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ecutive Renewal of Road and Building Information in the Multi-scale Digital Maps

다축척 수치지도의 도로 및 건물정보 일괄갱신 연구

  • 박경식 (인하공업전문대학 지형공간정보과)
  • Received : 2010.12.14
  • Accepted : 2011.01.3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In the existing digital map of the Ver.1.0, it is impossible to make a small scale digital map, which is under the 1/5000 scale map, by using the 1/1000 digital map which is the most large scale one. Because of this reason, the existing digital maps are produced into a 1/1000 and a 1/5000 map by means of two different scale aerial photos. The next generation digital map should be successively related to a small scale digital map based on the most large scale digital one. This is so important from the aspects of data share and the consecutive renewal. Ever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map of the Ver. 2.0, the possibility of making a multi-scale consecutive digital map has been presented and the related research has been done again. The most basic thing in the multi-scale digital maps is to decide the criteria of the generalization between the two scales. In this study, I try to formulate the criteria of the generalization required to make the 1/5000 digital map by using the 111000 digital one. In addition, I by to explor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consecutive renewal by carrying out auto-generalization.

기존의 수치지도 1.0에서는 가장 대축척인 1/1,000수치지도를 이용하여 1/5,000과 그 이하 소축척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1/1,000과 1/5,000 이하의 수치지도는 각각 다른 축척의 항공사진으로부터 제작되었다. 차세대의 수치지도는 가장 대축척인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점차 소축적의 수치지도가 연속으로 연관되어져야 하며, 이것은 데이터의 공유와 일괄갱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수치지도 2.0이 개발된 이래 다축척 연속수치지도제작에 관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다시 시작되었다. 다축척 연속수치지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축척간에 연계되는 일반화 기준을 결정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1/1,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1/5,000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일반화 기준을 정립하였다. 또한, 정립된 기준을 이용하여 자동일반화를 수행함으로서 일괄갱신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지리원 (1998), 대축척 수치지도의 소축척변환 연구, 국립지리원.
  2. 국립지리원 (1999), 대축척 수치지도의 소축척 변환 및 래스터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국립지리원
  3. 국립지리원 (2002), 지도제작자동화, 국립지리원, pp. 27-31.
  4. 국토지리정보원 (2003), 지도축소편집자동화 시스템개발, 국토지리정보원, pp. 26-34.
  5. 국토지리정보원 (2004), 지도축소편집자동화 시스템개발(II), 국토지리정보원, pp. 26-34.
  6. 대한측량협회 (2000),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 측량관계 법령집, pp. 657-672.
  7. 박경식, 임인섭, 최석근 (2001), 수치지도 일반화 위치정확도 품질평가, 한국측량학회지, 제 19권 2호, p. 179.
  8. 박경열 (1999), 수치지도제작을 위한 자동일반화시스템 개발, 충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희연 (1995), 지도학, 법문사.
  10. Ruas, A., and Plazanet C.(1996), Strategies for Automated Generalization, Proceedings,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patial Data Handling, Vol. 1, 1996. pp. 6.1-6.17.

Cited by

  1.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of Buildings for Map Generalization vol.6, pp.10, 2017, https://doi.org/10.3390/ijgi6100309
  2. 국가기본도용 Hybrid 공간정보 모델 개발 vol.32, pp.4,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14.32.4-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