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ality of Digital Signage

디지털 사이니지의 공간성

  • 신동희 (성균관대학교 인터렉션사이언스학과) ;
  • 김희경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화콘텐츠연계전공)
  • Received : 2015.04.20
  • Accepted : 2015.07.30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Digital signage takes the role of promotion, providing information, art and game as it is installed in various forms everywhere such as the road, subway and indoor space we pass through. The related researches also focus on the technology of realizing digital signage, current industrial state and prospect in most cases. On the contrary, the researches on the spaciality of digital signage is a kind of insuffici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re is necessity of researching it in respect that the recognition of space by the people in there is different before and after digital signage is located in such space.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digital signage, its concept, type and kind were investigated, general theories about the spaciality were considered after that, the spaciality of digital signage was grasped by 5 factors such as hybridity, vitality, mobility, flexibility, and contingency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offered in this study. In its conclusion, it was appealed that the change of spatial recognition along media and continuous research are required as digital signage is the transactive space.

디지털 사이니지는 우리가 다니는 길, 지하철, 실내공간 등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홍보, 정보제공, 아트, 게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관련 연구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구현 기술과 산업적 현황 및 전망에 대부분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에 반해, 디지털 사이니지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고,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가 공간에 들어서기 전과 후는 그곳에 있는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먼저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개념, 유형, 종류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공간성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을 고찰한 다음 디지털사이니지의 공간성을 혼종성, 생동성, 이동성, 유연성, 우연성의 5가지로 파악하여 그 특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트랜스액티브한 공간이므로, 미디어에 따른 공간인식의 변화와 지속적 연구가 필요함을 밝혔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재원, 디지털 미디어적 표현의 현대 건축 외피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논문, 2007.
  2. 김홍열, "디지털 사이니지, 공간의 재구성과 욕망의 유통", 정보과학회지, 제30권, 제4호, p.32, 2012.
  3. 한광석,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유형에 따른 브랜드 체험이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 98호, p.45, 2013.
  4. 사또루 후지, 미와 조형의 심리학, 조형사, p.133, 1994.
  5. George Lakoff and Mark Johnson, Metaphors We Live, Bym Universiy of Chicago Press, pp.14-21, 1980.
  6. 황주성, "디지털 컨버전스와 공간인식의 변화", 국토, 제353권, p.10, 2011.
  7. 왕아계, 강덕구, "공간미디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가 화장품매장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DID논문집, 제22호, 제12권, 제2호, p.117, 2013.
  8. 이홍규,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디지털 매체적 관점에서의 트랜스액티브 특성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3권, 제3호, pp.242-243, 2012.
  9. 김예란, "디지털 아비투스:플랫폼을 넘나드는 콘텐츠 소비문화", 방송문화연구, 제17권, 제2호, p.69, 2005.
  10. 박종희, 김태균, "가상현실에서 물리적 현상들과 공간관계들의 표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 권, 제6호, p.24, 2012.
  11. 임종수, "현실-가상세계 컨버전스 시대의 삶의 양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8권, 제2호, p.60, 2011.
  12. 이홍규,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디지털 매체적 관점에서의 트랜스액티브 특성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3권, 제3호, p.24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