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are

검색결과 757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사의 치매케어 관련 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및 치매간호 접근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Dementia care Knowledge, Attitudes toward to dementia and Approach to dementia care of Nurses)

  • 이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57-367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치매케어 관련 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및 치매간호 접근법에 대해 조사하고 관련 변수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P시에 소재한 G 병원의 남 녀 간호사 20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치매케어 관련 지식은 11.02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40.15점이었으며 치매간호 접근법은 7.90점이었다. 치매케어 관련 지식은 성별(t=-2.424, p<.05)과 교육수준(F=2.932, p<.05) 그리고 근무병동(F=2.268,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케어 관련 지식은 치매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62, p<.05)가 있었으며, 치매케어 관련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응급실(${\beta}=-1.568$)과 중환자실(${\beta}=-1.682$)이었다. 본 연구결과 치매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매케어 지식의 향상과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융복합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장기요양보호체계의 국가별 다양성 (Analysis on the Diversity of Long-Term Care Systems)

  • 김철주;홍성대;허윤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93
    • /
    • 2007
  • This research purposed to analyse the diversity of the long-term care system based on the dependency/independency of the aged. For this purpose, we divided the long-term care systems to three components; form of benefit, generosity of benefit and delivery system. Form of benefit is whether the benefit is cash or in-kind, and the generosity of benefit is related to the level and coverage of benefit. The last concerned to focus on provider and user selection. According to this, we tried to make an ideal type of long-term care in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and consumerism. As a result, we established four types of long-term care system; active citizen type, passive citizen type, latent citizen type, and family dependent type. And we investigated Austria, Sweden, Germany and Korea for each type empirically.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systemic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re givers who involved in long-term care service center)

  • 이은희;정보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383-388
    • /
    • 2012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 근거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들은 D광역시에서 활동하는 195명의 요양보호사들이다. 분석방법은 빈도 및 백분율, 상관관계,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은 요양보호사의 연령, 자아존중감의 정도, 그리고 서비스 이용대상자나 그 가족으로부터 받는 업무에 대한 인정과 그리고 주변사람들로부터 받는 지지에의 정도에 따라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에 대한 교육과 함께 클라이언트에 대한 교육도 필요한 것으로 제언하였다.

중환자실 전담간호사 역할에 대한 중환자실 의료인의 중요도와 만족도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Intensive Care Unit Health Care Providers with Intensive Care Unit Clinical Nurse Expert's Role)

  • 문현정;최혜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79-389
    • /
    • 2022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전담간호사 역할에 대한 중환자실 의료인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일개 기관의 4개 단위 내·외과계 중환자실 소속 의사, 간호사 총 138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3일부터 29일까지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중환자실 전담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는 5점 만점에 의사 4.18점, 간호사 3.95점, 만족도는 5점 만점에 의사 4.39점, 간호사 3.85점으로 중요도(t=2.33, p=.024)와 만족도(t=5.43, p<.001)가 두 군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직종 모두 전문간호실무, 전문직 활동, 조정협동, 교육상담, 연구 순으로 중요도와 만족도 순위가 일치하였다. 집중개선 영역으로는 의사는 실무 표준 및 가이드라인 개발, 전문가 역할 모델과 자기 개발과 환자/가족 교육으로 나타났고, 간호사는 의료진 교육으로 평가하였다. 중환자실 전담간호사 역할에 대하여 전문성을 강화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의 역량을 증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활용한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장기입원 관련 요인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related to long-term hospitalization of inpatients using the quality assessment data for long-term care hospitals)

  • 이지윤;남은우;정형선;허민희;노진원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8-67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using the quality assessment data for long-term care hospitals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Methods: Among 1,376 long-term care hospital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ospitals.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infrastructure characteristics, medical personnel characteristics, health outcomes and the proportion of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patients per doctor,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ing staff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portion of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Among health outcomes,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with more than a 5% weight loss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showing improvement in ADL, were more likely to have a lower proportion of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However the proportion of diabetic patients with HbA1c test results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portion of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long-term care hospitals. Based o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suggest screening methods for unnecessary long-term hospitalizations, such as sufficient medical personnel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in long-term care hospitals. It is also necessary to clearly separate the role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implement policies to support patients' social reintegration.

  • PDF

유방 촬영에서 디지털 토모신테시스(Digital Tomosynthesis)의 유용성 (Usability of Digital Tomosynthesis in Mammography)

  • 이미화;정홍량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152
    • /
    • 2015
  • 유방 검사에서 Tomosynthesis는 Mammogram과 비교하여 유방 병변 구별에 우수하고 확연한 대조도 차이를 보이며 추가적인 유방촬영 검사나 재촬영을 감소시킴으로서 장기적으로 환자의 피폭선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보이므로 유방 병변 진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다.

  • PDF

디지털 환경에서 영유아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과 효과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Emphasizing Direct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in a Digital Environment)

  • 권혜림;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2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which emphasize parents' direct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even when using digital devices. For this purpos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were evaluated by taking a pre-test and post-tes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covariate analysis (ANCOVA) to find out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scores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as a covariate to minimize possible errors between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Results: Par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hich emphasized parents' direct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when using digital devices, showed higher increases of play support belief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an the comparative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order to develop digital fluency from early childhood, parents should avoid indiscriminate use of digital devices at home, maintain direct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even when giving them digital devices to play with, and support healthy growth by way of continuing sensitiv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의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 of Locus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Stress and Fatigus on the Geriaic Hospital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 임희영;윤미진;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29-33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수준을 알아보고 임종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42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는 SPSS Win 22.0와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 경로분석은 Amos 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피로, 내적통제신념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내적통제신념이 높을수록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덜 받고 또한 임종간호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피로를 감소시킬수 있는 전략적 프로그램 개발과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 간호사에게 질적인 간호수행을 할 수 있는 교육이나 업무환경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모성간호학 실습 전자교과서 개발 - 산부간호편 -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for Maternity Nursing Practice for the Internet: Nursing Care of Women in Labor and Delivery)

  • 장순복;김정은;송주은;이선경;전은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22-231
    • /
    • 2002
  •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digital textbook for students to use over the internet for maternity nursing practice. The textbook is not only for student nurses, but also for nurse midwives and nurses working in the maternity. The process used was as follows; 1. Existing educational media on maternity nursing were reviewed and examined. 2. Workshops and meetings were held to decide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presentation. 3. The digital content including text, pictures, audios, and videos were developed using Macromedia Dreamweaver, Adobe Photoshop and Adobe Premier. 4.Revisions were made recursively as the content was previewed and implemented over the internet by professionals and the end-users. 5. A database of members and a web survey module were developed and posted. The clinical implication of a digital textbook over the internet is the possibility of using it to educate many student nurs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to disseminate the content for whoever needs it in practice settings and facilities. Another implication is that this site stressed interactivity by developing member database and web survey.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is first trial of digital textbook to be a unique educational media for nursing skills practice. Further refinement of this media is strongly recommended.

  • PDF

전공에 따른 케어 로봇에 대한 인식, 디지털 리터러시 및 공감능력에 대한 비교 연구 -보건계열 및 공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A 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care robots, digital literacy and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major -in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engineering-)

  • 이도영;윤상석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7-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형명의 의료 삶의 질을 향상시켜줄 케어로봇에 대하여 미래 의료 산업 발전을 주도할 보건전공 대학생과 공학전공 대학생의 케어로봇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이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및 공감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케어로봇에 대한 인식과 디지털 리터러시 및 공감능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보건계열 대학생과 공학계열 대학생은 케어로봇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육 경험이 두 군 모두 미흡하였다. 더욱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경우 케어로봇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공학계열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낮았으며, 수강 요구도 또한 낮았다. 보건계열 대학생과 공학계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공감능력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영역인 행동적 공감에서 관계형성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후 4차 산업에 따른 의료 분야의 교육의 다학제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전공에 따른 학습자들을 위한 이해와 준비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