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Entrepreneurship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275초

Digital Entrepreneurship in Indonesia: A Human Capital Perspective

  • MUAFI, Muafi;SYAFRI, Wirman;PRABOWO, Hadi;NUR, Sofyan Ashar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351-359
    • /
    • 2021
  • Digital technology has become a new economic and social force, reshaping traditional business models, strategies, structures, and processes. This is a challenge for human capital to develop continuously in this dynamic era; one of the solutions is digital entrepreneurship. Digital entrepreneurship focuses on creating new ventures and transforming existing businesses by developing novel digital technologies or novel usage. Further, digital technology has also enabled the growth of the sharing economy, linking owners and users, and disrupting the previous dualism of businesses and customers. This paper provides a novel contribution regarding the emerging concept of Digital Entrepreneurship. Based on a qualitativ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ith university staff, lecturers, and students in four large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in West Java and DIY Province, an interpretative framework for Digital Entrepreneurship has been proposed, which comprise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motivation (the rationale for the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y for academic entrepreneurship), stakeholders (the stakeholders involv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to achieve the academic entrepreneurship goal), process (the processes of academic entrepreneurship supported by digital technologies), and business form (the emerging forms of digital academic entrepreneurship). This research also shows several alternative government policies to improve digital entrepreneurship in the academic environment.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혁신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기술흡수역량의 조절효과 분석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Digital Entrepreneurship and Digital Innovation: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Absorptive Capacity)

  • 장성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1호
    • /
    • pp.107-118
    • /
    • 2024
  • 본 연구는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기술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술 특성(디지털 기술역량), 조직 특성(디지털 학습역량, 재무 준비성), 제도적 압력(강제적 압력, 모방적 압력, 규범적 압력)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혁신에 영향 관계에서 기술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디지털 기업가정신, 디지털 혁신, 제도적 압력, 기술흡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국내 104개 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4.0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술역량, 디지털 학습역량, 재무 준비성, 제도적 압력은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기업가정신은 디지털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기업가정신이 디지털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기술흡수역량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시대에 디지털 기업가 정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디지털 기업가정신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PDF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nen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 변충규;박종복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2호
    • /
    • pp.141-1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창업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 및 델파이(Delphi) 분석을 통해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 대영역은 '디지털 기업가적 지향성 영역'과 '디지털 기술 역량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성취욕구, 디지털 사업기회 식별능력, 디지털 기술 활용역량, 디지털 운영 프로세스 구축능력, 디지털 기술개발 역량, 디지털 기술 수용성, 정보교환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디지털 기반의 고객확보 및 관리 등 11개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주요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IPA 분석을 하였다. 제 1사분면(우위 유지 영역)에는 진취성, 디지털 사업기회 식별능력, 디지털 운영 프로세스 구축능력 등이 위치하였다. 제 2사분면(중점 개선 영역)에는 혁신성, 디지털 기술개발 역량, 디지털 기술 수용성 등이 위치하였다. 제 3사분면(저우선 순위)에는 위험감수성, 성취욕구, 디지털 기술 활용역량, 디지털 기반의 고객 확보 및 관리 등이 위치하였다. 제 4사분면(현상유지 영역)에는 정보교환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위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업가와 예비 디지털 기업가를 위한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개념 및 구성요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창업교육이 셀프리더십과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ffect on the Self-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 김연정;노병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23-31
    • /
    • 2012
  • 창업은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이나 국가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고용없는 성장이 이루어지고 청년실업과 동반해 최근에 1인창조기업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창업 실패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을 무작정 하는 것 보다는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창업의 성공을 위해 창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셀프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 셀프리더십을 매개변수로 기업가정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로 창업교육의 구체적인 목표설정이나 실행능력교육과 셀프리더십의 세 가지 측면 행동중심적, 자연적 보상, 건설적 셀프리더십을 위한 창업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창업에 영향을 주는 기업가정신을 강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수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수형자 창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roblems and Improvement on Inmat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박한수;이종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63-173
    • /
    • 2011
  • Inmate's correctional and educational programs has contributed to reducing the recurrence of crimes so that the general citizens can be freer from crimes, playing the roles of crime prevention and shield for the society. This paper investigates satisfaction about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Inmate's because do questionnaire deduce problem and presented improvement plans. Improvement plan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Inmate's are presented: 1. Enforc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bout definite education subject person, 2. Education enforcement by special quality of education subject person, 3. Increa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4. Released convict settled successfully in society. real entrepreneurship speaker practical use etc.

The Role of Competence and Digital Entrepreneurs Career Maturity on Business Performance in Disruption Era

  • Susetyo, DARMANTO;Adi, EKOPRIYONO;Hikmah, HIKMAH;Andalan, TRI RATNAWATI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77-89
    • /
    • 2023
  • Purpose: At the end of the pandemic, many digital startups had negative performances. For tha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digital entrepreneur career maturity. Seven hypotheses were proposed, namely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digital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digital entrepreneur career maturity on digital entrepreneurial competence, the effect of digital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digital entrepreneurial career maturity,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digital entrepreneur career maturity on business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opulation is digital entrepreneurs in Central Java, Indonesia with a business duration of more than 4 years. The number of samples as many as 184 people were carried out by questionnaire distribution through face-to-face, email, and Google forms.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path coefficient statistic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hypotheses proposed were accepted. Digital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digital entrepreneurial career maturity are also proven to have a mediating rol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entrepreneurship research. Practically, the government's role is needed to facilitate the three main elements of digital business: e-commerce, payment methods, and distribution channels.

디지털 경제와 커리어 초심자의 기업가 정신 (Rethinking Career Starters' Entrepreneurship in a Digital Economy)

  • 허세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1호
    • /
    • pp.21-34
    • /
    • 2015
  • 혁신을 장려하는 디지털 경제에서 기업가 정신은 성공적인 혁신의 기초로서 강조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커리어 초심자들의 기업가 정신을 촉진시키는 조직 내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조직 안에서의 기업가 정신적 태도가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심리사회적 관점에서 볼 때, 20대라는 질풍노도의 인생주기를 보내고 있는 커리어 초심자들은 매우 불안정하고 취약한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커리어 초심자들을 위한 기업가 정신의 특성은 재해석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틀리에"와 같은 위계적인 조직 구조가 커리어 초심자들에게 필요한 반면에 신뢰할 수 있는 리더십이 전제될 때 건강한 팀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 PDF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를 매개효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 조영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197-2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만족도 요인들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대학의 창업강좌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변수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증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업가정신의 성취욕구와 위험감수성이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창업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업가정신의 성취욕구와 위험감수성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고, 기업가정신의 모호성수용에 창업교육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업교육만족도에 대한 요인이 창업의도에 창업전문가들의 교육으로 창업에 대한 자신감과 기업가정신 함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위하여 K공과대학교의 창업강좌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청소년 창업교육 프로그램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인식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 Effect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Characteristics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Recognition)

  • 이혜진;김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3-2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창업인식 형성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실제 창업으로 이어지는 창업의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청소년 비즈쿨 캠프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559부의 설문지를 수집하고, SPSS 21.0과 Amos 22.0를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창업교육 프로그램 특성(창업교육 전문성, 창업교육 차별성)이 인지된 실현가능성과 기업가정신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인지된 실현가능성과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매개하여 창업의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창업교육이 창업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창업인식(인지된 실현가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기업가정신)이 형성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증명한 것에 의미를 가진다.

한국과 네팔의 6차 산업 기업가정신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ntrepreneurship of the 6th Industry in Korea and Nepal)

  • 김연종;박상혁;이경연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85-103
    • /
    • 2021
  • Entrepreneurship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education in start-up education. However, domestic studies on entrepreneurship in developing countries are extremely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and the perception of implementation of Korean and Nepalese farmers, and to seek a start-up education strategy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in the 6th industry between two countries, but the degree of entrepreneurial spirit performance was high in Nepalese farmers. Second,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the 6th industry entrepreneurship, Korea had lower performance than importance in all factors, and Nepal had higher importance than implementation in innovation, initiative, cooperation, and networking capability. Third,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in each country,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uniformly lower than that of importance in Korea, but the height of the Nepalese farmers was not uniform.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tudied entrepreneurship in Korea and Nepal, contribute greatly in terms of promoting the national economy by creating new added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