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ie Hellman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19초

표준 모델에서 안전한 Diffie-Hellman 키 교환 프로토콜 (A Diffie-Hellman Key Exchange Protocol in the Standard Model)

  • 정익래;권정옥;이동훈;홍도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5권6호
    • /
    • pp.465-473
    • /
    • 2008
  • MQV 프로토콜은 가장 효율적인 Diffie-Hellman 키 교환 프로토콜로 여겨지고 있으며, 미국 NSA를 비롯한 많은 기관들에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Crypto 2005에서 Hugo Krawczyk는 MQV의 약점들을 보였으며, MQV를 변형한 HMQV를 제안했다. HMQV는 MQV와 비슷한 계산량을 요구하는 반면 다양한 안전성을 만족하며, 랜덤 오라클 모델에서 안전성 증명이 가능하다. 이 논문에서 HMQV가 제공하는 다양한 안전성을 만족하면서도 랜덤 오라클을 사용하지 않는 Diffie-Hellman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지금까지는 랜덤 오라클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HMQV가 제공하는 다양한 안전성을 보장하는 Diffie-Hellman 키 교환 프로토콜은 존재하지 않았다.

변형 Diffie-Hellman 키교환 프로토콜 (One Variant of Diffie-Hellman Key Exchange Protocol)

  • 양대헌;이경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6호
    • /
    • pp.471-474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사전 연산이 가능한 세션 키와 복잡한 암호 프로토콜 디자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변형된 Diffie-Hellman 키 교환 프로토콜을 보인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Diffie-Hellman 키 교환 프로토콜을 간결화 하였으며 본래의 프로토콜과 같은 보안성을 가진다.

이동전화기를 이용한 Diffie-Hellman 키 교환기법의 개선방안 (Enhanced Diffie-Hellman Key Distribution using Mobile-phone)

  • 이윤진;이재근;조인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563-2568
    • /
    • 2009
  • 대칭암호시스템은 빠른 속도로 암 복호를 행하는 장점을 지니지만 안전하게 비밀키를 분배하는 방법에 문제점이 있다. 특히, 비밀통신을 원하는 불특정 사용자가 공통으로 가져야 할 비밀키를 분배하는 방안이 핵심쟁점이 되어왔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Diffie-Hellman 키 교환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스킴은 중간공격자(MITM, Man In TheMiddle)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동 전화 채널을 이용하여 강화된 Diffie-Hellman 키 교환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방안은 이동전화를 통해 교환된 인증번호와 생성된 Diffie-Hellman 키를 합성하여 송신자와 수신자에게 세션키를 분배하는 방안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Diffie-Hellman 키 교환방법에서 쟁점이 된 중간공격자 공격을 실용적인 방법으로방어할 수 있다.

지수연산 부분군의 충돌을 이용한 Diffie-Hellman 기반의 비대칭 키 교환 방법 (Diffie-Hellman Based Asymmetric Key Exchange Method Using Collision of Exponential Subgroups)

  • 송준호;김성수;전문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2호
    • /
    • pp.39-4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사전연산이 가능한 세션 키 쌍을 이용하여, 최소의 정보만을 노출하여 키 교환이 가능한 변형된 Diffie-Hellman 키 교환 프로토콜을 보인다. 기존 Diffie-Hellman 및 Diffie-Hellman 기반 기법들의 보안성인 이산대수문제를 변형하여 생성원이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전송되는 암호문에 대한 공격으로부터 향상된 보안성을 가진다. 제안하는 기법에 실제 값을 적용하여 알고리즘의 동작을 증명하고 기반이 되는 기존 알고리즘과의 수행시간과 안전성을 비교 분석하여, 키 교환 시점 연산량을 유지하며 두 기반 알고리즘 시간복잡도의 곱 이상으로 알고리즘의 안전성이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보안성이 향상된 키 교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iffie-Hellman 알고리즘이 적용된 USN에서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악의적인 노드 검출 (Detection of Malicious Node using Timestamp in USN Adapted Diffie-Hellman Algorithm)

  • 한승진;최준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5-12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OTP가 적용된 Diffie-Hellman 방식을 이용하여 노드간 키를 전달할 때 타임스탬프의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악의적인 노드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식들은 정확한 시간 동기화나 방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방법으로 악의의 노드 검출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성 안테나 추가 혹은 제 3 신뢰기관(TTP) 없이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OTP를 Diffie-Hellman 방식에 적용하여 중간의 악의노드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Optical Secret Key Sharing Method Based on Diffie-Hellman Key Exchange Algorithm

  • Jeon, Seok Hee;Gil, Sang Keu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5호
    • /
    • pp.477-484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optical secret key sharing method based on the Diffie-Hellman key exchange protocol required in cipher system. The proposed method is optically implemented by using a free-space interconnected optical logic gate technique in order to process XOR logic operations in parallel. Also, we present a compact type of optical module which can perform the modified Diffie-Hellman key exchange for a cryptographic system. Schematically, the proposed optical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of producing an open public key and a shared secret key simultaneously. Another advantage is that our proposed key exchange system uses a similarity to double key encryption techniques to enhance security strength. This can provide a higher security cryptosystem than the conventional Diffie-Hellman key exchange protocol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hared secret key.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 are presented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and show the effectiveness in the modified Diffie-Hellman key exchange system.

팩시밀리용 암호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ncryption System for Facsimile)

  • 유병욱;한상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44-352
    • /
    • 2006
  • 자동으로 암호문과 평문의 수신이 가능한 팩시밀리용 암호통신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암호시스템은 128bit SEED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1024bit 모듈러, 256bits Exponent의 Diffie-Hellman 키교환방식을 적용하였다. 암호문 고속 전송을 위해 Dual FAX Server를 개발함으로써 실시간 암호통신을 구현하였다. Diffie-Hellman 키교환 시 등록된 시리얼번호를 서로 교환시켜 안전한 키 교환이 가능하게 하였다.

무선환경에 적합한 GaP Diffie-Hellman 그룹을 사용한 ID 기반 은닉서명 방식 (An ID-based Blind Signature Scheme using the Gap Diffie-Hellman Group in Wireless Environments)

  • 김현주;김수진;원동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6호
    • /
    • pp.720-728
    • /
    • 2003
  • 은닉서명(blind signature scheme)은 서명문의 내용을 숨기는 서명 방식으로 서명의뢰자의 신원과 서명문을 연결시킬 수 없는 익명성을 가지며 전자화폐나 전자투표 등 주로 행위자의 행동이 노출되어서는 안되는 보안서비스에 중요하게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GDH군에서의 ID 기반 은닉서명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의 안전성은 CDHP의 어려움에 기반을 두며, 효율성은 두 사용자간의 2회 통신만으로 서명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은닉서명 방식을 훨씬 개선하였다. 통신횟수와 계산량이 적으므로 제안한 은닉서명 방식은 무선 PKI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멀티홉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 환경 기반에서 견고한 키 교환 (A Robust Pair-wise Key Agreement Scheme based on Multi-hop Clustering Sensor Network Environments)

  • 한승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51-26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신뢰하는 제 3기관(혹은 장치)(TTP)이 없고 사전에 키가 분배되지 않는 멀티 홉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전하게 암호화된 키를 교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는 TTP가 존재하거나 노드간 키가 이미 분배되었다는 가정하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기반 구조가 없는 USN 환경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기존 연구 중 일부는 난수를 이용한 Diffie-Hellma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재생 공격과 중간자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Diffie-Hellman 알고리즘에서 취약한 문제로 드러난 노드 간 인증 문제는 ��TESLA를 사용한 수정된 Diffie-Hellman 알고리즘으로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정된 Diffie-Hellman 알고리즘에 타임 스탬프를 사용한 일회용 패스워드(OTP)를 추가하여 안전하면서, 가볍고, 강인한 키 교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인증, 기밀성, 무결성, 부인방지, 후방향 안전성 및 전방향 안전성에 대해서 안전하다는 것을 검증한다.

Proxy 서버를 이용하는 효율적인 키 분배 프로토콜 (Efficient Key Agreement Protocols using Proxy Server)

  • 양형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1호
    • /
    • pp.29-36
    • /
    • 2005
  • 키 분배 프로토콜은 안전한 암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키 분배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cdot}$개발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공개키 암호 방식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키 분배 프로토콜은 Diffie-Hellman 방식에 기반하므로 세션키 설정에 요구되는 계산량이 많아 무선 인터넷 환경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proxy 서버론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계산량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키 분배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두 사용자간에 키 분배가 이루어지는 기존의 키 분배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말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