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horizontal level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수치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의 품질 분석 (Quality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 이현직;유지호;김상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1-149
    • /
    • 2010
  • 3차원 공간정보는 효율적 국토이용 및 관리, 지자체의 도시계획수립, 도시관리 등 도시 활동의 입체적인 표현과 분석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써 공공분야뿐만 아니라 공간정보 서비스 산업 활성화로 민간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고품질 3차원 공간정보의 생성을 위해서는 원시영상 및 3차원 지형모델의 품질 뿐만 아니라 LoD 수준, Texturing과 같은 가시화 수준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하지만 기존 3차원 국토공간정보는 구축 공정이 복잡하고, 기 제작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자료의 최신성이 부족하다. 또한 일반정사영상의 이용으로 영상의 기복변위가 존재하여 가시성이 낮고, LoD 수준이 2~3급 정도로 인공지물의 3차원 모델이 단순화 되어 현실감이 다소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대축척 디지털항공사진카메라와 다방향 촬영 디지털카메라로 촬영된 디지털항공사진영상을 이용하여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적용한 3차원 모델링 기법으로 제작된 3차원 공간정보의 품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3차원 모델의 가시화 정보의 정확도 분석결과 별도의 가시화 정보의 획득 없이 원영상만으로 84% 이상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촬영시기와 동일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이 가능하여 자료의 최신성 확보가 용이 하였고, 작업공정의 실감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 분석결과 1:1,000 수치지도의 수평위치 허용정확도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360° 카메라 영상의 효율적인 스티칭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Stitching Technique of 360° Camera Image)

  • 이랑구;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335-341
    • /
    • 2018
  • 본 연구는 두 개의 어안렌즈로 구성된 이안식 일체형 $360^{\circ}$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의 효율적인 스티칭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번들 프로그램의 스티칭 결과물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전문 스티칭 프로그램인 Autopano Video Pro와 Autopano Giga를 사용한 스티칭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완성도 높은 스티칭 기법을 찾아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 결과 번들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는 수평과 수직의 왜곡, 노출과 컬러의 불일치, 그리고 매끄럽지 못한 스티칭 라인 등이 나타났으며, Autopano Video Pro와 Autopano Giga의 Automatic Horizon과 Verticals Tool로 수평과 수직을, Levels와 Color 및 Edit Color Anchors로 노출과 컬러를, 그리고 Mask 기능으로 스티칭 라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이안식 일체형 $360^{\circ}$ 카메라 촬영 영상의 효율적인 스티칭 기법으로 더욱 완성도 높은 $360^{\circ}$ VR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오차분석을 이용한 지도 위치정확도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p Accuracy Assessment of Positioning Data Using Statistical Approach Analysis)

  • 조봉환;이용웅;최선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8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오차분석 이론 연구와 미국 지도 정확도 기준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지형조건에 적합한 지도위치 정확도 기준을 축척 1:50,000 지형도에 대해 제시하였다. 선형오차확률(LEP)이론과 원형오차확률(CEP)이론을 지도 정확도 평가기법에 적용하고, 위치오차에 대한 신뢰구간을 90%로 설정하여 추정한 오차를 정확도 평가기준이 되도록 하였다. 제안한 평가기준과 평가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의 교차점, 식생의 경계점, 산의 정상, 독립건물 등 관측점(60점)의 위치를 선점하였다. 각 관측점에 대하여 GPS로 측량하여 기준좌표자료를 획득하고, 항공사진으로부터 제작된 수치지형도와 위성사진으로부터 제작된 수치지형도 및 기존의 축척 1:50,000 지도의 위치정확도를 시험평가하였다.

  • PDF

무인항공영상 기반 3D 모델의 세밀도와 위치정확도 평가 (Assessment of LODs and Positional Accuracy for 3D Model based on UAV Images)

  • 이재원;김두표;성상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97-205
    • /
    • 2020
  • 무인항공사진측량은 기존의 유인항공사진측량에 비하여 고해상도의 영상을 신속하게 취득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의 활용성이 커지는 시점에서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3차원 모델 제작은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제작하고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 작업규정에 명시된 세밀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면상에 존재하는 지형·지물의 경우 높은 세밀도 Level을 보였지만, 고저차가 있는 지형·지물의 경우 폐색지역 및 시차로 인하여 낮은 세밀도 Level을 나타냈다. 정량적 분석은 검사점과 주변 구조물에서 취득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검사점의 경우 평균오차가 평면에서 0.042~0.059 m, 표고에서 0.050~0.161 m로 나타났으며 구조물의 모서리를 이용한 정확도 분석 결과는 평균오차가 평면에서 0.068 m, 표고에서 0.071 m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인항공사진측량에 의한 3차원 모델은 디지털 트윈, 사면 경사도 분석 및 BIM분야에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Accuracy of a direct drill-guiding system with minimal tolerance of surgical instruments used for implant surgery: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 Lee, Du-Hyeong;An, Seo-Young;Hong, Min-Ho;Jeon, Kyoung-Bae;Lee, Kyu-Bo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3호
    • /
    • pp.207-213
    • /
    • 2016
  • PURPOSE. A recently introduced direct drill-guiding implant surgery system features minimal tolerance of surgical instruments in the metal sleeve by using shank-modified drills and a sleeve-incorporated stereolithographic guide templ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is new guided surgery system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using geometric analyse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study, 21 implants were placed in 11 consecutive patients using the direct drill-guiding implant surgery system. The stereolithographic surgical guide was fabricat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digital scanning,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ssisted manufacturing, and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After surgery, the positional and angular deviations between planned and placed implants were measured at the abutment level using implant-planning software. The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deviations (${\alpha}=.05$). RESULTS. The mean horizontal deviations were 0.593 mm (SD 0.238) mesiodistally and 0.691 mm (SD 0.344) buccolingually. The mean vertical deviation was 0.925 mm (SD 0.376) occlusogingivally. The vertical deviatio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horizontal deviation (P=.018). The mean angular deviation was 2.024 degrees (SD 0.942) mesiodistally and 2.390 degrees (SD 1.142) buccolingually. CONCLUSION. The direct drill-guiding implant surgery system demonstrates high accuracy in placing implants. Use of the drill shank as the guiding component is an effective way for reducing tolerance.

Evaluation of alveolar crest bone loss via premolar bitewing radiographs: presentation of a new method

  • Safi, Yaser;Kadkhodazadeh, Mahdi;Safai, Pooria;Esmaeelinejad, Mohammad;Shamloo, Nafiseh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4권5호
    • /
    • pp.222-22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nterdental bone level in premolar bitewing radiographs while retracting the cheeks. Methods: Seventy-two horizontal bone defects were created on dried mandibles and maxillae. The distance from the bone level to the cement-enamel junction of premolars was detected by a modified digital caliper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The reliability of all radiographs was assessed b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the validity was compared to the gold standard using the analysis of variance test. P-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radiographs without a cheek simulator and with 0.16 second exposure tim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two other groups (ICC=0.96 compared to 0.93 and 0.88,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the radiographs without a cheek simulator and with 0.16 second exposure time were more similar to the gold standard measures than those of the two other group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Retracting the buccal soft tissue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accuracy of radiographs in detecting the interdental alveolar bone level and produces more accurate results than increasing the exposure time, although i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role in reliability of results.

시분할 방식을 이용한 3차원 초음파 풍향풍속계 측정기술 개발 (Development of 3 - Dimensional Ultrasonic Wind Direction Anemometer Measurement Technique Using Time Division Method)

  • 이우진;최재영;김경원;임재홍
    • 센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6-72
    • /
    • 2017
  • The three dimensional ultrasonic anemometer was constructed to reduce the disadvantages of the two-dimensional anemometer and to be free from the use environment. Three pair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nic sensors were designed to face each other at an angle of $45^{\circ}$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t intervals of $120^{\circ}$. 200 kHz ultrasonic sensor Oscill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level detection, power supply circuit were designed and U, V, W wind speed vector components were obtained by measuring the time of first received ultrasonic pulse by transmitting pulse ultrasound. It is implemented as firmware in ARM Coretex-M3 processor so that horizontal and vertical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 by vector calculation. In this study, The three-dimensional ultrasonic anemometer can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two-dimensional anemometer (mechanical and ultrasonic), and it is expected to gradually replace the two-dimensional anemometer due to its high utilization rate by collect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vertical wind.

유한요소법에 의한 다점지지축계의 연성자유횡진동 계산에 관한 연구 (A theoretical calculation of coupled free, transverse vibration of the multi-supported shaft system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 유광택;전효중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41-49
    • /
    • 1986
  • With the trend towards high propulsive level, increasing ship's dimensions and heavier shaft systems supported by the hull structure of relatively stiffness in modern ships, transverse vibrations of propulsion shaft system have become one of the problems that should be predicted in the early design stage. Regarding transverse vibrations, coupling terms such as oilfilm, gyroscope and hydrodynamic effect of the propeller exist betwee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vibration, furthermore for the shaft system with strut and bossing its physical properties incorporated with hull structure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predict the transverse vibratory condition of the propulsion shaft and take som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it is necessary to make a fairly strict estimation of the vibratory behaviours of it. In this paper, theoretical approach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investigated to calculate natural frequencies and vibration modes for coupled free transverse vibrations of shaft system in two planes. Based on the method investigated a digital computer program is developed and is applied to calculate the above-mentioned vibrations of an experimental model shaft system. The results of the calculation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and they show an acceptable agreement.

  • PDF

민간기업사례분석을 통한 협업환경에 대한 연구: 공공부문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nvironment of Collaboration on Private Enterprises: Focusing on the Implications for Public Organization)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1-7
    • /
    • 2016
  • 최근 들어 민간기업 뿐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협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한 연구들에서는 기업과 대학, 다른 기관들과의 협업을 통한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자신이 필요한 기술이 다른 기업이나 기관에 존재할 수 있고, 따라서 그런 기술이나 지식을 공유하고 각자 더 새로운 것을 만드는 체제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협업을 통한 당사자들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협업체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공공부문도 역시 협업이 필요하다. 갈수록 개별기관 수준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태적으로 공공기관은 민간 기업에 비해 협업이 불리한 환경에 놓여있다. 조직구조가 계층적일 뿐 아니라 협업 주체들 간의 관계 또한 수평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다. 의사소통의 양이 적은 것은 물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기업 중 협업을 성공적으로 이어가고 있는 기업의 협업과정을 분석하여 우리 공공기관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에서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관정 데이터와 GIS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하수면 분포 추정 (Estimation of Ground Water Table Using Well Data and GIS Digital Map)

  • 이처경;문추연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3-139
    • /
    • 1999
  • 지하수 자원의 분포 파악과 효과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지하 환경 탐사의 통계적 방법 Kriging을 이용하여 경북 포항시 북부 지역에서 측정된 데이터로(농어촌진흥공사. 1997)부터 지표면으로부터 지하수면 까지의 깊이와 지하수면의 해발 고도 분포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GIS 사업중 해당 지역의 1:5000 수치 지도(국립지리원)를 이용하였다. 지하수면 깊이는 대체로 7-9.5 m를 나타내며 산봉우리와 농업 용수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에서는 9.5 m를 상회하여 나타난다. 지하수면의 고도 분포는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낮아지며 최대 변화율은 동서로 6 km 당 90 m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지점에서는 지하수가 하루에 수 m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