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Information

검색결과 18,289건 처리시간 0.045초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Digital Curation: Focused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김판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5-295
    • /
    • 2015
  • 디지털 큐레이션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정보관리 및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자원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서비스를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디지털 큐레이션은 문헌정보학의 핵심 영역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큐레이션 관련 문헌들을 검토하여 주요 연구 영역을 설정하고, 대표적인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 데이터베이스(LISTA)에서 검색한 학술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동향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디지털 큐레이션 관련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디지털 맞춤형 광고와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행동연구 (College Students'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Digital Behavioral Advertising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

  • 엄남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3-82
    • /
    • 2022
  • 디지털 광고 시장의 성장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맞춤형 광고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행동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결과, 개인정보보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개인, 기업, 그리고 정부 모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 되었다. 대학생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행동들의 수준은 크게 무대응 단계, 소극적 대응단계, 그리고 적극적 대응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는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은 기업들의 디지털 맞춤형광고 집행 등과 같은 마케팅 활동을 위해 개인정보 수집 및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보다는 오히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토의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업들에게 개인정보 수집 및 절차에 대한 실무적인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복원을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의 형태 (A Study on Digital Displays for Digital Restoration)

  • 김시은;최승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45-155
    • /
    • 2021
  •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오래된 문화재나 훼손된 미술작품을 디지털 기술로 정보를 저장하고 관련된 내용을 영상이나 콘텐츠로 제작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전시하는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통해 재생된 정보와 콘텐츠는 고미술의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관객들의 감상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를 저장하여 작품의 복원이나 보존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복원의 범위를 세 가지 방향으로 정의하고 그 중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자연과 인류의 유산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보조적 역할의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과 전시를 디지털 복원의 범위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범위의 디지털 복원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의 형태를 분석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다양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행태를 설치한 강릉 오죽헌/시립미술관과 뉴욕에 있는 자연사박물관을 사례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복원을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전시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전시장에서 관람객들의 참여와 흥미를 유도할 수 있어 자연과 인류의 유산 보존을 위한 긍정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분석 (An Analysis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Special Libraries)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7-271
    • /
    • 2017
  • 현재와 장래에 이용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유지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디지털 큐레이션은 전문도서관에서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디지털정보 환경 하에서 전문도서관이 수행하고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와 현재 전문도서관에서 수행되는 큐레이션 업무 수준 및 전문도서관 사서가 인지하는 큐레이션 업무의 중요도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대표할 수 있는 활동범주와 이에 해당되는 세부업무를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전문도서관의 수행정도와 중요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흡하였고 이에 대한 중요도 인식도 그다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 사서들이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고 내부적으로는 장기적인 정책 및 업무절차를 수립하지 못하여 체계적인 디지털 큐레이션을 못하고 있으며, 셋째, 사서들은 여전히 도서관의 전통적인 업무 사이클인 정보조직-소장-이용을 중요시 여기고 이 업무들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개념으로 새로운 실무와 기술을 익혀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보존에 대한 중요도 인지와 이와 관련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키는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Web 2.0 features based personalization for academic digital libraries: an application for collaborative environment

  • Bhide, Aditya M.;Yoo, Jae-Heung;Rho, Jae-Jeu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115-119
    • /
    • 2007
  • Huge amount of useful information is getting added to the academic digital world everyday, This digitalized information is heterogeneous and remained limited to a local domain only. How to integrate and share this scattered knowledge with simplicity remained a big challen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totype of web application for accomplishing above task using web 2.0 features; it makes traditional academic digital libraries to form as a special case of collaborative environment. This application enables users to customize their own resources to form their own virtual digital library. Further users can utilize personalized information of other users working in similar research domain to form true collaborative environment. The model and framework for the new look of academic digital library is presented.

  • PDF

Digital satellite radio 방송의 채널 정보 Searching 처리 Method에 관한 연구 (Digital Satellite Radio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Search Process Method)

  • 이승훈;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5-288
    • /
    • 2010
  • 본 논문은 Digital satellite radio 방송의 채널 정보 update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Digital satellite radio의 방송 수신 기능이 구비된 Hometheater, MP3 player, 이동 전화기, Car audio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Digital 기기에서 새로운 Digital satellite radio(이하 XM으로 표기) 방송 채널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현재 수신 중인 XM radio 방송 채널과 인접된 N 개의 전/후 방송 채널만을 지그재그(Zigzag) 방식으로 random하게 선별 한 후, 이전의 XM radio방송 채널 정보를 새로 수신된 XM radio 방송 채널 정보로 update 함으로써, 사용자가 거의 선국하지 않는 XM radio 방송 채널을 일괄적으로 모두 update 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예방 할 수 있게 되므로, 실시간으로 자주 변경되는 XM radio 방송 채널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update 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

Table Mediator: 정보검색과 테이블톱으로 구현된 디지털스토텔링 시스템 (Table Mediator: Digital Storytelling System based on Information Retrieval and Tabletop)

  • 조현상;장관;박성수;한민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493-498
    • /
    • 2008
  • We proposed "Table Mediator" which is a tabletop system for digital storytelling that uses web-retrieved information for the students' educational field trip. Students can perform their storytelling for their virtual pre-field trip to build up a sequential path as a story with web-retrieved documents, satellite images,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group discussion. The proposed system was designed to lessen the limitation of individual interaction such as restricted viewpoint and biased inclination by group digital storytelling. Local interactions also have the limitation such as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the system supplied the rich live information such as subjective critiques or recently discovered history, or new updates for building a story that makes users arrange their own idea as a consistent story to lessen the limitation of the local interactions. The system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travel, education and other collaborative works with group interaction.

  • PDF

디지털 라이브러리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of Digital Libraries)

  • 이창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7-140
    • /
    • 1998
  • 전통적 도서관은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라이브러리로 변모하고 있다. 책은 디지털 파일로, 목록은 메타데이타로, 이용자는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세계 이용자로, 자료는 무한정 복사할 수 있는 형태로 바뀌고 있다. 국가 정보 하부구조를 위한 디지털 라이브러리 구축은 미래 정보화 사회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라이브러리 기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추진할 디지털 라이브러리의 모습을 모델링한다.

  • PDF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방안 연구 (A Study of Digital Archiving Strategies for Historical Materials)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3-20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디지털 정보환경에서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방안을 모색하고자 해외의 대표적인 역사자료 디지털 아카이빙 구축 사례를 조사하였다. 즉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프로젝트를 수집, 보존, 접근 및 활용의 정보 생명주기 및 디지털 큐레이션 개념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구축의 필수 요건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으로 국가적 차원의 구체적인 정책 수립과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재정적 지원 및 연구,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기보존 시스템 구축의 확립, 그리고 장기보존 전략, 표준화 등을 위한 기관 간, 국가 간 협력 방안 및 업무 분담체계 마련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CONCEPTUAL MODEL TO MEASURE USER SUCCESS IN THE DIGITAL GOVERNMENT ENVIRONMENT

  • Jung, Jin-Taek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4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Policy & Management
    • /
    • pp.405-421
    • /
    • 2004
  • The digital government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eas of study to emerge in information science in the past several years. The digital government is, in broad terms, a computerized system that allows a community of users to obtain a coherent means of access to an organized, electronically stored repositor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information resources and technologies embodied by the World Wide Web are now accepted ad the primary example of the digital government. The need exists for a means to measure user success in the digital government. Because a digital government environment involves two broad functions?1) information search and retrieval and 2) interactivity with and through the medium-this research posits that measures of both of these functions will show positive correlation with user suc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