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ie-Hellman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7초

Redirect 공격과 DoS 공격에 안전한 MIPv6 바인딩 업데이트 프로토콜 (MIPv6 Binding Update Protocol Secure Against both Redirect and DoS Attacks)

  • 강현선;박창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15-12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노드(mobile node, MN)와 대응노드(correspondent node, CN)사이의 바인딩 업데이트 (binding update, BU) 프로토콜에 대해 기존 프로토콜들에서 알려진 Redirect 공격과 DOS(denial-of service) 공격을 방지하고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BU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에서 홈 에이전트(home agent, HA)는 BU 메시지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인증서버(authentication server)의 기능과 MN과 CN를 위한 세션키 분배센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CGA(cryptographically generated address)를 기반으로 한 stateless Diffie-Hellman 키 합의 기법을 소개하고, 제안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기존 프로토콜과 함께 비교하고 분석한다. 제안 프로토콜은 메시지 수, 계산적 오버헤드 측면에서 기존기법보다 효율적이며, Redirect와 DoS 공격으로부터 안전하다.

Diffie-Hallman 키 교환을 이용한 확장성을 가진 계층적 그룹키 설정 프로토콜 (Scalable Hierarchical Group Key Establishment using Diffie-Hallman Key Exchange)

  • 박영희;정병천;이윤호;김희열;이재원;윤현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15
    • /
    • 2003
  • 안전한 그룹 통신은 그룹에 속한 멤버들만이 안전하면서도 비밀스럽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며, 안전한 그룹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그룹키를 분배하고, 그룹 멤버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그룹키를 생성, 분배 그리고 갱신하는데 있어 적은 통신량과 연산량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룹키를 생성하기 위해서, 잘 알려진 두 멤버간의 Diffie-Hellman 키 교환과 완전 이진 트리를 이용한 새로운 방법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양의 모듈러 멱승 연산의 일부를 곱셈 연산으로 대체하여 한 멤버에게 필요한 멱승 연산량을 최소화시킨다. 그리하여, 제안한 프로토콜은 그룹의 크기에 관계없이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그룹의 멤버는 항상 일정한 모듈러 멱승 연산과 곱셈 연산을 수행하며, 기존 프로토콜보다 전체 모듈러 멱승 연산량도 적다.

스마트 미터 프라이버시 시스템을 위한 잡음 가중치 데이터 집계 (Noisy Weighted Data Aggregation for Smart Meter Privacy System)

  • 김용길;문경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9-59
    • /
    • 2018
  • 현재 여러 국가들은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법적, 기술적, 비즈니스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그리드 배치를 서두르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와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는 스마트 미터기의 주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미터 측정값들이 믿을 수 없는 이해집단들로부터 공격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는 하드웨어 제약사항, 보안 암호화 시스템과 보안 신호 처리와 같은 몇 가지 해결책들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현재 스마트 미터 프라이버시 보호 영역에서 주된 도전 문제가 되고 있는 미터 사용량 집계 암호화에 관한 하나의 접근방식을 제공한다. 개별 에너지 총 사용량에 관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개별 사용자 집계 함수에 잡음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접근방식에서 준동형 암호화 성질을 충족하기 위해 잡음 가중치의 곱은 1이 된다. 단적으로 개별 에너지 사용자 집계를 알 수 없도록 하는데 있다. Diffid-Hellman 생성기를 적용하는 경우에 잡음 가중치 곱은 잡음 가중치 합으로 전환되고 가중치 합은 0이 된다. Diffid-Hellman 키 교환은 보통 512비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주 큰 키들을 사용하는 다른 Paillier 계통 암호화 방법들에 비해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이산대수 기반 Diffie-Hellman형 표준 키 분배 프로토콜의 안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Security Analysis of Diffie-Hellman based Standard Key Agreement Protocols)

  • 김경진;김성덕;심경아;원동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6호
    • /
    • pp.799-808
    • /
    • 2002
  • 인터넷과 같은 첨단의 정보 전송 시스템이 발달함에 따라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에 대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암호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안전한 암호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키 분배 프로토콜은 가장 필수적인 요소이며, 지금까지 여러 키 분배 프로토콜들이 표준으로 제안되었으나 이에 대한 엄밀한 안전성 증명은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NSI X9.42의 Diffie-Hellman형 표준 키 분배 프로토콜의 특징을 자세히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여러 능동적 공격자 모델에 대한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Ad-Hoc 네트워크에서 선행 키 분배 없는 단 대 단 키 설정 방안 (A Peer-to-Peer Key Establishment Scheme without Pre-distributing Keys in Ad-Hoc Networks)

  • 왕기철;방상원;정병호;조기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7C호
    • /
    • pp.1015-1023
    • /
    • 2004
  • 임의의 두 노드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 단 대 단 키 설정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동적으로 위상이 변화하고, 동일한 권한을 갖는 노드로 구성되는 Ad-Hoc네트워크 환경에서 선행 키 분배는 비현실적인 가정이다. 본 논문은 Ad-Hoc네트워크에서 미리 키를 분배하지 않고 두 노드사이에 단 대 단 키를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Diffie-Hellman 키교환 방법을 기반으로 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키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임의의 해쉬체인 값들을 이용하여 교환되는 Diffie-Hellman값의 위조를 방지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단 대 단 키 설정 방안은 man-in-the-middle공격에 대해 해쉬함수의 안전성만큼 안전하다. 실험결과는 제안된 방안이 선행 키 분배 방법에 비해 키 설정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수를 크게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또한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된 방안이 상대적으로 확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타원곡선 디피-헬만에 기반하는 그룹 키 동의 (Group Key Agreement based on Elliptic Curve Diffie-Hellman)

  • 한준호;김경훈;김종;홍성제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91-394
    • /
    • 2002
  • 그룹통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제 그룹통신 보안문제도 점점 관심을 얻어가고 있다. 보안문제 중에서 그룹보안통신에서 사용하는 그룹 키 관리가 보안의 초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룹 키 관리는 그룹 키 분배와 그룹 키 동의가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룹키 동의에 대해 다룬다. 이제껏 그룹 키 동의는 디피-헬만(Diffie-Hellman)을 기반으로 키 동의를 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디피-헬만을 대신하여 타원곡선에서 이산로그문제의 어려움을 바탕으로 한 타원곡선 디피-헬만의 사용을 제시하며, 타원 곡선 디피-헬만을 기반으로 한 키 트리 기반 그룹 키 생성의 성능을 분석한다.

  • PDF

A Novel Key Sharing Fuzzy Vault Scheme

  • You, Lin;Wang, Yuna;Chen, Yulei;Deng, Qi;Zhang, Huanhu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9호
    • /
    • pp.4585-4602
    • /
    • 2016
  • A novel key sharing fuzzy vault scheme is proposed based on the classic fuzzy vault and the Diffie-Hellman key exchange protocol. In this proposed scheme, two users cooperatively build their fuzzy vault for their shared key using their own biometrics. Either of the users can use their own biometrics to unlock the fuzzy vault with the help of the other to get their shared key without risk of disclosure of their biometrics. Thus, they can unlock the fuzzy vault cooperatively. The security of our scheme is based on the security of the classic fuzzy vault scheme, one-way hash function and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in a given finite group.

KEY EXCHANGE PROTOCOL USING MATRIX ALGEBRAS AND ITS ANALYSIS

  • CHO SOOJIN;HA KIL-CHAN;KIM YOUNG-ONE;MOON DONGHO
    • 대한수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287-1309
    • /
    • 2005
  • A key exchange protocol using commutative subalge-bras of a full matrix algebra is considered. The security of the protocol depends on the difficulty of solving matrix equations XRY = T, with given matrices R and T. We give a polynomial time algorithm to solve XRY = T for the choice of certain types of subalgebras. We also compare the efficiency of the protocol with the Diffie-Hellman key exchange protocol on the key computation time and the key size.

안전한 인스턴트 메신저의 설계와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e Instant Messenger)

  • 정보고;이광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2호
    • /
    • pp.213-220
    • /
    • 2001
  •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전달이 일상 생활처럼 되고 있다. 기존에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주로 전자메일에 한정되오 있던 것에 반해, 요즘은 좀 더 즉각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인스턴트메신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는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사용자가 급속하게 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인스턴트 메신저는 전송되는 정보가 아무런 보호장치 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제 3자에 의한 도청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송되는 정보의 암호화를 포함하는 안전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안전한 인스턴트 메신저는 사용자 개인이 메신저 서버에게 전송하는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사용자간에 전송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암호화하여 잠재적인 보안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설계는 일반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에 중점을 두었다.

  • PDF

무선 통신을 위한 진보된 키 합의 프로토콜 (Advanced Key Agreement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 유재길;윤은준;유기영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71-175
    • /
    • 2006
  • Diffie-Hellman기반 키 합의 프로토콜들은 비교적 고비용의 연산인 지수연산으로 인해, 유선 네트워크 환경에 비해 저전력이고 컴퓨팅 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비효율적이고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Yang등은 대리서버(Proxy Server)를 이용하여 Diffie-Hellman방식을 적용하면서도 단말 무선 네트워크 사용자의 지수연산부담을 감소시키는 효율적인 키 합의 프로토콜(이하 SEKAP)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SEKAP는 재전송공격(Replay Attack), 알려지지 않은 키 공유 공격(Unknown Key Share Attack), 그리고 키 노출로 인한 위장공격(Key Compromised Impersonation Attack) 등에 취약하며 전방향 안전성(Forward Secrecy)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SEKAP가 위 공격들에 대해 취약함을 보이고, 세션키의 상호인증을 추가한 개선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