimethylamine (TMA) in foods and urine. Experimental diets [an amino-rich diet as nitrosatable precursors in combination with added nitrate-containing drinking water without (TD1) or with whole strawberries or garlic or kale juices (TD2, TD3 and TD4, respectively), or a diet of low in nitrate and amino (TD5) were incubated in simulated saliva and gastric juices at 37$^{\circ}C$ for 1 hour. We also studied the urinary excretion of DMA and TMA after consumption of the experimental diets (TD1~TD5). Urine samples were obtained for 18 hrs after consumption of experimental diets and concentrations of DMA and TMA were measured in the digested diet and urine. The DMA concentration after incubation in experimental diets (TD1~TD5) was 4.7$\pm$0.3, 6.7 $\pm$0.2, 7.9$\pm$0.2, 7.1$\pm$0.2 and 0.3$\pm$0.1 mg/kg, respectively. Urinary excretion of DMA (TD1~TD5) was 22.0$\pm$5.0, 28.3$\pm$4.3, 29.2$\pm$4.1, 27.4$\pm$4.5 and 20.4$\pm$3.1 mg/18 hr, respectively. Consumption diets with added strawberries or juices of kale or garlic increased urinary TMA and DMA, suggesting that those precursors were excreted and not converted to the carcinogen, NMDA.

모노클로라민과 디메틸아민 농도가 NDMA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ochloramine and Dimethylamine Concentrations on the NDMA Formation)

  • 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755-759
    • /
    • 2008
  • 모노클로라민과 디메틸아민 농도와 관련 있는 염소, 질소, 탄소 비율에 따라서 소독부산물인 NDMA 생성을 여러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디메틸아민/모노클로라민 비율이 1에 근접 할 경우에 NDMA 생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주 작거나 너무 클 경우 생성은 급속하게 감소하였다. 염소/질소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NDMA 생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염소 성분이 생성에 중요한 지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접촉시간에 따른 NDMA 생성 영향을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72시간에서 급속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pH는 NDMA 생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조사되었다.

멸치 젓갈 숙성중의 dimethylamine의 생성 (FORMATION OF DIMETHYLAMINE IN THE COURSE OF ANCHOVY FERMENTATION WITH SALT)

  • 변재형;정보영;황금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3-231
    • /
    • 1976
  • 어류가공품중에 분포하는 2급 amino의 생성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로서, 멸치를 $22\%$의 식염을 첨가하여 $17^{\circ}C$$27^{\circ}C$의 온도별로 열성시키면서 숙성 일정별로 단백질과 TMAO의 분해생성물을 분석하여 2급 amino의 생성과 관계있는 몇가지 실험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단백질 질소는 $17^{\circ}C$$2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 전숙성기간을 통하여 일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미노태 질소는 단백태 질소의 감소에 반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때 아미노태 질소의 증가속도는 $27^{\circ}C$에서 숙성한 것이 $17^{\circ}C$에서 숙성한 것에 비하여 훨씬빨랐다. TMA는 TMAO의 감소와 더불어 증가하여 갔으며 숙성 69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온도에 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DMA는 $1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숙성 69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미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27^{\circ}C$에서 열성시킨 것은 숙성 59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DMA는 TMAO의 양적변화에 비추어, $1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상관계수 r=-0.811, 그리고 $27^{\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는 상관계수 r=-0.865로서 각각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멸치 젓갈 숙성중의 DMA의 생성원인은 그 기여율이 $17^{\circ}C$일 때 $r^2\fallingdotseq0.75$, TMAO의 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에 관한 예측과 비교 연구 (Prediction and Comparison for the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 김종오;김동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2-4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pH가 7과 8인 조건에서 디메칠아민 농도를 0.05 mM로 고정시키고 클로라민 농도 변화에 따른 NDMA 생성농도를 측정하여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이 1보다 클 때와 작을 때에 NDMA 생성에 큰 차이를 보여 통계분석에서 구분하여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NDMA 생성 농도는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에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개발한 회귀식을 근거로 하여 NDMA 생성 농도를 기존 연구에 적용한 결과 상대오차는 $-79{\sim}163%$로 조사되었다. 상수 처리장에서 원수의 디메칠아민 농도를 알 경우 이 식을 적용 하면 NDMA 발생 범위를 제시하여 주입할 클로라민 농도나 전처리 필요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청주(淸酒)의 주모발효중(酒母醱酵中) Nitrosodimethylamine 관련물질(關聯物質)의 변화(變化) (Changes of Substance Related Nitroso Dimethylamine During the Fermentation of Rice Wine Starter)

  • 박두현;홍재식;권태영;이태규;김태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93-203
    • /
    • 1988
  • 청주(淸酒)의 주모(酒母)담금액(液)을 달리하여 발효과정(醱酵過程)중에 pH, 산도(酸度), Nitrate, Nitrite, DMA의 변화(變化)와 발효종료(醱酵終了)후의 NDMA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발효기간(醱酵期間)중 pH는 발효(醱酵) 24시간 이후부터 일반적으로 pH 5.0 이하로 떨어졌고 발효종료(醱酵終了) 후의 산도(酸度)는 $0.51{\sim}0.89$ 이 있다. 주모발효과정(酒母醱酵過程)중 Nitrate의 함량(含量)은 12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減少)되었고 Nitrite는 酸度의 영향으로 발효(醱酵) 초기(初期)에 다량생성(多量生成)되었다가 완전히 소실(消失)되었으며 DMA는 각(各) 실험구별(實驗區別) 차이는 있으나 일정(一定)한 수준(水準)을 유지하였다. 발효종료(醱酵終了) 후 NDMA는 Nitrite와 DMA 첨가구(添加區)에서 472.1ppb, DMA에서는 329.0 ppb, Nitrite에서는 229.0 ppb 대조구(對照區)에서는 24.4 ppb 이였으나 시판(市販) 청주(淸酒)에서는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 PDF

식품중의 제2급 amine에 관한 연구( I ) - 어육중의 Dimethylamine의 함량 - (STUDIES ON SECONDARY AMINE IN FOODS ( I ) Contents of Dimethylamine in Fish Muscle)

  • 김장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2
    • /
    • 1978
  • 일상생활중 시장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요리하기 직전까지의 유통과정중, 어류의 단백질에서 미생물작용 또는 효소반응등에 의하여 생성된 2급아민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프법으로 정량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seudosciaena manchuria(참조기), $10.367mg\%$ ; Theragra chalcogramma(명태), $19.133mg\%$ ; Sardinops melanosticta(정어리), $22.833mg\%$ ; Scomber japonicus(고등어), $26.300mg\%$였다. 이상의 데이터는 1978. 2. 10 부산 충무어시장에서 재표를 구입하여 어육중에 존재한는 총 2급아민을 분석한 평균치이며, 이함량으로는 2급아민류를 분리할 수 없었다. 아민분석에 수고를 많이 해 주신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분석실의 김택재연구관님, 부산세관의 최원형 박사님과 부산공전의 방백원교수님께 감사를 표합니다.

  • PDF

새우젓 및 찹쌀풀 첨가가 김치발효중 저급 질소화합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used Shrimp and Cooked Glutinous Rice Flour on the Changes of Low Molecular Nitrogen Compounds Content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정미은;이혜준;우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30
    • /
    • 1994
  • 본 연구는 새우젓(5%, 10%) 및 찹쌀풀(2.5%)의 첨가가 김치발효중 저급 질소화합물들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것이다. 김치를 $10^{\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pH와 총산도, 유리당을 측정하여 김치의 발효정도를 조사하고, nitrite, dimethylamine(DMA)과 Volatile Basic Nitrogen(VBN) 함량을 정량하였다. 김치 발효초기의 아질산염 함량은 0.16-0.31 mg/kg의 수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10% 새우젓 첨가시료들 $(S_2,\;GS_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숙기인 숙성 6일 이후에는 모든 시료들이 검출한계미만으로 흔적정도를 나타냈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시료중의 DMA 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젓갈첨가량이 높을 수록 많이 검출되었다. 새우젓+찹쌀죽 첨가구$(GS_1,\;GS_2)$는 새우젓만 첨가한 시료들$(S_1,\;S_2)$보다 더 많이 검출되었다. 새우젓을 첨가한 시료들의 DMA 함량은 발효초기에 0.03-1.2 mg/kg이었으며, 발효말기에는 1.6-2.26 mg/kg이었다. VBN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점점 증가하여 새우젓 첨가구들$(S_1,\;S_2)$ 또는 새우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시료들$(GS_1,\;GS_2)$이 새우젓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들(C, G)보다 분명하게 높았으며, 새우젓 첨가구와 새우젓+찹쌀풀 첨가구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므로, 찹쌀풀을 첨가하는 것이 VBN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