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braries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6초

디지털 라이브러리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of Digital Libraries)

  • 이창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7-140
    • /
    • 1998
  • 전통적 도서관은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라이브러리로 변모하고 있다. 책은 디지털 파일로, 목록은 메타데이타로, 이용자는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세계 이용자로, 자료는 무한정 복사할 수 있는 형태로 바뀌고 있다. 국가 정보 하부구조를 위한 디지털 라이브러리 구축은 미래 정보화 사회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라이브러리 기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추진할 디지털 라이브러리의 모습을 모델링한다.

  • PDF

대학도서관에서의 디지털보존 실태분석 연구 (An Analysis on Digital Preservation Practices in Academic Libraries)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69-292
    • /
    • 2016
  • 디지털보존은 디지털콘텐츠를 관리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에서는 또 하나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보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4년제 대학의 대학도서관 중 디지털콘텐츠를 구축하고 있는 102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디지털보존 요건에 대한 담당자의 인식과 디지털보존 실무 현황 및 그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다수의 디지털보존 담당자들은 진본성 보장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고, 정책 및 업무절차가 적합하게 수립되어야 하며 담당자는 우선적으로 디지털보존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 기관의지의 부재와 예산확보의 어려움이 디지털보존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이었으며 디지털보존 계획 및 정책수립에 대한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디지털보존에 대한 인식 및 실태가 대학규모와 콘텐츠구축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 보고 규모별로 서로 비교한 결과, 규모와 상관없이 인식과 실무는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규모와 콘텐츠 구축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디지털보존 수준에 대한 평가는 높았지만, 전체적으로 현재의 국내 대학도서관의 디지털보존 수준은 미흡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앞으로의 대학도서관은 디지털보존을 위한 정책 및 업무절차를 미래지향적으로 수립하고 디지털보존을 위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켜야 할 것이다.

Digit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Initiatives in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An Analytical Survey

  • Kumar, 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5-2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itiatives on digit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in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in the Rayalaseema Region of Andhra Pradesh. Eighty-one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in Rayalaseema Region have been surveyed to assess the initiatives taken on digit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This paper highlights opinions of librarians on most preferred digital materials and various digital resources acquainted with their library. The digital library initiatives cover a variety of activities starting from the digital collection building, digitization, digital collection, maintenance, and digital preservation. It is found that 34.57% of libraries are in the process of building digital collections, which is an encouraging trend among Engineer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Rayalaseema Region.

공공도서관 정보화 실태 연구 - 2012년과 2014년 비교 - (A Study the Informationization of Public Libraries: Comparing 2012 with 2014)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9-215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 공공도서관의 정보화 현황과 2012년과 2014년의 차이점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는 2012년과 2014년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조사 내용은 정보화 일반현황, 소프트웨어, 디지털자료실, RFID, 디지털 콘텐츠, 모바일 서비스, 통합서비스 현황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었다. 조사 결과 파악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를 지역주민에 대한 전시적 효과에 치중하였다. 둘째, 정보화 담당인력이 부족하였다. 셋째, KOLAS의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넷째,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준비가 미흡하다. 개선 방안으로 차세대 자료관리 소프트웨어의 개발, 모바일 앱과 웹 서비스 확산, 디지털 콘텐츠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 방향으로 이용자의 디지털 콘텐츠 및 기기 이용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Older Adults' Digital Literacy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and Improvement Plans)

  • 김수완;이성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9-7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의 노인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의 노인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전국 157개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분석하였고, 둘째 국외 공공도서관의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하였고, 셋째 국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담당 사서 9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운영요소와 내용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에서의 디지털 자료 조직 현황과 실태 (A Study on Cataloging Digital Resources in Librarie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7-338
    • /
    • 2004
  • 이 연구는 우리 도서관에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구축하고 있는 디지털 자료가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과연 제대로 가공, 조직되고 있는지를 논의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리 도서관에 유입되고 있는 디지털 자료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들 디지털 자료에 대한 도서관계의 서지통정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한 후,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향후 보다 효율적인 접근을 지원하기 위해서 어떠한 전략과 방안을 세워가야 할 것인지를 심도있게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 PDF

디지털도서관 연구를 위한 사회정보학 (A Study on the Social Informatics in Digital Library Studies)

  • 정경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20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의 디지털도서관 연구 및 디지털도서관 용어 사용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논의가 기술중심적 혹은 기술결정론적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도서관은 다양한 이종의 구성요소들이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을 통하여 구성되는 사회기술망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기술망으로서의 디지털도서관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정보학과 STIN 모델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 PDF

Digital Libraries: Analysis of Delos Reference Model and 5S Theory

  • Isah, Abdulmumin;Mutshewa, Athulang;Serema, Batlang Comma;Kenosi, Lekoko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4호
    • /
    • pp.38-47
    • /
    • 2013
  • The proliferation of digital libraries (DL) in the twenty-first century has revolutionized the way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disseminated. This has led to various practical and research models of DLs.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ies, and examines various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DLs. It further identifies various models and theories of digital librarie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DELOS Reference Model and 5S Theor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ocused frameworks is analyz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application in the DL universe.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분석 (An Analysis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Special Libraries)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7-271
    • /
    • 2017
  • 현재와 장래에 이용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유지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디지털 큐레이션은 전문도서관에서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디지털정보 환경 하에서 전문도서관이 수행하고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와 현재 전문도서관에서 수행되는 큐레이션 업무 수준 및 전문도서관 사서가 인지하는 큐레이션 업무의 중요도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대표할 수 있는 활동범주와 이에 해당되는 세부업무를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전문도서관의 수행정도와 중요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흡하였고 이에 대한 중요도 인식도 그다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 사서들이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고 내부적으로는 장기적인 정책 및 업무절차를 수립하지 못하여 체계적인 디지털 큐레이션을 못하고 있으며, 셋째, 사서들은 여전히 도서관의 전통적인 업무 사이클인 정보조직-소장-이용을 중요시 여기고 이 업무들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개념으로 새로운 실무와 기술을 익혀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보존에 대한 중요도 인지와 이와 관련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키는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국가도서관의 포지셔닝에 의한 하이브리드 자원 개발 (Hybrid Resources Development by Positioning of National Libraries)

  • 김지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5-58
    • /
    • 2009
  • 지식기반사회와 디지털환경의 도래로 도서관 특히 국가도서관이 변화하고 있으며, 도서관의 핵심인 장서개발에 대한 새로운 개념, 과정 및 도구가 변화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국가도서관에서 지속가능한 자원의 수집과 보존을 보장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자원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국가도서관과 장서개발의 변화를 살펴보고, 표준에서 제시된 성과지표, 정의, 목적 및 사명을 통한 국가도서관의 포지셔닝에 의거하여 국가 장서의 범위를 고찰하였다. 또한 도서관 관련법을 통해 디지털자원의 납본방법을 제시하고, 국가도서관에서 하이브리드 장서개발체계와 함께 온라인 디지털 자원의 아카이빙 방법을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