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Emphasizing Direct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in a Digital Environment

디지털 환경에서 영유아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과 효과

  • 권혜림 (인하대학교 대학원 아동심리학전공) ;
  •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 Received : 2021.10.15
  • Accepted : 2022.02.08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which emphasize parents' direct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even when using digital devices. For this purpos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were evaluated by taking a pre-test and post-tes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covariate analysis (ANCOVA) to find out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scores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as a covariate to minimize possible errors between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Results: Par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hich emphasized parents' direct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when using digital devices, showed higher increases of play support belief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an the comparative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order to develop digital fluency from early childhood, parents should avoid indiscriminate use of digital devices at home, maintain direct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even when giving them digital devices to play with, and support healthy growth by way of continuing sensitiv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고남희 (2009). 교류분석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 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미향 (2004). 영아기 모성행동 척도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8(0), 47-66.
  3. 권장희 (2012. 10). 스마트 기기 등 영상미디어가 영유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지 논문, 서울.
  4. 김광웅, 유미숙, 유재령 (2004). 놀이 치료학, 서울: 학지사.
  5. 김덕숙 (2001). 그림책 읽기를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어머니의 언어유형이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7. 김민정, 김수지, 김정은, 손한결, 김태선 (2018). 유아기 자녀를 둔 가정의 취업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 14(1), 41-62. doi:10.14698/jkcce.2018.14.01.041
  8. 김민화 (201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수예, 김현경 (2021). 부모의 놀이 지지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3), 19-37. doi:10.14698/jkcce.2021.17.03.019
  10. 김수정, 정익중 (2016). 컴퓨터, 전자 게임, 스마트폰 사용이 유아의 우울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0(2), 157-176. doi:10.21459/kccr.2016.20.2.157
  11. 김영옥, 박성연(2011). 걸음마기 모-아 놀이에서의 긍정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동학회지, 32(1), 71-85. https://doi.org/10.5723/KJCS.2011.32.1.71
  12. 김은지, 전귀연 (2020).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이 인지와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 미디어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이용 지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1), 13-29. doi:10.6115/fer.2020.002
  13. 김종운, 이명순 (2009). 관계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12(1), 61-76.
  14. 김태희 (2010). 의사소통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만 4, 5세 자녀를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희정 (2010). 유아교육기관 귀가 후 유아의 일과 실태 분석: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293-311.
  16. 문소라, 황혜정 (2017),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 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3), 149-168. doi:10.17643/KJCE.2017.26.3.08
  17. 박성희 (2012).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측정 도구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박윤현, 박지은, 김대웅, 서지연, 최나야 (2019). 취학 전 전자매체 교육시간과 초등학교 1학년의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주의집중문제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4(1), 451-473. doi:10.20437/KOAECE24-1-18
  19. 설샛별, 이혜원, 이경숙, 김명식 (2017). 영유아 영상물 과다노출이 영유아의 일반 발달과 정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10(1), 45-58.
  20. 안유자 (2000).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오주현, 박용완 (2019). 영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 실태 및 부모 인식 분석. 육아정책연구. 13(3) 3-26. doi:10.5718/kcep.2019.13.3.3
  22. 이경숙, 박진아(2014). 영유아 영상물 과몰입 실태와 발달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14(1), 150.
  23. 이상희, 오새니 (2019). 유아기 미디어 이용이 초등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8(2), 89-108. doi:10.21183/kjcm.2019.6.18.2.89
  24. 이영신, 이지현, 김지연 (2018). 미디어 이용시간 및 부모의 상호작용에 따른 아동의 어휘력 차이-군집유형별 분석을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95-114.
  25. 이인옥 (2007). 지체장애인을 위한 지각된 낙인 측정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6. 이애란, 한경자 (2007). 학령전기 장애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어머니의 행위 측정도구 개발.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3(4), 444-453.
  27. 이종은, 김지윤, 박은혜, 강현아 (2017). 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를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6), 163-179. doi:10.14698/jkcce.2017.13.06.163
  28. 이한별 (2008).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의사소통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연하, 배진아 (2010).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가정 내 미디어 이용중재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13, 37-74.
  30. 채종옥, 이경화, 김소양, 김연진 (2013). 영유아를 위한 놀이지도. 파주: 양서원.
  31. 최대훈 (2019). 3-5세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실태와 영향변인.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24(2), 179-184. doi:10.9708/jksci.2019.24.02.179
  32. 홍예지, 박영아, 안수빈, 이순형, 이강이 (2017).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육아정책연구, 11(2), 87-113. https://doi.org/10.5718/KCEP.2017.11.2.87
  33. 홍정유, 최영희 (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 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1(4), 77-90.
  34. Abels, M., Vanden Abeele, M., Van Telgen, T., & Van Meijl, H. (2018). Nod, nod, ignore: An exploratory observatio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obile media use and parental responsiveness towards young children. In E. M. Luef and M. M. Marin (Eds.), Languag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pp. 195-228). Graz: Uni-Press Verlag.
  35. Barr, R., Kirkorian, H., Radesky, J., Coyne, S., Nichols, D., Blanchfield, O., et al. (2020, July). Beyond screen time: a synergistic approach to a more comprehensive assessment of family media exposure during early childhood. Frontiers in Psychology. 11, 1283. doi: 10.3389/fpsyg.2020.01283
  36. Center on the Developing Child. (2019, September). A guide to serve and return: How your interaction with children can build brains. Retrieved September 15, 2021 from https://devhcdc.wpengine.com/guide/a-guide-to-serve-and-return-how-your-interaction-with-children-can-build-brains/
  37. Denham, S. A., Renwick, S. M., & Holt, R. W. (1991). Working and Playing Together: Prediction of Preschool Social-Emotional Competence from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62(2), 242-249. doi:10.1111/j.1467-8624.1991.tb01528.x
  38. Feiring, C., & Lewis, M. (2014). Middle class differences i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e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In Tiffany M. Field, Anita Miller Sostek, Peter Vietze, P. Herbert Leiderman (Eds.), Culture and Early Interactions (Psychology Revivals) (pp. 63-87). Psychology Press.
  39. Fogle, L. & Mendez, J. (2006).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African Americ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507-518.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8.002
  40. Fogel, L. (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s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41. Hiniker, A., Sobel, K., Suh, H., Sung, Y.-C., Lee, C. P., & Kientz, J. A. (2015). Texting while parenting: how adults use mobile phones while caring for children at the playground, CHI '15: Proceedings of the 33rd Annual ACM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727-736. doi: 10.1145/2702123.2702199
  42. Holloway, D. J., Green, L., & Stevenson, K., J. (2015). Digitods: Toddlers, touch screens and Australian family life. M/C Journal, 18(5). doi:10.5204/mcj.1024
  43. Hong, W., Liu, R., Ding, Y., Oei, T., Zhen, R., & Jiang, S. (2019). Parents' phubbing and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The roles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self-esteem.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2(12), 779-786. doi:10.1089/cyber.2019.0179
  44. Hughes, F. P. (2010).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4th ed.). Sage Publications Inc.
  45. Konrad, C., Hillmann, M., Rispler, J., Niehaus1, L., Neuhoff, L., & Barr, R. (2021).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 Before, During, and After Smartphone Use. Frontiers in Psychology, 12, 929. doi:10.3389/fpsyg.2021.616656
  46. Lemish, D., Elias, N., & Floegel, D. (2020). "Look at me!" Parental use of mobile phones at the playground. Mobile Media & Communication, 8(2), 170-187. doi:10.1177/2050157919846916
  47. McDaniel, B. T., & Coyne, S. M. (2016). "Technoference": the interference of technology in couple 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for women's personal and relational well-being. Psychology of Popular Media Culture, 5(1), 85-98. doi:10.1037/ppm0000065
  48.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21). Digital technologies: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fluency. Retrieved September 15, 2021 from https://tewhariki.tki.org.nz/en/teaching-strategies-and-resources/communication/digital-technologies/
  49. OECD. (2020, October). 21st Century Children. Retrieved September 15, 2021 from https://www.oecd.org/education/ceri/21st-century-children.htm/
  50. Potharst, E. S., Leyland, A., Colonnesi, C., Veringa, I. K., Salvadori, E. A., Jakschik, M., et al. (2021). Does Mothers' Self-Reported Mindful Parenting Relate to the Observed Quality of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Child Interaction?. Mindfulness, 12(2), 344-356. doi:10.1007/s12671-020-01533-0
  51. Radesky, J., Kistin, C. J., Zuckerman, B., Nitzberg, K., Gross, J., Kaplan-Sanoff, M., et al. (2014). Patterns of mobile device use by caregivers and children during meals in fast-food restaurants. Pediatrics, 133(4), 843-849. doi:10.1542/peds.2013-3703
  52. Radesky, J., Miller, A. L., Rosenblum, K. L., Appugliese, D., Kaciroti, N., & Lumeng, J. C. (2015). Maternal mobile device use during a structured parent-child interaction task. Academic pediatrics, 15(2), 238-244. doi:10.1016/j.acap.2014.10.001
  53. Solter, A. J. (2015). Attachment Play, 애착놀이(김미나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13).
  54. Summers, P. W., DeSollar-Hale, A., & Lbrahim-Leathers, H. (2013). Toddlers on Technology: A Parents' Guide. Illinois: AuthorHouse.
  55. Vanden Abeele, M. M. P., Abels, M., & Hendrickson, A. T. (2020). Are parents less responsive to young children when they are on their phones? A systematic naturalistic observation study.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3, 363-370. doi: 10.1089/cyber.2019.0472
  56. Wolfers, L. N., Kitzmann, S., Sauer, S., & Sommer, N. (2020). Phone use while parenting: an observational study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maternal sensitivity and smartphone use in a playground sett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02, 31-38. doi: 10.1016/j.chb.2019.08.013
  57. Yuan, N., Weeks, H. M., Ball, R., Newman, M. W., Chang, Y., & Radesky, J. S. (2019). How much do parents actually use their smartphones? Pilot study comparing self-report to passive sensing. Pediatric Res. 86, 416-418. doi: 10.1038/s41390-019-04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