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t surveying origin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기타원점지역 지적측량기준점의 통일 좌표 산출 연구 (A Study on Computation of Unified Coordinate of Cadastral Control Points over the Field with Different Surveying Origins)

  • 양철수;진중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3
    • /
    • 2008
  • 통일원점과 구소삼각원점 계열의 성과가 혼재되어 있는 지역의 지적측량기준점에 대하여 GPS관측거리를 이용하는 삼변망조정계산 방법에 의하여 단일 원점계열의 성과를 산출하였다. 삼변망조정계산의 적용은 각 원점계열별로 성과가 상호 부합하는 점들을 추출하여 자유망조정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이들 자유망조정의 성과에다 나머지 점들을 연결하는 고정망조정계산에 의해 지역 내 모든 점들의 좌표를 산출하였다. 실제 계산은 인천광역시의 가리계열 18점, 계양계열 17점, 중부계열 33점 등의 원점계열별 기준점을 이용하여 지역 전체의 합계 68점의 기준점에 대한 단일 원점계열의 성과를 산출하였다. 새로이 산출한 각 원점계열의 좌표 간에는 정량의 방위각과 축척계수의 차이가 있고 수작업으로 이를 보정하는 계산에 의해서도 서로 다른 원점 계열의 근사 좌표 산출이 가능하였다.

  • PDF

GPS성과를 매개로 한 구소삼각과 일반원점성과의 계통적 변환 (Systematic Coordinate Transformation between Different Projection Zones using GPS Survey Results)

  • 김감래;최원준;임건혁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26
    • /
    • 2003
  • The fact on a variety of the plane coordinate systems in cadastral survey field caused a troublesome stage by different standards for the production of cadastral maps. The cadastral maps with different origins are not standardized in terms of unit and coordinate system, which introduces surveying problems at the edges where two or more zones meet. Moreover, difficulties in the creation of seamless digital cadastral map DBs between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has become the obstacle to establish various levels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way to mutual coordinate transformation by clarifying the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the areas of different origins.

  • PDF

GIS 활용을 위한 기타원점 좌표계 지적자료의 좌표변환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오산시를 대상으로 -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the Cadastral Maps with Different Surveying Origins for Utilization in GIS)

  • 이권한;서관호;정해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481-491
    • /
    • 2003
  • 본 연구는 기타원점좌표체계의 지적자료를 통일원점좌표계로 변환하여 연속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GIS 분야에서 지적자료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오산시를 대상으로 관련기관의 협조를 받아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연구에서는 좌표변환에 활용되는 기준점 영역을 대 영역, 중 영역, 소 영역 3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최초 기타 원점 측량당시의 기준점 성과와 현재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기준점성과를 활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연구에서 사용한 좌표변환 방법은 2차원 투영변환 중 대표적인 등각사상변환, 부등각사상변환, 다항식변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변환 전·후의 필지 모양 및 형태변화를 측정하고, 최종적으로는 좌표계 통일후 인접지역에 대한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가장 적정한 좌표변환 방안을 설정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대 영역의 부등각사상변환이 모양 및 형태변화와 이격거리에 있어 가장 양호한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지적도면의 세계측지계 좌표변환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 - 조정좌표의 활용을 통해서 - (Development of the Process of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Local Datum Cadastral Map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 Using Adjusted Coordinate -)

  • 양철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spc4_2호
    • /
    • pp.401-412
    • /
    • 2014
  • 지적재조사사업에서는 지적도면을 세계측지계로 변환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작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목적으로 종래의 지적측량성과를 지역측지계 기반에서 조정하여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하는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프로세스는 조정좌표의 산출, 조정좌표의 좌표변환, 왜곡량모델링으로 이루어진다. 1단계로 지역측지계 기반의 조정좌표의 산출은 GPS관측의 점간기선거리를 이용하는 삼변망조정계산에 의하였고, 2단계로 조정좌표의 세계측지계 좌표변환은 Affine변환모델에 의하였다. 수치실험에서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195점의 동일원점계열의 기준점뿐만 아니라 인천시에 소재하는 61점의 다른 원점계열의 기준점을 통합 활용하는 계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정좌표를 이용하는 좌표변환계산은 특정 공통점의 선택에 관계없이 변환좌표와 관측좌표가 2cm 이내에서 일치하였다. 또, 조정좌표를 이용하는 좌표변환은 변환계산의 지역 범위를 달리하더라도 최종 결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조정좌표를 이용하는 방법은 변환계산의 지역 크기 및 공통점 선택에 무관하게 기준점오차 및 경계점의 왜곡량을 명확히 해주므로 지적재조사사업의 세계측지계 도면변환 과정에서 적합한 왜곡량 보정을 실시한다면 도면의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우리나라 행정구역도상 면적 변화 (Area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Boundary Map of Korea by National Geodetic Reference Frames)

  • 배태석;김정희;윤종성;정재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1-247
    • /
    • 2012
  •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부터 세계측지계로 전환하였으며,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행정구역도상의 면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센서스용 행정구역경계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토를 대상으로 면적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면적 계산 과정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시하는 표준절차를 이용하였으며, 전국 단일 원점TM좌표를 세계측지계로 변환한 후 타원체면 및 투영평면상에서 면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광역시도행정경계가 우리나라 직각좌표의 두 개 이상의 원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각 좌표계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행정경계를 개별 폴리곤으로 분할한 후 별도의 원점을 기준으로 투영하였다. 세계측지계 변환 후 모든 행정경계가 북서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전체 면적이 투영평면 기준으로 $1.36km^2$(약 0.001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원체의 장반경이 확대됨으로 인한 면적증가보다 행정경계의 경위도 좌표가 고위도로 변경됨으로 인한 면적감소가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각 행정구역별 면적변화율은 고위도에 위치한 광역시도가 더 민감하게 반영되었다. 이와는 별도로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행정구역경계 자료로부터 계산된 면적은 국토해양부의 국토해양통계 자료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일원화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