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Pe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디지털 펜을 활용한 스마트 교육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 System using Digital Pen)

  • 조상규;조영임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6호
    • /
    • pp.52-56
    • /
    • 2015
  • Usually, students write on a paper using writing materials and submit it to teachers when they do a homework or take an exam. However, there are temporal and spacial constraints because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be in the same place at the time in this system. In addition, it is hard for teachers to maintain numerous papers from students. Applying a digital pen produced by Pen Generations Corporation to education system, we developed a smart education system transmitting image data from written papers using digital pen. As a result, teachers and students can use this system without any constraints. In addition, teachers are able to maintain their papers from students more effectively.

수기문서 전자화 프레임워크 기반의 교육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A Handwritten Document Digitalization Framework based Defect Management System in Educational Facilities)

  • 손봉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9권3호
    • /
    • pp.1-11
    • /
    • 2010
  •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based information system has been diversely applied to increase productivity. Although IT device such as PDA, RFID, Barcode, wireless network and web camera has been introduced to gather information in construction site, the effect of the IT device is limited, because of bringing about additional works of engine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efect manag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handwritten document digitalization framework for introducing applicability of new IT device, digital pen. By the proposed system, we can effectively gather and input defect information to defect management system by using digital pen and paper like conventional way. Applying the data gathering device, digital pen to defect management, it is able to increase productivity by improving work process, building up and utilizing defect information database of good quality.

디지털 펜 입력 시스템을 활용한 건설 정보 처리에 관한 연구 -하자관리 시스템을 중심으로- (Construction Information Process Using Digital Pen -Focused on Defect management System-)

  • 박규태;정영철;남현정;손봉기;김태희;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1부
    • /
    • pp.135-138
    • /
    • 2010
  •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applied diversely to increase productivity. Although IT device such as PDA, RFID, Barcode, wireless network and web camera has been introduced in construction site, the usage of these device is restricted, because these cause engineer to do additional work. The suggested process using Digital Pen in this study, which can lessen engineer's additional work, get defect data promptly. Also accumulated data is utilized effectively for analyzing construction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Digital Pen System as a means of construction data acquisition for improving productivity.

  • PDF

건설현장 디지털 펜 활용 생산성 측정 시스템 구축 (Digital Pen System for Measuring the Productivity at Construction Site)

  • 조예림;김태용;신윤석;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4-75
    • /
    • 2016
  • The succes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is mostly judged by process and costs. It can raise the accuracy of the process and costs through productivi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which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s required at this mo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ase of measuring productivity system using the Digital Pen System. To utilize Digital Pen System can raise construction productivity. This system is expected to more efficient to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of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 PDF

전자펜 하이테크 상품의 소비자 만족도와 기술수용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TAM of High Technology Electric Pen Product)

  • 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61-168
    • /
    • 2019
  • 전자펜의 소비자 활용도 및 제품 개선점 분석을 위해 Davies(1989)의 TAM 모형을 적용하여 전자펜 사용자들의 지각된 유용성, 이용용이성 및 기대가치를 통한 기술수용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기업 설문내용에 기반 한 내용분석법과 고객들의 참여도인 Activity 분석을 통해 전자펜 제품의 기술수용정도와 제품 전략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전자펜의 활용도를 보인 고객들은 30~49세의 남성과 사무직과 연구원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사항에 대한 키워드 중심의 내용분석법의 분석결과 전원동작의 개선, App 연계 펜 기능의 확장성, 전자펜의 수정기능, 펜의 데이터인식 기능, 전자펜이 펜으로서의 필기감, 그립감, 펜 굵기 선택 등 세분화 기능의 개선, 타 스마트 기기와의 동기화 개선과 충전기능의 개선 필요성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자펜에 TAM을 적용하여 전자펜이 초기시장에서 주류시장으로 확산되기 위한 제품속성 개선점을 제시하였고 향후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등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계된 전자펜 제품 확산과의 차이점 규명 통해 차별화 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ccelerometer Sensor와 PIC를 이용한 Cellular-phone용 Digital Input System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Input System for Cellular-phone using the Accelerometer and PIC)

  • 여영호;손수국;윤나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495-1498
    • /
    • 2003
  • This paper has been studied about designed digital-pen using PIC and Accelerometer and about calculated acceleration by the measure analog signal from accelerometer Finally, we calculate the coordinates and the tilt about the acceleration and discus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igital-pen from cellular phone. And we discuss about the full-duplex communication of input data that displayed in cellular phone.

  • PDF

Android-Based E-Board Smart Education Platform Using Digital Pen and Dot Pattern

  • Cho, Young Im;Altayeva, Aigerim Bakatkaliyevna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5권4호
    • /
    • pp.260-267
    • /
    • 2015
  • In the past, we implemented a web-based smart education platform, but this is not efficient in a smart or mobile education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droid-based e-board smart platform for a smart or mobile education system. Here, we use Anoto digital pen- and dot pattern-based technologies. This Android-based smart education platform is efficient for a smart education environment. Further, we implement the hardware and software parts of the technologies, an Anoto-based trajectory recognition algorithm, and a probabilistic neural network for handwritten digit and hand gesture recognition.

A Five Degree-of-freedom Pen-based Cable-suspended Haptic Interface

  • Park, Kyihwan;Tie Yun;Byunghoon Bae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25.4-25
    • /
    • 2001
  • In this paper, a five degree-of-freedom haptic device is proposed. The proposed haptic device has a pen which is suspended by tensioned six strings. Human operator handles the pen. Six DC motors are used as actuators to generate tensions in six strings to make resultant force feedback at the pen to the human operator Six encoders are used for calculating the movement of the pen. A digital controller is used for generate control signals for the suitable tension in the six strings. A current amplifiers is used for amplifying the control signals. Cable-suspended system has advantages of structure simplicity (only with several strings driven by motors without using other tensioning mechanisms), low inertia, and high force-to-weight ratio. Pen-based system has advantages of compactness and ...

  • PDF

디지털펜 기반의 건설현장 작업일보시스템 개발 (Daily Reporting System using Digital Pen at Construction Site)

  • 신윤석;김대원;김태용;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7-183
    • /
    • 2016
  • 작업일보는 일일 단위로 계획과 실적이 기록되는 문서로 작업내용, 출력인원, 장비 및 자재 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하지만 작업일보가 여러 단계를 거쳐 수기 작성되는 과정에서 정보의 누락 및 왜곡될 수 있고 업무의 중복 문제가 발생하여 단순 보고에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작업일보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펜 기반의 작업일보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 실제 건설 현장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높은 문자 인식 정확도(94.610%)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정보를 입력하는 추가 업무가 제거되고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하며 사용을 위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현행 작업일보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여 건설현장 문서업무 및 정보관리 효율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D펜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3D Pen)

  • 김종용;전병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83-590
    • /
    • 2021
  • 본 연구는 아날로그 3D펜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이다. 디지털은 항상성과 변형가능성, 결합성, 재생산성 그리고 보관의 편리성 등의 특징이 있다. 이런 디지털 특성과 생산을 융합한 장치가 3D프린터인데 낮은 생산성과 재료, 물리적 특성의 한계로 산업적 활용이 제한적이다. 특히 3D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델링 소프트웨어 및 프린터 장치에 대한 전문기술로 인하여 사용자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의 개선 점이 있다. 이것을 보완한 3D펜은 휴대성과 사용용이성이 뛰어난 반면 디지털화가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화 능력과 사용편이성을 확보하고 프린팅공정 중 유해성 논란이 있는 프린팅 재료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푸드를 결합하여 연구문제와 대안을 도출하였으며 개발한 3D펜을 통하여 디지털화를 실증하였다. 3D펜의 디지털화를 위하여 구조화된 장치를 통하여 아날로그적 3D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특정하고 이 움직임을 공간해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3차원 데이터인 X,Y,Z 좌표값으로 변환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Meshlab v1.3.4을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 장치(푸드펜)을 통하여 청소년 교육 및 시니어헬스케어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