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map

검색결과 1,798건 처리시간 0.029초

수치지도 Ver. 2.0 일반화스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ification of Digital Map Ver. 2.0 Generalization)

  • 박경식;정성혁;최석근;이재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5-410
    • /
    • 2006
  • The digital map version 2.0 is national base map which is used for frame work data, paper map making as well a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ational Geographic Institude has been research to make small scale digital map by using large scale digital map. NGI made from 25 1/5,000 digital maps to one 1/25,000 digital map ver 2.0 with map generalization system in 2003. However, they could not make 1/10,000 and l/50,000 digital map version 2.0 because of There is no portrayal on the scale 1/10,000 and 1/50,000 digital map in the existing regulations. therefore. We create the specification of the digital map on scale in order to make small scale digital map version 2.0 such as 1/10,000 and 1/50,000 scale.

  • PDF

Study and Practice on New Generation Digital-City Oriented 3D Digital Map

  • He, Xiaozhao;Li, Qi;Cheng, Jiche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14-916
    • /
    • 2003
  • Most current 3D digital maps are 2.5 dimension models based on DEM, which can only be recognized, browsed and operated by a special software, far from meeting the needs of a modern digital city (global) with the distributed, isomerous and multiple application on the real 3D representation and open sharing models. In this paper, a new generation digital city oriented 3D digital map is studied. Firstly, a real 3D digital map representation is presented. And then, some key techniques and methods for browser-based 3D digital map’s representation, display and operation are introduced, which can realized the open sharing of 3D map in distributed, isomerous and multiple application environment. Furthermore, the scale driving technique of proposed 3D digital map is also studied. And currently, some developments based on some of the above methods are being carried to provide key and general platform for other application software’s development.

  • PDF

고해상도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국가기본도 고도화 방안 (Advanced National Base Map by Using High-Resolution Digital Aerial Photograph)

  • 이현직;구대성;박찬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5-143
    • /
    • 2010
  • 국가기본도는 국가공간정보의 기준이 되는 공간정보로서 그 가치와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행 국가기본도인 1/5,000 수치지도는 품질 및 정확도의 한계로 인하여 기초 공간정보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보완 방안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 1/5,000 국가기본도의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으로 제작 가능한 수치지도 지형 지물 항목을 선정하고,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최적 수치지도 제작 실험을 통해 수치지도 제작 최적 방법을 정립하였다. 또한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정확도 및 활용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판독력 분석을 수행하여 대분류 9 개, 중분류 31개, 소분류 509개의 지형 지물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수치지도 제작 방법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실험을 수행하여 입체도화 방법을 수치지도 제작 최적 방법으로 선정하고, 최적 공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 성과를 이용하여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지도 시범 제작을 수행한 결과 기존 1/5,000 수치지도에 비해 약 2배의 수평 및 수직위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지형 지물의 상세한 묘사가 가능하여,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국가기본도를 제작할 경우 신뢰성 있는 공간정보를 제공으로 대국민 서비스 만족도 향상과 국가기본도 고도화를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치지도 품질향상을 위한 지리조사 기준 정립 (A Thesis of Field Survey Standard for Quality Improvement of Digital Map)

  • 최석근;이승기;조의환;박상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7-64
    • /
    • 2009
  • 현재 제작되고 있는 수치지도 지리조사 기준은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를 기준으로 각종 작업지침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는 과거 종이지도 제작에 사용된 규정을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어 현재의 수치지도 품질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고품질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지리조사에 관련된 전반적인 기준들이 재검토되어야 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치지도 지리조사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지리조사 기준을 정립하므로써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치지도 작성에 관련된 작업규정들을 분석하고, 기구축된 수치지도 속성자료와 지리조사자료 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지리조사자들과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합리적인 수치지도 지리조사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토공현장 디지털맵 시계열 변화분석 프레임워크 기술개발 (Development of Framework for Digital Map Time Series Analysis of Earthwork Sites)

  • 김용건;박수열;김석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2-32
    • /
    • 2023
  • Due to the increased use of digital map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high-quality digital map analysis. With the large amounts of data found in digital maps at earthwork sites, there is a particular need to enhance the accuracy and speed of digital map analysis. To address this issue, our study aims to develop new technology and verify its performance to address non-ground and range mismatch issues that commonly arise. Additionally, our study presents a new digital map analysis framework for earthwork sites that utilizes three newly developed technologi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igital map analysis. Through this, it achieved about 95% improvement in analysis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framework.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digital map analysis data of earthworks.

다축척 수치지도의 도로 및 건물정보 일괄갱신 연구 (A Study on the Consecutive Renewal of Road and Building Information in the Multi-scale Digital Maps)

  • 박경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1-28
    • /
    • 2011
  • 기존의 수치지도 1.0에서는 가장 대축척인 1/1,000수치지도를 이용하여 1/5,000과 그 이하 소축척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1/1,000과 1/5,000 이하의 수치지도는 각각 다른 축척의 항공사진으로부터 제작되었다. 차세대의 수치지도는 가장 대축척인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점차 소축적의 수치지도가 연속으로 연관되어져야 하며, 이것은 데이터의 공유와 일괄갱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수치지도 2.0이 개발된 이래 다축척 연속수치지도제작에 관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다시 시작되었다. 다축척 연속수치지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축척간에 연계되는 일반화 기준을 결정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1/1,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1/5,000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일반화 기준을 정립하였다. 또한, 정립된 기준을 이용하여 자동일반화를 수행함으로서 일괄갱신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DIGITAL (k0,k1)-COVERING MAP AND ITS PROPERTIES

  • HAN, SANG-EO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6권1호
    • /
    • pp.107-117
    • /
    • 2004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digital $({\kappa}_0,\;{\kappa}_1)$-covering map and a local $({\kappa}_0,\;{\kappa}_1)$-homeomorphism. And further, we show that a digital $({\kappa}_0,\;{\kappa}_1)$-covering map is a local $({\kappa}_0,\;{\kappa}_1)$-homeomorphism and the converse does not hold. Finally, some property of a digital covering map is investigated with relation to some restriction map. Furthermore, we raise an open problem with relation to the product covering map.

  • PDF

A STUDY ON THE CALCULATING THE AMOUNT OF UPDATING DIGITAL MAP USING REMOTELY SENSED DATA

  • Yoon Yeo-Sang;Cho Hong-Beom;Kang In-G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272-275
    • /
    • 2005
  • The digital map expresses natural topographies and artificial things with 3D position coordinates in the computer such as the road, railway, building, river, mountain, paddy and dryland. Therefore, the digital map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most recent topographic information all the times because of restricted budget and time. For that, the efficient method corresponded with the digital map should be present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way to make an estimate of updating cost for 1:5,000 scale digital map by using remotely sensed data. To predict updating area of the digital map, the screen digitiz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overlapped images and digital maps.

  • PDF

국외 수치지도 제작 현황 및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Property of Foreign Digital Map)

  • 박정현;허민;이용욱;배경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7-89
    • /
    • 2009
  • 국내의 수치지도는 도엽단위의 2차원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의사결정에 직접 이용하는데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선진국에 대한 수치지도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의 National Map과 영국의 Master Map은 데이터에 연속성과 최신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유일식별자를 포함하고, ISO, OGC 등의 국제표준을 참고하여 수치지도가 제작되고 있었다.

  • PDF

디지털 항공영상의 도화성과를 이용한 소축척 수치지도 제작 (Small Scale Digital Mapping using Airborne Digital Camera Image Map)

  • 최석근;오유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1-147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많이 촬영되고 있는 고해상도 디지털 항공영상자료를 가지고 제작된 대축척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소축척 수치지도를 제작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 및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치지도지형 지물들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들 자료를 기초로 축소편집 작업 공정에 따라 자료를 입력, 지형 지물항목정리 및 삭제, 자료편집 및 검수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8개의 불필요한 지형지물을 삭제하였고, 1/5,000 수치지도 정확도에 만족하였으며, 자료크기와 지형지물 수는 증가하였으나, 이는 디지털 항공영상의 표현능력이 우수하여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항공영상에 의한 대축척 수치지도를 가지고 소축척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것은 표현능력이 우수하여 질 좋은 수치지도 정보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