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methoat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파굴파리의 충태별 약제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on Different Stages of the Stone Leek Leafminer, Liriomyza chinensis Kato (Diptera: Agromyzidae))

  • 최인후;장영석;김길하;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69-173
    • /
    • 2004
  • 몇가지 살충제에 대한 파굴파리 충태별 약제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알 상태에서 엽면 살포시 spinosad, dimethoate, emamectin benzoate, cartap 등의 방제가가 83% 이상으로 효과적이었다. 유충에 대해서는 dimethoate와 cartap이 87%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Dimethoate와 cartap을 엽면살포 후 잔효력을 조사한 결과 dimethoate는 약제처리 후 3일까지 93.3%의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번데기에 대해서는 terbufos GR, cartap GR이 88.2%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성충에 대해서는 dimethoate와 cartap이 95%이상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유충, 성충방제에는 dimethoate EC와 cartap SP, 번데기 방제에는 terbufos GR, cartap GR가 효과적이었다.

수도종자에의 Dimethoate 침투력 및 발아저해에 관여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ystemic Action of Dimethoate (O.O-dimethyl-S-(N-methylcarbamoylmethyl) phosphorodithioate) to the Rice Seeds and Phytotoxic Effects)

  • 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7-74
    • /
    • 1970
  • 본 실험은 볍씨를 Dimethoate 액에 침지처리하였을 경우 약제의 침투량 및 볍씨의 발아생리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수도품종 12개를 공시하여 침지시간, 농도 및 온도에 따르는 약제침투량 그리고 처리에 의한 볍씨의 발아생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imethoate 침투량은 공시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볍씨 100입당 약제침투량은 수성>관옥>농광>진흥>팔달>승판 5호>수원 82호>농림 6 호>시로가네>신 2호>풍광>재원의 순서 이었고 종자당 약제 침투량은 대립종에서 많았고 소립종에서 적었으며 1g당 약제침투량은 그와 반대로 소립종에서 많았다. 약제침투량과 볍씨의 흡수율과의 상관은 $\gamma=+0.35$로 낮았다. 2) 약제침투량은 침지시간, 농도 및 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처리온도의 영향이 컸다. $0.1\%$ Dimethoate에 48시간 침지처리하였을때 볍씨 1g당 약제 침투량은 $15^{\circ}C$에서는 0.174mg, $20^{\circ}C$술에서는 0.208mg 및 $30^{\circ}C$에서는 0.397mg이었다. 3) Dimethoate처리가 볍씨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발아저해도의 순위는 $0.1\%$ Dimethoate액에서 24시간 처리의 경우 팔달>수원 82 호>진흥>풍광>재건>시로가네>농광> 농림 6 호>신 2호>수성>승판 5호>관옥이었고 48시간 처리의 경우 진흥>승판 5호>수원 82호>팔달>농광>재건>신 2호>관옥>시로가네>풍광>수성>농림 6호이었으며 발아저해도와 약제침투량간의 상관은 $\gamma=0.683$로 유의하였다. 4) Dimethoate처리$(30^{\circ}C,\;0.2\%$액에서 24시간)에 의하여 볍씨의 발아가 억제되었으며 평균발아속도는 약 2일 지연되었고 그 정도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5) 공시품종의 발아속도와 발아저해율과는 정의 정관$(\gamma=+0.78$을 나타내었으며 발아속도가 빠른 품종에서 발아저해율이 낮았고 딴대로 발아속도가 늦은 품종에서 발아저해가 심하였다. 6) 공시품종의 화학적조성중 단백질이 발아저해도와 가장 관계가 깊었는데 단백질의 함량이 낮은 품종은 Dimethoate에 의한 발아저해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7) 공시품종의 KOH 붕괴도는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KOH 붕괴도가 큰 품종이 발아저해가 심하고 작은 품종은 덜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KOH 붕괴도와 단백질 함량과는 $\gamma=-0.422$의 높은 상관을보였다. 8) 공시품종의 산소호흡량은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Dimethoate처리$(30^{\circ}C,\; 0.2\%$액에서 24시간)에 의하여 볍씨의 호흡량이 감소되었다. 9) 산소호흡량과 평균발아소요일수와는 $\gamma=-0.945$로 부의 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산소호흡량이 많은 품종은 평균발아소요일수가 짧은 경향을 보였다. 10) 볍씨의 산소호흡량과 Dimethoate 처리에 의한 볍씨의 발아저해도와는 $\gamma=-0,771$의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산색호흡량이 많은 품종이 발아저해도가 낮고 적은 품종에서는 높았다.

  • PDF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Ziziphus mucronata Fruit Extract Against Dimethoate-Induced Toxicity

  • Kwape, Tebogo Elvis;Chaturvedi, Padmaja;Kamau, Macharia;Majinda, Runne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9
    • /
    • 2013
  • Objectiv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Ziziphus mucronata (ZM) fruit extract. Methods: The different types of fruit extract were prepared by soaking the dry powdered fruit in different solvents followed by rotary evaporation. Each extract was tested for its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 in vivo study was performed in Sprague-Dawley (SD) rats. Thirty adult male SD rats (aged 21 week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of five rats each and treated as follows: The normal control (NC) received distilled water while the dimethoate control (DC) received 6 mg/kg.bw.day-1 dimethoate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The experimental groups E1, E2, E3, and E0 received dimethoate (6 mg/kg.bw) + ZMFM (100 mg/kg.bw-1), dimethoate (6 mg/kg.bw) + ZMFM (200 mg/kg.bw-1), dimethoate (6 mg/kg.bw) + ZMFM (300 mg/kg.bw-1), and ZMFM (300 mg/kg.bw-1) only. Both the normal control and the dimethoate control groups were used to compare the results. After 90 days, rats were sacrificed, blood was collected for biochemical assays, and livers were harvested for histological study. Results: High phenol content was estimated, and 2, 2-diphenyl-1-picryl hydrazyl radical (DPPH) spectrophotometric,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d 2, 2-Azobis-3-ethyl 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ssays showed a high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extracts. The preventive effects observed in the E1, E2 and E3 groups proved that the extract could prevent dimethoate toxicity by maintaining normal reduced glutathione (GSH), vitamin C and E,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cholineasterase and lipid profiles. The preventive effect was observed to be dose dependent. The EO group showed no extract-induced toxicity. Histological observations agreed with the results obtained in the biochemical studies.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d that ZM methanol fruit extract is capable of attenuating dimethoate-induced toxicity because of its high antioxidant activity.

세척방법에 따른 상추중 유기인 잔류농약의 제거효과 (Removal Effects of Organic-Phosphorus Pesticide Residue in lettuce by washing methods)

  • 고복실;전태환;정규생;이성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1권2호
    • /
    • pp.159-171
    • /
    • 1996
  • 유기 인계 살충제 농약 (Diazinon, Dimethoate, Fenitrothion)이 부착된 상추를 대상으로 정체된 물, 흐르는 물, 중성세제, 알카리용액 및 산성용액 등으로 세척시간(10, 30, 50초)과 세척횟수(1, 2, 3회)별로 잔류농약의 제거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섯가지 세척방법에 의한 농약의 제거효과는 세척시간과 횟수가 늘어날수록 증가되었으며, 50초간 세척이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정체된 물을 세척제로 사용하여 50초간 3회 세척시 잔류농약의 제거율은 Diazinon 38.4%, Dimethoate 45.7%, Fenitrothion 24.6%이었으나, 흐르는 물에서는 Diazinon 29.4%, Dimethoate 37.7%, Fenitrothion 24.5%로 정체된 물에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알카리용액을 세척제로 사용했을때의 잔류농약 제거율은 Diazinon 32.1%, Dimethoate 49.5%, Fenitrothion 29.9%, 산성용액에서는 Diazinon 30.4%, Dimethoate 36.4%, Fenitrothion 21.0% 이었으며, 중성세제의 경우는 Diazinon 47.1%, Dimethoate 58.0%, Fenitrothion 39.5%로 다섯가지 세척제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만으로 볼 때 중성세제를 세척제로 하여 50초간 3회 세척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세척방법으로 조사되었다.

  • PDF

수도, 대맥 및 대두에 대한 침투성살충제의 종자분의처리효과 (Effects of Seed Treatment with Several Systemic Insecticides to Rice, Barley and Soybean)

  • 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5-120
    • /
    • 1973
  • 본 실험은 침투성살충제 Fussol, Dimethoate, Metasystox 및 Dimecron을 벼, 보리 및 콩씨에 분의처리하였을 때 발아에 미치는 영향과 살충효과 및 그의 지속성을 알기 위해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법씨는 Fussol처리에서 발아력을 완전히 잃었으며 Dimethoate 처이에서는 처리후 파종시까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아율이 크게 저하되었으나 Metasystox 와 Dimecron 처리에서는 발아저해가 비교적 적었다. 2) 보리씨는 Fussol처리에서 처리 후 1일 파종에서는 비교적 발아율이 높았으나 25일 파종에서는 발아력이 완전히 상실되었다. 그밖에 공시약제도 무처리에 비하여 약간의 발아저해가 있었으나 저장기문이 지나도 별로 발아력이 저하되지 않았다. 3) 콩씨에서는 처리후 1일 파종에서 공시약제 모두 비교적 좋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Fussol, Dimethoate 및 Metasystox는 처리후 25일 파종에서 발아에 저해가 컸고 Dimecron 처리에서는 발아저해가 비교적 적었다. 4) 볍씨 처리에서 Dimethoate는 파종후 20일까지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살충력이 좋았으나 30일 에서의 살충력은 낮았다. 그밖에 약제처리에서는 살충력이 모두 낮았다. 5) 보리씨 처리에서 Dimethoate는 옥수수테두리진딧물에 대하여 비교적 살충효과가 좋았으나 다른 약제처리효과는 낮았다. 주당 평균 산난수는 무처리 13개에 대하여 Dimethoate 2개, Fussol 4개, Metasystox 6개, Dimecron 7개이었다. 6) 콩씨 처리에서는 파종후 9일까지 공시약제 모두 좋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8일 조사에서는 Dimethoate, Metasystox 및 Dimecron에서 비교적 중은 살충효과를 보였으나 Fussol만은 살충력이 무처리와 차리가 없었다. 7) 침투성살충제의 분의처리에 있어서 발아저해와 살충력 및 그의 지속기간은 약제의 종류, 종자의 종류, 처리후 파종시까지의 경과일수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본다.

  • PDF

Effect of Some Bases Individually and Their Synergists with Dimethoate and Dichlorvos (DDVP) on the Mulberry Whitefly, Aleuroclava sp. Singh

  • Bandyopadhyay, U.K.;Santhakumar, M.V.;Das, K.K.;Chakraborty, N.;Saratchandra, 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1호
    • /
    • pp.51-56
    • /
    • 2001
  •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 tive control measures with some bases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Dichlorvos and Dimethoate for the whitefly Aleuroclava sp. Singh in the mulberry garden. Four common bases marketed in India Soda, Sunlight, Nirma and Surf at 1% concentration and their synergists with 0.02% Dichlorvos and 0.03% Dimethoate applied to mulberry plants reduced the whitefly by 46-95% (adults) 50-90% (nymphs) upto 15 days of application. Amongst the bases 1% Soda is more effective but, the mixing of 0.02% Dichlorvos with 1% Surf found more effective than 0.02% Dichlorvos With 1% Soda solution. As Surf and Dichlorvos mixture is costly for the control of whitely, Soda was found better (in combination with Dichlorvos) as it is cheaper and easily available to the farmers.

  • PDF

마늘 저장 중 부패병 방제를 위하여 처리한 농약의 경시적 농약 잔류량 평가 (Safety Assesment of Pesticides Treated on Garlic to Control Black Rot during the Storage)

  • 유오종;진용덕;황세구;이용훈;임양빈;김진배;권오경;경기성;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8-158
    • /
    • 2009
  • 마늘 저장 중 발생하는 부패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처리한 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침지와 경엽살포 및 관주처리 방법으로 농약을 처리한 후 경시적으로 마늘 중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부패병 방제를 위하여 시험농약인 diphenylamine, prochloraz, tebuconazole 및 dimethoate를 침지, 경엽살포 및 관주 처리한 후 6개월까지 저장하면서 매월 1회 잔류분석을 수행하였다. 잔류시험 결과 침지는 1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관주처리에서는 주당 50 mL를 처리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단양재래종, 의성재래종 및 남도종을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경시적 농약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단양재래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 0.008~0.28 mg/kg, tebuconazole 0.03~0.32 mg/kg, prochloraz가 0.02~0.12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2~0.25 mg/kg이었다. 의성재래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이 0.008~0.09 mg/kg, tebuconazole이 0.08~0.45 mg/kg, prochloraz가 0.02~0.57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4~0.38 mg/kg이었다. 또한 남도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이 0.008~0.52 mg/kg, tebuconazole이 0.07~1.67 mg/kg, prochloraz가 0.02~0.17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3~0.73 mg/kg이었다. 검출된 농약 중 tebuconazole은 잔류허용기준(MRL)인 0.1 mg/kg을 초과하였으나, dimethoate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MRL인 1.0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으며, diphenylamine과 prochloraz는 MRL이 설정되지 않아 추가적인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였다.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II. ULV 엽면살포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I). ULV Foliar Spray of the Insecticides)

  • 최승윤;이형래;안용준;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9
    • /
    • 1980
  • 본 시험은 살충제 제제원액(Sumithion ULV 80, Sevin oil ULV 50, Salithion EC25, Dimethoate EC 50, Zolone EC 25, Folimat EC 50)과 고농도 희석액(Salithion, Dimethoate 10, 20, 40배)의 ULV 엽면살포에 의한 술잎혹파리방제 효과를 비교 검토코자 실시하였다. 1. 제제원액 살포시험에서는 약제의 종류와 철포시기(5월 19일, 26일, 6월 2일, 9일)에 따라 방제효과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면 그 방제효과는 Salithion, Sumithion, Dimethoate, Sevin oil, Zolone 및 Folimat의 순이였으며 대부분 5월 26일 처리에서 비교적 방제 효과가 좋았다. 그리나 문제는 Zolone을 제외한 다른 공시약제들은 보다 처리시기에 상관없이 약해가 발생하였다. 2. 고농도 희석액 살포시험에서는 희석배수, 처리시기(6월 2일, 9일)에 상관없이 Dimethoate에 비하여 Salithion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으며 약해도 발생하지 않었다. 3.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Salithion 유제를 10배로 희석하여 5월 중하순에서 6월 상순경에 걸쳐 ULV 1회 엽면살포로서 성력적인 솔잎혹파리적 약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한 유사화학작용제의 제독 (Decontamination of Chemical Warfare Agent Simulants using Vapor-phase Hydrogen Peroxide)

  • 김윤기;유현상;김민철;황현철;류삼곤;이해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3호
    • /
    • pp.360-365
    • /
    • 2014
  • 과산화수소 증기는 기존 염소계열의 멸균제에 비해 부식성이 낮아 제약 및 의료 분야의 실내멸균제로 사용되며, 암모니아 가스 추가 시 화학작용제의 제독성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하여 HD, GD, VX의 유사작용제인 CEPS, DFP, dimethoate 등에 대한 제독효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자체 구성한 과산화수소 기화장치에서 발생시킨 증기를 제독챔버에 주입하여 반응시간을 유지하였다. 제독 후 잔류물을 GC/MS로 분석한 후 제독효율을 계산하였고, 각각의 유사작용제에 대한 반응 생성물을 통해서 화학작용제의 반응 메카니즘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CEPS는 30%의 상대습도에서 60분의 반응시간에 완전제독 되었고, 암모니아 가스 주입의 동반하에서 DFP는 30분, dimethoate는 150분의 반응시간에 완전제독되었다.

치료에 불응하는 지속적 저혈압과 고혈당 상태를 보인 dimethoate 중독 1례 (Dimethoate Intoxication with Refractory Shock and Hyperglycemia)

  • 김재은;정진희;배현아;어은경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49
    • /
    • 2007
  •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induce different clinical manifestations varying according to the different side groups attached to the phosphate, their rates of degradation, and their fat solubilities. In consequence of this variation, specific treatments are required for particular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We report a unusual case of intoxication with dimethyl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in a 26-year-old woman. She manifested atypical and ultimately fatal symptoms including profound shock, refractory hyperglycemia, and hypotherm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