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ollection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양돈장의 사육 온도와 밀사율이 구강액 채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breeding density of piggery on the collection of oral fluid in Korea)

  • 변현섭;김미화;권성애;한미나;한성태;장래훈;정윤수;김석현;전보영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17-225
    • /
    • 2021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stock density on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oral fluid in the pig farm in Korea. Three pig farms with similar bree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elected and four pens of each farm (total 12 pens) were tested for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oral fluid from pigs. Collection rate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when oral fluid was collected from 70% of pigs within a pen. In the case of growing pigs, when internal temperature of pig barn increased by one designated degree (5℃), the oral fluid collection rate significantly decreased by 24.7% (P<0.05). The collection rate of oral fluid also decreased by 7.1% (P<0.05) as the density rate increase by one designated degree (12.5%). It was estimated that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oral fluid decrease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pig barn was 30℃ or higher, or barn density is higher 25% or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tall-housing sows, unlike growing pig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o oral fluid collection was considered to be efficient even in hot season.

개별 맞춤형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수학 디지털교과서의 학습자 데이터 구축 모델 (A Model for Constructing Learner Data in AI-based Mathematical Digital Textbooks for Individual Customized Learning)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333-348
    • /
    • 2023
  • 인공지능 기반의 수학 디지털교과서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으로 여겨지는 개별 맞춤형 교수·학습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개별 학생의 여러 가지 특성 요인에 대한 명확한 분석과 진단이 가장 관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AI 디지털교과서에서 개별 맞춤형 학습 진단을 위한 분석 요인과 도구, 데이터 수집·분석을 위한 구축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교육부의 AI 디지털교과서 적용 계획에 따른 수학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요구, 개별화 맞춤형 학습과 이를 위한 데이터에 대한 선행 연구, 수학 디지털플랫폼에서 학습자 분석에 대한 요인 등이 검토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학생 개인별로 수집해야 할 데이터로 학습 분석을 위한 요인으로 학습 준비도, 과정 및 수행도, 성취도, 취약점, 성향 분석을 위한 요인으로 학습 지속 시간, 문제해결에 걸린 시간, 집중도, 수학학습 습관, 정서 분석을 위한 요인으로 자신감, 흥미, 불안, 학습의욕, 가치 인식, 태도 분석을 위한 요인으로 자기 관리, 학습 전략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에 대한 데이터 수집 도구로, 문제에 대한 정오 데이터, 학습 진도율, 학생 활동에 대한 화면 녹화 자료, 이벤트 데이터, 시선 추적 장치, 자기 응답 설문 등을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요인들을 학습 전, 중, 후로 시계열화한 데이터 수집 모델이 제안되었다.

디지털도서관 프로토타입의 구축 -디지털 리포지토리와 컬렉션을 중심으로 (A Digital Library Prototype - Digital Repository and Diverse Collections)

  • 최원태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8년도 국제 컨퍼런스: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디지틀도서관 구축방안
    • /
    • pp.383-394
    • /
    • 1998
  • 본 연구에서 구축된 디지털도서관의 프로토타입은 디지털 리포지토리, 필터, 색인 및 검색, 클라이언트의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디지털 리포지토리는 여러 가지 유형의 문서유형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필터는 다양한 문헌의 포맷을 인식하고 문헌각각의 조직적인 요소를 지능적으로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시스템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인 ORACLE과 ConText를 이용하여 구성되었으며 새로운 객체의 분석 및 조직화, 색인기술의 적용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 PDF

클라우드 환경을 고려한 디지털 포렌식 프레임워크 (Digital Forensics Framework for Cloud Computing)

  • 이창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3-68
    • /
    • 2013
  • 최근 세계적인 경제위기 속에서 국내외의 기업들이 IT 투자를 보류하거나 예산을 대폭 삭감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IT 부문에 있어서의 비용 절감을 통한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위기 극복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포렌식 조사과정에서 조사 대상 시스템의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했는지 여부는 추가적은 조사 대상의 선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Daum Cloud, Google Doc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였을 경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여 원격지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속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격지의 증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다. 따라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법에 대해 연구하여 클라우드 환경을 고려한 디지털 포렌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디지털시대의 정보자원 개발의 오류와 난제 (On Fallacies and Problems of Information Resources Development in Digital Era)

  • 윤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4호
    • /
    • pp.25-55
    • /
    • 2002
  • 이 연구는 디지털시대의 도서관 및 정보센터가 정보자원을 어떻게 개발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현실적 난제, 파행, 오류가 무엇인지를 거시적으로 조감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디지털 접근주의, 핵심자료 개발의 취약성, 전자자료의 무차별적 수용행태 등이 도서관 및 정보센터의 정체성을 어떤 식으로 왜곡시키며 대안이 무엇인지를 논급하고자 한다.

COVID-19 이후 비영리조직의 기부금품 모집 확대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 일반시민의 기부 인식을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the Expansion of Donations by Non-Profit Organizations after the COVID-19 Crisis: With Focusing on the Survey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Donations)

  • 정희영;이정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5-11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onation collection activ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fter the COVID-19 crisis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donations from the general public's perspective. The researchers conducted a convenience sampling of general citizens in South Korea, and the survey had been taken by sending e-mails for two weeks from November 11 to November 24, 2020.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that we send were 397, however 31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83 questionnaires that seemed insincerely marke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non-profit organizations need to strengthen their digital capability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fund-raising method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addition, these factors such as transparency, accountability, and the interaction with donors for sustaining and improving their loyalty are turned out to be crucial.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onation collection strategy of non-profit organizations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A New Distributed Log Anomaly Detection Method based on Message Middleware and ATT-GRU

  • Wei Fang;Xuelei Jia;Wen Zhang;Victor S. Sh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2호
    • /
    • pp.486-503
    • /
    • 2023
  • Log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stering the health of the system, experienced operation and maintenance engineer can judge which part of the system has a problem by checking the logs. In recent years, many system architectures have changed from single application to distributed application, which leads to a very huge number of logs in the system and manually check the logs to find system errors impracticall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e propose a method based on Message Middleware and ATT-GRU (Attention Gate Recurrent Unit) to detect the logs anomaly of distributed systems. The works of this paper mainly include two aspects: (1) We design a high-performance distributed logs collection architecture to complete the logs collection of the distributed system. (2)We improve the existing GRU by introducing the attention mechanism to weight the key parts of the logs sequence, which can improve the training efficiency and recognition accuracy of the model to a certain extent.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 that our method has better superiority and reliability.

제조설비 데이터 수집 표준을 이용한 설비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Facility Data Using Manufacturing Data Collection Standard)

  • 고동범;박정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59-166
    • /
    • 2018
  • 본 논문은 스마트 공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제조설비 시각화 시스템을 소개한다. 최근 기술 발달의 가속화와 제 4 차 산업혁명, Industry 4.0등과 같은 용어가 등장함에 따라 기존 제조공장의 스마트화를 위한 기술들이 조명되고 있다. 제조공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의사결정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생산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중용한 기술 중 하나가 되며, 더 정확한 모니터링 및 응용 기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적용 또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해서는 여러 제조사의 설비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는 통합 인프라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기종의 설비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을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활용해 설비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각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공장에서 여러 제조사의 설비 데이터들을 통합하고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해외 지식정보 협력망을 위한 장서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llection Analysis for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Network of Knowledge-Information Resources)

  • 김유승;이정수;김문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3-257
    • /
    • 2008
  • 다양한 해외 디지털 지식정보의 통합 및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 디지털 정보자원의 통합 개방, 참여, 기술이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 협력망인 WDL, IPL, TEL의 사례를 첫째 장서의 규모, 협력, 주제화범위의 내용적인 측면, 둘째 협력의 목적 등의 정책적인 측면, 셋째 표준화, 수집 및 선정, 검색, 메타데이터 관리의 기술적인 측면, 넷째 운영 조직 및 자금 수준의 운영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 및 결과는 다양한 장서분석 기준과 접목하여 해외 협력을 위한 장서 분석 기준을 도출에 활용하였다. 분석된 기준은 디지털 정보자원의 핵심 부분인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통함 체계를 지원하는 통합 모델, 협력 및 공유를 위한 자원 및 시스템 공유의 개방 모델 이용자 참여를 통한 지식정보의 창출, 지식정보자원의 공유할 수 있는 기술 모델 등 네 가지 모델로 구분하여 각 세부 평가 기준을 노출하는 데 활용하였다. 도출된 기준은 실제 장서분석 평가를 통하여 해외 협력망 구축을 위한 발전 전략 및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현재 장서에 대한 평가와 장서 관리를 위한 원칙과 모델을 제안하였다.

지역기반 도서관 포털구축의 요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quirements for Building of the Regional Library Portal)

  • 이순영;이수상
    • 정보관리연구
    • /
    • 제38권3호
    • /
    • pp.1-30
    • /
    • 2007
  • 본 연구는 지역기반 도서관 포털에 필요한 정책적, 기능적 요건을 도출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도서관 포털에 대한 이론적 배경, 지역의 다양한 공공기관의 협력을 바탕으로 통합접근환경을 구축한 사례와 각종 문헌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기반 도서관 포털의 정책적 기능적 요건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지역의 실무자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 설문을 수행하여 이들 요건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연구자가 도출한 요건에 대한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검증받고자 시도하였다. 평가결과, 지역기반 도서관 포털의 정책적 요건의 중요도는 표준화, 디지털 장서개발, 운영, 평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요건은 통합검색, 통합 인터페이스, 정보서비스, 분산환경의 디지털 장서관리, 접근관리 순으로 정책적 요건에 비해 요건들 간의 중요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