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liminary Study on the Expansion of Donations by Non-Profit Organizations after the COVID-19 Crisis: With Focusing on the Survey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Donations

COVID-19 이후 비영리조직의 기부금품 모집 확대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 일반시민의 기부 인식을 중심으로

  • 정희영 (숭실사이버대학교 스포츠재활복지학과) ;
  • 이정재 (숭실사이버대학교 연예스포츠경영학과)
  • Received : 2022.04.21
  • Accepted : 2022.04.26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onation collection activ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fter the COVID-19 crisis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donations from the general public's perspective. The researchers conducted a convenience sampling of general citizens in South Korea, and the survey had been taken by sending e-mails for two weeks from November 11 to November 24, 2020.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that we send were 397, however 31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83 questionnaires that seemed insincerely marke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non-profit organizations need to strengthen their digital capability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fund-raising method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addition, these factors such as transparency, accountability, and the interaction with donors for sustaining and improving their loyalty are turned out to be crucial.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onation collection strategy of non-profit organizations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Keywords

References

  1. 구인회, 손병돈, 안상훈, 사회복지정책론, 서울 : 나남, 2010.
  2. 김상균, 신병호,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 베가북스, 2021.
  3. 김소영, 김수영, 조남경, "나눔토대연구-한국의 나눔, 정의와 변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20.
  4. 김준회, "비영리조직의 서비스 품질요인이 후원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제7권 제3호, 2010, 149-166. https://doi.org/10.31203/AEPA.2010.7.3.009
  5. 김운호, "비영리단체 모금의 성공요인과 기준에 관한 소고", 한국비영리연구, 제3권 제2호, 41-71.
  6. 김혁래, "한국의 시민사회와 비정부단체(NGO)연구: 현황 및 발전전략", 동서연구, 제9권 제2호, 1997, 37-68.
  7. 노연희, 박미희, 노법래, " 2020 기부 트렌드-지나간 10년, 다가올 10년", 사랑의 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20, 3-7.
  8. 도묘연, 이관률, "비영리 민간단체 활동의 협력특성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 비영리민간단체를 사례로", 한국행정논집, 제22권 제3호, 821-844.
  9. 박명규, 이재열, 한준, 이원재, 강정한, 임이숙, 커넥트파워-초연결 세상은 비즈니스 판도를 어떻게 바꾸는가?, 포르체, 2019.
  10. 박미희, 노연희, 박란희, "기부트랜드-확장되는 세계, 일상이 되는 기부", 사랑의 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22, 57-61.
  11. 박상필, "비영리단체의 발생 원인과 발달 배경", 현상과 인식, 제24권 제1호, 2000 ,86-108.
  12. 서희열, "비영리조직의 투명성을 통한 기부문화 활성화 방안", 조세연구, 제16권 제1집, 2016, 99-132. https://doi.org/10.35636/KTR.2016.16.1.004
  13.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비영리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력, 우기, 그리고 기회들", 2020.
  14. 오혜영, "기부경험은 즐거운 감정 동기를 강화하는가?: 정기적인 기부 경험이 기부 유형별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제34권 제2호, 2016, 149-163. https://doi.org/10.36345/KACST.2016.34.2.013
  15. 이윤정, "비영리조직의 자원개발 전략에 관한 탐색적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10호, 2012, 107-118.
  16. 이준모, "비영리조직의 모금에 있어서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요소 분석", 경희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정경희, "기부광고의 의미와 이데올로기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8. 정지은, 이한준, 박종철, "비영리 단체 이미지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26권 제2호, 2015, 93-117.
  19. 최미숙, "개인기부요인과 기관기부요인이 기부행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기부만족감, 신뢰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칼빈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0. 채병완, 임승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기부금세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지, 제73집, 2017, 331-352.
  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조사에 따른 역량 중심 교육과정 비교 연구", 2017.
  22. 허정민, "굿네이버스-그라운드X, 블록체인 기술로 아프리카 식수개선 나선다", 조선일보, 2020. 7. 16.
  23. Anthony, R. N, "Management Conteol in Nonprofit Organizations", Social Marketing Quarterly, Vol.6, No.3, 2000, 77-81. https://doi.org/10.1080/15245004.2000.9961124
  24. Hall, P. D.,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Non-profit Sector, In the Nonprofit Sector: A Research Handbook", Yale University Press, 1987, 3-26.
  25. Salmon, L. M., "America's Nonprofit Sector: A Primer", 2nd ed, Foundation Center,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