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Signage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6초

Location Responsive Vehicle Digital Signage System for Visual Mobile Advertisement

  • 이병덕;양승연;신재권;김진태;이선희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9-53
    • /
    • 2017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ombination of location based mobile advertisement services and dynamic digital signage markets has been developing recent days to provide consumer admired visual mobile advertisement on all kind transportation vehicles. In spite of that, the digital signage advertisement content management is still not that easy to manage the content dynamically as well operation is most time consuming to handle the contents dynamically in digital signage business. As location based services is most impactful service in shopping, the location responsive advertisement on vehicle signage will be most desirable mobile advertisement to help people migrate from one place to another place for travel or stay. This paper propose a mobile location responsive digital signage system for vehicles using the GPS and wireless infrastructure integrated with digital signage system. This proposed research use the centralized digital signage system architecture for the mobile advertisement application and this system can be expanded to different vehicles for digital advertisement including buses, trucks, train, air vehicle and any other form of mobile advertising vehicles. Also, this present an effective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by which the advertisement can be selected broadcasted for the right advertisement ventures more effectively as the service requested from advertiser. This paper present the emulated experimental result to evidence the proposed dynamic vehicle signage system performed better than compared with traditional signage random advertising. The emulated result proves that the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can effectively works out the targeted key audiences in location responsive region the algorithm evaluated.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즈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Signage System on Cloud computing-based)

  • 김용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283-288
    • /
    • 2012
  • 본 논문에서 구현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즈 시스템은 기존의 디지털 사이니지 소프트웨어의 콘텐츠 생산의 불편함과 IPTV처럼 제작된 셋톱박스 관리의 불필요한 비용, 시간, 인력 등을 절감함으로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웹에디터와 같은 저작기능을 추가하여 차세대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광고 또는 홍보)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Digital Signage User Satisfaction Model: The Dual Effect of Technological Complexity

  • Lee, Mi-ah;Lee, Sooyeon;Ko, Eunju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5-27
    • /
    • 2021
  • This paper seeks to suggest user satisfaction model of digital signage to see how new in-store technology can effectively lead to customers' shopping satisfaction in fashion retails. Authors in particular focus on technological complexity, which is expected to serve a subtle role in using digital signage. This study employed a scenario-based online survey. Interactive digital signage with virtual try-on and video-captures functions was used as stimuli.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respondents and 307 useable responses were analyzed to examine a proposed model. Research model compares dual paths of motivators: the extrinsic motivation route that leads from usefulness to shopping outcome satisfac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route that leads from enjoyment to shopping process satisfaction. Technological complexity of digital signage indirectly and negatively influences shopping outcome and process satisfaction, mediated by usefulness and enjoyment, but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shopping process satisfaction. In omni-channel environments,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ashion retail managers in using digital signage to maximize customer satisfaction and to counterbalanc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echnological complexity.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 및 표준화 동향과 향후 활성화 방향 (The Recent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Status and Future Vitalizations for Digital Signage)

  • 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45-552
    • /
    • 2016
  •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다양한 콘텐츠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국가의 미래형 전략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디스플레이 산업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국제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현황을 산업계 및 표준화 동향, 기술 개발 현황 등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하고 미래형 디지털 사이니지에 적용될 수 있는 초고화질 영상 및 사용자 인식 기술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최근 지적된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이기종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연구 (A Study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using Heterogeneous Device)

  • 박대승;성열우;김정길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4-188
    • /
    • 2021
  • In general, digital signage is a next-generation smart media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services to many people indoors or outdoors using the Internet. Recently, digital signage is rapidly spreading in such a small indoor environment, that is, in an area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for example, inside an elevator. However, in this kind of indoor environment where the stay time of persons is extremely limited, it would be not easy for them to keep advertisements in the user memory for a long time. In the digital signage display installed in an indoor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for a function such as expanding the screen to a user's smartphone, which is now widely spread, to contain, store, and use the transmitted cont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xtend the display of digital signage contents to personal smart phones with interaction function in such a limited environment. In order to make the system operation, the proposed system was verified by confirming the result of dual screen implementation in a smart phone through the prototype implementation of a digital signage system in an embedded Linux environment.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유형별 효과에 조절초점과 자아해석이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and Self-construal on Digital Signage Advertisement)

  • 주태욱;김현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29-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광고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절 초점과 자아해석이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노출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와 상호작용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의 차별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향상초점을 가진 개인의 경우, 상호작용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가 노출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비해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예방초점을 가진 경우에는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유형 간 효과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적 자아해석을 하는 개인은 노출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비해 상호작용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을 하는 개인에게는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따른 효과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하여 개인특성에 따른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의 디지털 사이니지 일등기업 성공 사례연구 -인텔리안 시스템즈- (A Case Study on Digital Signage in Korea -Intellian Systems-)

  • 김종욱;김재범;김태웅;박성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149-158
    • /
    • 2013
  • 디지털 미디어 확산과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의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사례 연구는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텔리안 시스템즈가 사이니지 기술과 서비스 개발을 통해 어떠한 방법으로 사이니지 시장에서 성공하려는 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인텔리안 시스템즈의 주요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사업이 어떻게 강화되고 확장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인텔리안 시스템즈의 기술개발과 관련 사업들의 진행과 확장은 향후 국내 관련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기업들에게 성장과 사업의 지향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 기업의 핵심 성공요인으로 IT 전문인력, 사이니지 요소 기술 그리고 솔루션은 물론 다양한 파트너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가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공간성 (Spatiality of Digital Signage)

  • 신동희;김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77-84
    • /
    • 2015
  • 디지털 사이니지는 우리가 다니는 길, 지하철, 실내공간 등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홍보, 정보제공, 아트, 게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관련 연구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구현 기술과 산업적 현황 및 전망에 대부분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에 반해, 디지털 사이니지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고,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가 공간에 들어서기 전과 후는 그곳에 있는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먼저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개념, 유형, 종류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공간성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을 고찰한 다음 디지털사이니지의 공간성을 혼종성, 생동성, 이동성, 유연성, 우연성의 5가지로 파악하여 그 특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트랜스액티브한 공간이므로, 미디어에 따른 공간인식의 변화와 지속적 연구가 필요함을 밝혔다.

공공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Digital Signage Services)

  • 안성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85-196
    • /
    • 2021
  •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의 시범사업 중 하나인 '세종특별시 디지털 사이니지 국가시범사업'을 위한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플랫폼인 '디지털 사이니지'를 '공공 서비스 콘텐츠 플랫폼'으로 보고 콘텐츠의 배치를 계획하기 위한 전략이 기술우위 공급자 대신 해당 지역 커뮤니티 또는 사용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전제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첨단 기술 기반의 공공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공공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개발 전략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동 전략을 쉽게 수립하거나 실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툴'들을 설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 기능'을 '디지털 광고 기능' 뿐만 아니라 '공공 및 문화 서비스 기능'으로 확대, 발전시키는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최종 목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혁신적인 활용을 통해 '세종시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가 창출하는 공공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홍보관의 디지털 사이니지 전시연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hibi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Signage in Corporate Exhibition Hall)

  • 장현하;한혜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14-124
    • /
    • 2011
  • The development in modern world media made information expansion and conversion much easier. Thes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required a lot of companies to quickly respond to the overall environment and come up with new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Companies use experiential exhibition halls to enhance their images.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set the basis for digital signage exhibition production characteristics as a spatial mechanism by presenting the need to use the digital signage as a tool. Digital signage expands senses and connects internal and external space. There are many types of digital signage (display, projection, special media, etc) and they are informative, aesthetic, inductive, and amusing. For research methods, Korean companies' exhibition halls sample analysis and surveys were executed to analyze the aware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effects, and usage status of digital signage. In conclusion, corporate exhibition halls should: 1. be an interesting and comfortable space that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between the company and consumers 2. increase corporate potentials and faith by expanding human senses and inducing new experiences 3. continue to capture the interest of spectators through 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