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estive Enzymes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32초

Tc-99m DISIDA 간담도 Scintigraphy상 우연히 발견된 위장역류의 임상적 의의 (Gastric Reflux on Routine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 이강욱;이헌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3-318
    • /
    • 1995
  • 통상적인 Tc-99m DISIDA 스캔도중 우연하게 위장역류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1991년 12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통상적인 Tc-99m DISIDA 스캔을 시행한 1,553명의 환자들중 우연하게 위장부위로 방사능역류를 보인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이러한 환자들의 검사당시 임상상을 알아보았다. 1) 연구기간동안 시행한 Tc-99m DISIDA 스캔상 위장 역류는 2.3%에서 발견되었다. 2) 위장역류를 보인 대상환자중 위장관 및 담도계에 수술을 받은 과거 병력이 있는 경우는 19% 이었으며 역류가 없었던 환자들에서보다 의미있게 많았다(p<0.01). 3) 역류가 발견되는 시점은 Tc-99m DISIDA 정맥주사 후 30분에서 60분 사이가 50%로 가장 많았으며 60분에서 90분 사이가 23% 이었다. 4) 위장 역류를 보인 환자중 87%에서 위내시경 검사상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등의 병변을 보였다. 이상에서 저자들은 Tc-99m DISIDA 스캔상 위-십이지장 역류를 보이는 경우는 역류가 없는 경우보다 위장관이나 담도계에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위-십이지장에 질환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수의 탄닌 함량이 소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nnin content in sorghum on digestive enzymes)

  • 배정숙;고희선;최홍집;이지윤;김세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38-745
    • /
    • 2016
  • 본 연구는 수수 계통들의 탄닌 함량별 소화효소 저해율을 조사하여 향후 수수 품종육성과 수수의 이용성 향상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남풍찰수수의 탄닌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과피와 배유사이의 종피층에 탄닌이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도정을 하지 않은 조곡에서 탄닌 함량은 11.54 mg/g이었고, 73% 도정한 종실과 겨에서 각각 4.57 mg/g과 28.71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가 65% 도정한 종실과 겨에서 2.06 mg/g과 26.38 mg/g으로 줄었다. 수수 추출물 탄닌 함량별로 15계통을 대상으로 소화효소 반응을 조사한 결과, 탄닌이 함유된 계통들에서 탄닌이 없는 계통들에 비해 당질가수분해 효소인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beta}$-glucosidase 저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alpha}$-glucosidase의 저해율은 모든 탄닌 계통에서 97% 이상으로 다른 소화효소들에 비해 매우 특이적으로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Protease의 저해율은 탄닌 계통들에서 non-탄닌 계통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Lipase 저해율은 20% 이하로 저해가 일어나지 않거나 매우 낮아 수수 계통들간의 lipase 저해율의 유의성이 없었다.

벌 화분에서 습식 나노화 공정에 의한 유효성분의 추출 (Enhanced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Bee Pollen by Wet-grinding Technology)

  • 최윤식;서화진;정일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1-656
    • /
    • 2016
  • 벌 화분은 꿀벌로부터 생산되며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장 균형 잡힌 영양 식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역사적으로도 벌 화분은 질병치료와 에너지 보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서는 벌 화분의 항산화, 항염증, 심지어 항암작용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되고 있다. 그러나 벌 화분은 exine이라는 외피로 둘러싸여 있어 강산이나 고압 그리고 소화효소 등에 매우 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로 인하여 생체이용률이 낮아 영양공급과 임상적 이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벌 화분의 외피를 분쇄할 수 있는 습식분쇄기술을 개발하여 벌 화분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고자 기획되었다. 먼저 습식분쇄를 통해 벌 화분의 외피가 효과적으로 분쇄됨을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게다가 습식분쇄에 의해 벌 화분의 활성성분으로 잘 알려진 polyphenol 화합물의 양이 약 11배 증가하였고 ABTS 항산화 분석법과 DPPH 라디칼 소거능 시험을 통해 항산화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습식분쇄기술을 통해 벌 화분을 임상적 및 향장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서 식물혼합 추출물의 체지방 형성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on Adipo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 장영선;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39-144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체중조절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 조사 및 소화 효소 억제실험을 통하여 녹차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상엽추출물을 소재로 하여 체중조절 효과가 우수하고 체지방 개선 효능이 있는 식물혼합 추출물(PEM)을 선별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부고환, 복막후, 장간막 지방) 및 혈청 지질 농도에 식물혼합 추출물이 어떤 영향들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6주령의 ICR 마우스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lard 20%; 200 g/kg)를 급여한 고지방식이군과 고지방식이에 식물혼합 추출물을 1%(10 g/kg)을 급여한 PEM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은 정상식이를 섭취한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청 지질 수준,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식물혼합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이는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 및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을 고지방식이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고지방식이 급여로 증가된 체중 및 지방조직 무게를 감소시키고, 혈청지질 조성을 개선시킨 식물혼합 추출물은 고지방 식사로 인한 고지혈증 및 비만과 같은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므로 항비만용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이용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Inhibiyory Effects of Ginseng Saponins Metabolized in Degestive Tract on Adrenal Secretion of Catecholamines In vitro

  • Tachikawa Eiichi;Hasegawa Hideo;Kenzo Kudo;Kashimoto Takeshi;Miyate Yoshikazu;Kakizaki Atsushi;Takahashi Katsuo;Takahashi Eiji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392-400
    • /
    • 2002
  • We have previously found that the saponins but not other components in the ginseng reduce the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s) from bovine adrenal chromaffin cells, a model of sympathetic nerves, evoked by acetylcholine (ACh) due to the blockade of $Na^+$ influx through nicotinic ACh receptor-operated cation channels, and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may be associated with the anti-stress action of ginseng. However, the saponins, which showed the great reduction of the CA secretion, were mainly the protopanaxiatriols. The protopanaxadiol and oleanolic acid saponins had a little or little such effect. Recent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oligosaccharides connected to the hydroxyl groups of the aglycones of the saponins are in turn hydrolyzed by gastric acid and enzymes in the intestinal bacteria when the ginseng is orally administrat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ir major 6 kinds of metabolites on the secretion of CAs were investigated. All metabolites (M1, 2, 3 and 5 derived from the protopanaxadiols, and M4 and 11 from the protopanaxiatriols) reduced the ACh-evoked secretion from the cells. In the metabolites, the M4 inhibition was the most potent ($IC_{50}({\mu}M):M4(9)$ < M2 (18) < M3 (19) < M1l (22) < M5 (36) < MI (38)). Although M4 also reduced the CA secretion induced by high $K^+$, a stimulation activating voltage-sensitive $Ca^{2+}$ channels, the inhibitory effect was much less than that on the ACh-evoked secretion. M4 inhibited the ACh-induced $Na^+$ influx into the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similar to that of the inhibition of the ACh-evoked secretion. When the cells were washed by the incubation buffer after the preincubation of the cells with M4 and then incubated without M4 in the presence of ACh, the M4 inhibition was not completely abolished. On the other hand, its inhibition was maintained even by increasing the external ACh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aponins are metabolized to the more active substances in the digestive tract and the metabolites attenuate the secretion of CAs from bovine adrenal chromaffin cells stimulated by ACh due to the noncompetitive blockade of the ACh-induced $Na^+$ influx into the cells. These findings may further explain the anti-stress action of ginseng.

  • PDF

마치현(馬齒莧)의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against cerulein-induced acute pancreatitis)

  • 곽태신;김동구;김주영;배기상;최선복;조일주;신준연;이성곤;김명진;김민준;송호준;박성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17
    • /
    • 2014
  • Objective : Portulaca oleracea (PO)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traditional medicine for inflammatory and bacterial diseases in East Asia. However, the protective effects of PO on acute pancreatitis (AP) is not well-known.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and prophylactic effects of PO on cerulein-induced AP. Methods : AP was induced in mice via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upramaximal concentrations of the stable cholecystokinin analogue cerulein ($50{\mu}g/kg$) given every hour for 6 times. Water extracts of PO (100, 300, or 500 mg/kg) was administrated intra-peritoneally 1 h prior to the first injection of cerulein. The mice were killed at 6 h after the final cerulein injection. Pancreas and lung were rapidly removed for morphologic and histochemical examination, myeloperoxidase (MPO) assay. Blood samples were taken to determine serum amylase and lipase activities. Results : Administration of PO significantly inhibited pancreatic weight/body weight ratio, pancreas and lung histological injury. And MPO activity which indicates neutrophil infiltration was inhibited by PO extracts on cerulein-induced pancreatitis. In addition, PO administration inhibited digestive enzymes such as serum amylase and lipase activity on cerulein-induced pancreatitis. Conclusion : Our results could suggest that pre-treatment of PO reduces the severity of cerulein-induced AP, thereby, PO could be used as a protective agent against AP. Also, this study could give a clinical basis that PO could be a drug or agent to prevent AP.

납(Lead)이 취외분비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d Acetate on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 신윤용;김원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5
    • /
    • 1981
  • No evidence has accumulated that lead compound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biological function in animals. Lead is absorbed primarily through the epithelial mucosal cells in duodenum and the absorption can be enhanced by the substances which bind lead and increase its solubility. Iron, zinc and calcium ions, however, decrease the absorption of lead without affecting its solubility, probably by competing for shared absorptive receptors in the intestinal mucosa. Therefore, the absorption of lead is increased in iron deficient animals. Lead shows a strong affinity for ligands such as phosphate, cysteinyl and histidyl side chains of proteins, pterins and porphyrins. Hence lead can act on various active sites of enzymes, inhibiting the enzymes which has functional sulfhydryl groups. lead inhibits the activity of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for the biosynthesis of hemoproteins and cytochrome, which catalyzed the synthesis of monopyrrole prophobilinogen from ${\delta}$-aminolevulinic acid. Accordingly lead decrease hepatic cytochrome p-450 content, resulting an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demethylase and hydroxylase in liver. Little informations are available on the effect of lead on digestive system although the catastrophic effects of lead intoxication are well documented.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 on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in rats. Albino rats of both sexes weighing $170{\sim}230g$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one control and three treated groups, i.e., control (physiologic saline 1.5ml/kg i.p.), lead acetate $(l0{\mu}mole/kg/day\;i.p.)$, $Pb(Ac)_2$ and EDTA$(each\;10{\mu}mole/kg/day\;i.p.)$, $Pb(Ac)_2$ and $FeSO_4(each\;l0{\mu}mole/kg/day\;hp)$. The pancreatico-biliary juice was collected under urethane anesthesia, and activities of amylase and lipase were determined by employing Sumner's and Cherry and Crandall's methods. The summarized results are follows. 1) In the experiment for acute toxicity of lead acetate, 20% of mortality was observed in rat treated with lead acetate as well as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amylase in the juice at the 3 rd day of the treatment. 2) No increases in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while in control group the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However, the body weights of animals were increased in the group lead acetate plus EDTA or $FeSO_4$. 3) Lead acetat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volume of pancreatico-biliary juice whereas additional treatment of EDTA and $FeSO_4$ prevented it. 4) Total activity of amylase was markedly reduced due to lead acetate treatment, but no change was showed following additional treatment with EDTA and $FeSO_4$. 5) No changes in the cholate and lipase output were observed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rats. 6) Increase in bilirubin output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was shown on the 2nd and 3rd weeks treatment. 7) In the case of in vitro experiment, lead acetate also markedly inhibited release of amylase from pancreatic fragment. 8) Histologic finding indicated that acini vacuolation was induced in the pancreatic tissue of rat treated with lead acete. From the above results, it might be concluded that lead acetate decreases the volume of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and inhibits the amylase activity, by acting directly on pancreatic cells.

  • PDF

조릿대잎 추출문의 탄수화물 소화효소활성 저해 및 식후혈당강하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 황지영;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989-99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잎 추출물의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와 혈당강하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lpha}-glucosidase$${\alpha}-amylase$의 저해활성과 STZ 유발 당뇨생쥐를 이용한 혈당강하효과를 측정하였다. 조릿대잎 메탄올 추출물은 0.5 mg/mL 농도에서 yeast ${\alpha}-glucosidase$ 활성을 18.61% 저해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ethylacetate층은 48.46%, buthanol층은 41.9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40.31%의 저해활성을 보인 acarbose보다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은 0.5 mg/mL 농도에서 ${\alpha}-amylase$ 활성을 22.16% 저해하였으며, ethylacetate층은 56.31%, buthanol층은 43.6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41.14%를 나타낸 acarbose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조릿대잎 추출물 중 ethylacetate층과 buthanol층은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lpha}-glucosidase$${\alpha}-amylase$ 저해활성에서 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 강하제로 처방되고 있는 acarbose보다 높은 저해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생쥐와 정상생쥐에게 시료의 수율 및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활성이 높은 buthanol층을 전분과 함께 경구 투여한 후 혈당 증가를 측정한 결과, 전분과 함께 조릿대 잎 추출물의 buthanol층을 경구 투여한 경우가 전분만 투여한 경우에 비해 투여 후 30, 60, 120분에 혈당 증가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l), 식후혈당증가 곡선의 면적에서도 대조군보다 유의적(p<0.0l) 으로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조릿대잎 추출물중 ethylacetate층과 buthanol층은 acarbose보다 높은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uthanol층은 STZ 유발 당뇨생쥐를 통해 식후 혈당증가를 저하시키는 효과까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수산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의 미세플라스틱 노출에 따른 크기 의존적 Cytochrome P450 유전자의 발현 양상 (Size-dependent Transcriptional Modulation of Genes Involved in Cytochrome P450 Family in the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Exposed to Polystyrene Beads)

  • 전민정;유제원;이영미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4-114
    • /
    • 2023
  • 플라스틱은 전세계적으로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 환경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 생물에 의해 섭취되어 소화관에 축적됨에 따라 성장과 생식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Cytochrome P450 (CYP)는 환경 오염물질을 대사하는 해독효소로 알려져 있으나 지각류에서는 그 기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에서 clan 2, 3, 4에 각각 속하는 CYP 유전자 9종(clan 2: CYP370A4, CYP370C5; clan 3: CYP350A1, CYP350C5, CYP361A1; clan 4: CYP4AN-like, CYP4AP2, CYP4AP3, CYP4C33-like1)의 서열에 대해 진화적으로 보존된 서열의 유사도를 분석하고 계통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3종류의 서로 다른 크기의 polystyrene beads (0.05-, 0.5-, 6-㎛ PS beads; 0.1, 1, and 10 mg/L)에 48시간 노출된 기수산 물벼룩에서 이들 9종의 CYP 유전자의 발현을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수산 물벼룩 CYP 유전자는 모두 진화적으로 보존된 motif를 가지고 있으며 계통분석 결과 각각 clan 2, 3, 4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능적으로 보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CYP 유전자 중 clan 2에 속하는 CYP370C5와 clan 3에 속하는 CYP360A1, 그리고 clan 4에서는 CYP4C122 유전자의 발현이 0.05-㎛ PS beads에 노출되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이들 유전자가 PS 대사에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이 해양 무척추 동물에 미치는 생물 영향을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vitro 발효에서 Prebiotics와 Probiotics가 돼지 장내미생물과 발효산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biotics and Probiotics on Swine Intestinal Microflora and Fermentation Products In Vitro Fermentation)

  • 김동운;채수진;김영화;정현정;이성대;박준철;조규호;사수진;김인철;김인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4-29
    • /
    • 2013
  • 본 연구는 prebiotics와 probiotics가 in vitro 배양조건에서 돼지 장내 미생물 및 발효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 하였다. prebiotics로써 이소말토-올리고당(IMO), 부분분해 치커리이눌린(CI), 라피노스(RA), 사이클로덱스트린(CD)을 사용하였으며 probiotics로는 Lactobacillus reuteri를 사용하였다. In vitro 발효시험은 육성돈 사료를 소화효소로 가수분해 시킨 사료와 5%의 돈분 그리고 prebiotics와 probiotics를 첨가 또는 무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 후 발효액 내의 미생물, 가스, pH, 암모니아, 황화수소, 단쇄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엔테로박테리아는 prebiotics와 probiotics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락토바실러스 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효액의 pH는 대조구에 비하여 첨가구에서 낮았으며 prebiotics보다 prebiotics+probiotics 첨가구에서 더욱 낮았다.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스카톨의 농도는 prebiotics+probiotics 구보다 prebiotics 첨가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단쇄지방산은 prebiotics 보다 prebiotics+probiotics 구에서 유의적으로 많이 생성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 prebiotics 첨가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스카톨의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prebiotics+probiotics는 유산균과 단쇄지방산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In vitro에서 얻어진 실험 결과가 실제로 돼지에 급여 시 같은 결과가 얻어질런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