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use parakeratosi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미만성 이상각화증을 동반한 침습성 표피양 낭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Unusual Epidermoid Cyst with Diffuse Parakeratosis and Aggressive Growth - A Case Report -)

  • 남혜주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5-89
    • /
    • 1999
  • An extremely unusual case of epidermoid cyst showing diffuse parakeratosis and aggressive clinical behavior is presented. A destructive bone lesion with surrounding ill-defined soft tissue lesion was found by computed tomography in a 63 year-old man complaining of painful swelling of the right buttock. He had a history of surgical excision twice for epidermoid cysts of soft tissue of the right hip during recent one year On aspiration cytology, the aspirate was highly cellular and mostly composed of desquamated nucleated squamous cells. Operation finding revealed that the iliac bone was Irregularly destroyed and filled with gray-white cheesy material and necrotic bone bedris. Adjacent gluteus muscle showed scattered gray-white lesions. The curettage specimen showed bone necrosis and desquamated squamous cells filling the marrow spaces. The lesion within muscle revealed epidermoid cyst with diffuse parakeratosis.

  • PDF

도축장출하 돼지의 위병변 (Gastric Lesions of Slaughtered Pigs)

  • 박재학;이학모;김창환;박종환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20
    • /
    • 2001
  • We examined the stomaches of slaughtered pigs to evaluate the gastric lesions. Gastric ulcer accompanying parakeratosis and hyperkeratosi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the mucosa layer of pars oesophagea. Diffuse congestion and focal necrosis was also frequently seen on the fundus. Pierce wounds by toothpick were seen from 3 stomaches.

  • PDF

Cyclosporin A에 의한 치은 과증식의 형태학적 특성 (Morphological features of Cyclosprin A-induced Gingial Hyperplasia)

  • 문현주;김창성;서종진;박지숙;윤정훈;조규성;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609-619
    • /
    • 2000
  • Cyclosporin A(CsA) is now widely used to treat organ transplant recipients. But CsA has various short-and long-term side effects. Especially, gingival hyperplasia is not easy to resolve since its nature is still unknown. This study discusses the pathogenesis of CsA-induced gingival hyperplasia on the basis of data obtained from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biopsis from patients on CsA treatment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Light microscopically, the multilayered squamous epithelium showed an irregular surface of parakeratosis and deep invaginations in the subepithelial tissue. At lamina propria, we observed bundles of irregularly arranged collagen fiber, some fibroblasts, numerous capillary vessels and a large diffuse infiltration of plasma cells. Ultrastructurally, many fibroblasts, collagen fibers, collagen fibrils were present in lamina propria. On the basis of the data collected, we propose that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dimensional increase in gingival tissue associated with CsA treatment in kidney transplant patients may be considered proliferative fibroblasts, collagen fibers, collagen fibrils in lamina propria.

  • PDF

후두 종양의 임상적 및 병리조직학적 고찰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y of Laryngeal mass)

  • 김화성;한경수;이준기;정덕희;박재훈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9.1-10
    • /
    • 1981
  • 1975년 3月부터 1980년 3月까지 애성을 주소로 하여 본원에 입원하여 수술 받은 183명의 후두 종양 환자에 대한 임상적 통계와, 그중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88case의 성대 결절과 폴립 환자에서, 성대 결절(30case), 국한성 폴립 (48), 미만성 폴립 (10)을, 임상적인 분류하에 현미경학적 검사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 임상적 관찰 1) 전체 183명중 성대 결절 82명 (45%), 후두 폴립 53명 (29%), 삽관후 육아종 3명 (1%), 후두 유두종 18명 (10%), 후두 결핵 2명 (1%), 후두암 25명 (14%)를 차지했다. 2) 남녀 비는 성대 결절 3 : 4, 후두 폴립은 1 : 1, 삽관후 육아종 1 : 2, 후두 유두종 3 : 2, 후두암 11 : 1.성대 결절, 삽관후 육아종은 여자, 후두암과 후두 유두종은 남자에게 많았다. 3) 연령 분포는 성대 결절 20~30대, 후두 폴립 30~40대, 삽관후 육아종 20대, 후두 결핵 10대와 40대, 후두암은 50대이었다. 4) 증상발현으로부터 내원까지의 이환기간의 분포를 보면 성대 결절과 폴립은 5개월~1년, 후두 유두종과 삽관후 육아종은 1년이내, 후두 결핵과 암은 1년~3년이었다. 5) 발생 부위를 보면, 성대 결절, 폴립 후두 유두종은 성대의 전 1/3~중 1/3경계, 삽관후 육아종은 중 1/3~후 1/3, 이었다. 6) 발생측에 있어서 후두 결절과 유두종은 성대의 양측에 오며, 후두 폴립 5 : 3, 삽관후 육아종 2 : 1로 우측에 많았다. 7) 후두 종양의 크기는, 성대 결절 1~2mm(67%), 후두 폴립 3~5mm(42%), 삽관후 육아종 6~10mm(67%), 후두 유두종 1~2mm(39%), 후두 결핵과 암은 10mm 이상의 크기로 산재해 있었다. 8) 후두 종양의 증상은 애성이 90%이상, 연하통은 후두암과 결핵, 호흡곤란은 삽관후 육아종, 후두 유두종, 결핵, 암에서 나타났으며, 그외에 후두의 이물감, 작열감, 소양감 둥의 증상이 있었다. 9) 과거력은 Smoking과 관련 있는 것이 후두 결핵 50%, 후두암 40%이었고, 후두 유두종은 빈번한 상기도 감염이 33%에서 있었다. 10) 직업에서는 어떤 특별한 통계학적 의미를 찾아볼 수 없었다. II. 병리조직학적 관찰 1) 성대 결절과 플립의 상피세포는 중층 편평 상피로 덮여 있으나, 위축, 극세포증, 이상 각화증과 과각화증의 소견을 보이며, 그중 과각화증과 극세포증이 많았다. 2) WHO classification에 의해 섬유성 점액 종양, 혈관성, 유리질성의 4가지 단계로 나누였는데, 성대결절은 점액 종양 병변 60%, 국한성 폴립은 점액 종양 병변과 함께 혈관성, 유리질성 병변이 많았고, 미만성 폴립은 혈관성 병변(80%)이었다. 3) 전 18례의 후두 유두종에서, Exophytic 형이며 편평세포형이 17례(94.5%), 역형이며 이행세포형이 1례 (5.5%)이었다. 4) 후두암은 편평세포 : 선암의 비율이 24 : 1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