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t sources

검색결과 3,415건 처리시간 0.033초

국산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전통 콩된장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Traditional Doenjang Supplemented with Extracts of Korean Herb Medicines.)

  • 박석규;정회정;김성희;권선화;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53-559
    • /
    • 2004
  • 국산 한약재를 이용하여 식품학적 품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전통된장을 개발할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국산 한약재를I∼IV군으로 조합하여 121$^{\circ}C$에서 2시간 동안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담금용 염수에 여러 농도로 첨가한 후 3개월 동안 자연발효시킨 한방 콩된장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약재 첨가 된장의 일반성분 분석에서 대조구는 수분 61.9%, pH 5.50, 총산도 3.25 ml, 염도 12.6%를 나타내었으나 시험구는 수분 58.2% ∼61.9%, pH 5.32∼5.56, 총산도 3.07∼3.70 ml, 염도 11.7∼13.9%범위로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조단백, 조지방 및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대조구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지용성 갈변도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수용성 갈변도는 I군과 II군은 III군과 IV군에서 매우 높은 경향이었다. 한약재 첨가 된장의 색도 측정에서 명도(L)는 대조구 된장(31.72)에 비하여 I군과 II군의 된장이 낮은 수치(24.32∼27.71)를 나타내어 된장의 색깔이 검은 색을 띄었다. 적색도(a)는 제 I군을 제외한 나머지 된장에서는 대조구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황색도(b)는 III군과 IV군의 경우 대조구 된장과 비슷하였으나 I군과 II군은 낮게 나타났다.

GPS/Leveling 데이터를 이용한 기하지오이드와 중력지오이드의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Gravimetric Geoid and the Geometric Geoid Using GPS/Leveling Data)

  • 김영길;최윤수;권재현;홍창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7-222
    • /
    • 2010
  • 지오이드는 수직 높이 체계의 기준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 중력값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지오이드의 계산에 사용된 관측자료에 따라 지오이드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GPS/Leveling 자료와 같은 검증자료가 충분치 않아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분석이 수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GPS/Leveling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기하지오이드를 기준으로 중력기반 지오이드(항공중력 지오이드, 지상중력 지오이드,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지역내에 설치된 통합기준점에 대해 기하지오이드고를 산출한 후 중력기반 지오이드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하지오이드와 중력 지오이드와의 차이는 통합기준점 각 지점(포인트)별로 혹은 $10km{\times}10km$로 격자화 한 후 분석하였으며 파장별 분석이 용이하도록 FFT(Fast Fourier Transform) 방법을 이용하였다. 기하지오이드고를 기준으로 각 지점별 차이에 대한 표준편차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항공중력과 지상중력에 의한 지오이드고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고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파수 영역에서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저주파 영역에서는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국토지리정보원/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고의 경우 고주파 영역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 XXV. 식용 식물 추출물의 면역증강 효과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 XXV. Immunostimulating Effect of Edible Plant Extracts)

  • 류하나;박미현;홍성길;이대영;한경민;유종수;김세영;노영덕;백남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08-714
    • /
    • 2007
  • 식품 소재의 국내산 약용식물인 163가지 천연물에서 메탄올로 추출한 시료를 이용하여 in vivo에서 10, 100, 500, $1000\;{\mu}g/mL$의 4가지 농도에서 대식세포 면역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2개의 시료에서 면역증진반응을 보였으며, 그 중 20개의 시료는 음성대조군에 대하여 20% 이상 면역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중 2가지 농도에서 면역증진반응을 보이는 시료는 총 19개, 3가지 농도에서 면역증진효과를 나타내는 시료는 총 3개[골파(Allium schoenoprasmum), 두릅(Aralia elata),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였으며, 특히 마(Dioscorea batatas)는 각 농도에서 활성을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양성대조군과 비슷하거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면역증진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 계측 유도 초음파의 통계적 패턴인식을 이용하는 배관 구조물의 복합 손상 진단 기법 (Multiple Damage Detection of Pipeline Structures Using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of Self-sensed Guided Waves)

  • 박승희;김동진;이창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34-141
    • /
    • 2011
  • 최근 사회 기반 시설물에서 구조물의 안전성 및 적정 성능 수준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결함 빛 노후화에 의한 성능 저하 등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중 배관 구조물은 국가 주요 자원의 수송을 책임지는 핵심 사회 기반 시설물임에도 불구하고 지중에 매립된다는 위치적 특성 상 상시적으로 구조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는 매우 어렵다. 또한 배관 구조물에서는 내부 미세 균열에서부터 국부 좌굴, 볼트 풀림, 피로 균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손상이 복합적으로 발생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합 손상을 효율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압전센서를 이용한 자가 계측 회로 기반의 유도 초음파 계측 시스템을 복합 손상 진단에 적용하였다. 유도 초음파 자가 계측으로부터 특정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구조물의 웨이블렛 응답을 계측한다. 복합 손상을 유형별로 분류하기 위하여 유도 초음파 계측으로부터 추출한 특성을 이용하여 손상지수를 계산하고 이를 지도학습 기반 패턴인식 기법에 적용한다. 제안된 기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배관 구조물에 인위적으로 다중 손상을 생성시켜 시험을 수행하였다.

고효율 Poly-$\gamma$-Glutamic Acid생산 균주의 분리 및 생산 특성 (Isolation of Bacillus sp. Producing Poly-$\gamma$-glutamic Acid with High Efficiency and Its Characterization)

  • 유경옥;오유나;김병우;남수완;전숭종;김동은;김영만;권현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0-206
    • /
    • 2005
  • 한국 청국장에서 poly-$\gamma$-glutamic acid (PGA)를 대량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이 세균의 16s ribosomal RNA 서열을 분석한 결과 Bacillus subtilis BFAS, B. subtilis MO4와 B. amyloliquefaciens B128과 99.0, 97.7 그리고 $97.3{\%}$의 상동성을 각각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분리 균주를 Bacillus sp.로 동정하고 Bacillus sp. YN-1로 명명하였다. PGA 대량생산 을 위해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3{\%}$ glutamic acid, $4{\%}$ fructose를 탄소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최대량의 PGA를 생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GA 최대 생산량은 최적 배양 조건에서 27 g/l의 양으로 생산되어 본 균주는 PGA 대량 생산에 적합한 세균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호밀녹비 이용 시 중질소($^{15}N$)를 이용한 질소원 유래별 콩의 집적질소 분획추정 (Estimation of Soybean N Fraction Derived from N Sources by $^{15}N$ in Soybean Cultivation with Rye as Green Manure)

  • 서종호;이성희;조영손;이재은;이충근;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0-57
    • /
    • 2008
  • 월동 후 녹비용 호밀에 시용한 질소가 콩의 질소고정 및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2004년 온실 및 2005년 포장에서 포트시험을 통해 시비질소량별 토양, 호밀 및 콩의 질소회수율을 조사하였다. 1. 2004년 온실폿트 시험에서는 호밀에 시용한 질소비료 량이 증가할수록 호밀지상부가 토양에서보다 질소비료로부터 질소를 흡수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호밀이 없는 조건에서는 논흙이 밭흙보다 콩의 건물 중 및 질소흡수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지력이 높았던 논흙에서는 밭흙에 비해 콩이 질소고정 유래 질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토양유래 질소의 비율이 높았다. 2. 밭흙에서 무녹비와 대비하였을 때 호밀녹비 이용 시의 콩 시비질소회수율은 낮았지만 토양의 시비질소회수율(질소유기화)이 높아 전체회수율은 높았으며, 또 호밀녹비 이용시 콩의 시비질소회수율은 호밀에 대한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3. 2004년 온실포트 실험에서의 콩의 근류고정유래의 질소비율은 약 $92{\sim}95%$로 2005년 포장포트에서의 $82{\sim}84%$보다 약 10% 정도 높았으며, 콩의 근류고정유래 질소량 및 질소량 분획 추정에서는 2년 모두 Difference method와 $^{15}N$ method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ompar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nutritional values based on Korean suggested meal plans and modified vegan meal plans

  • Park, Geun-woo;Kim, Ji-yung;Lee, Min Hyeok;Yun, Jung-Im;Park, Kyu-Hyu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1호
    • /
    • pp.64-73
    • /
    • 2020
  • Producing animal products from farm to table emits massive amounts of greenhouse gases (GHGs). Modified meal plans, mainly including vegetables and grains, have been recommended to reduce GHG emissions. However, these meal plans have not been developed with regard to the micronutrient content, but rather with regard to the energy requirements of grains and vegetables, which could result in a nutritional imbalance. For this reason, we investigated a common Korean suggested meal plan (SMP)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in which nutritional conditions were considered, and evaluated its GHG emissions using the Life Cycle Assessment Inventory Database and nutritional values. The SMP, which included meat, was based o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for adult men age 19 to 29, and was changed to a vegan meal plan (VMP). Animal-based protein sources were substituted for meat alternatives, such as beans and tofu, for which carbon footprint data was available. To compare the nutritional differences, the 9th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s I and II were consulted. To calculate GHG emissions, the carbon footprint data of the food was converted to a CO2 equivalent (CO2e) using a procedure from the Foundation of Agricultur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ransfer. It was found that GHG emissions per calorie were 18% lower for the VMP when compared to the SMP. However, if GHG emissions per total amino acids were evaluated, the VMP GHG emissions per total amino acids were 0.12 g CO2e/mg, while the corresponding value for the SMP was 0.06 g CO2e/mg. The Korean daily meat intake reported by the Korea Agricultural Statistics Service was 37.1% lower than in the SMP, but when converted to a protein intake the figure was 17.0% lower. It was found that each SMP resulted in more GHG emissions than the VMP, but when considered as GHG emissions per total amino acids, the opposite pattern was apparent. There is a need to conduct more detailed studies of the variation in GHG emissions with different meal plans, using the daily meat intake per person.

인공광하에서 $\textrm{CO}_2$ 농도와 기류속도 제어가 플러그묘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xtrm{CO}_2$ concentration and air current speed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ug seedlings under artificial lighting)

  • 송대빈;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75-280
    • /
    • 1999
  • 인공광하의 풍동 내에서 $CO_2$ 농도와 기류속도 제어가 플러그묘 개체군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공광하에서 묘개체군의 줄기 길이 및 직경, 초장, 순광합성속도 등에 미치는 기류속도의 영향은 저농도의 $CO_2$ 조건보다는 고농도의 $CO_2$ 환경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기류속도가 증가할수록 줄기 길이가 감소하였는 데, 이와 같은 결과는 $CO_2$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조건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CO_2$ 농도가 높은 조건에서 줄기 직경은 기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묘개체군의 초장은 $CO_2$ 농도가 낮게 유지되는 조건에 비해서 $CO_2$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경우에 작게 나타났다. 묘개체군의 순광합성속도는 0.7m.s$^{-1}$의 기류속도에서 최대치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CO_2$ 농도가 높게 유지될 때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CO_2$ 농도가 950$\mu$mol.mol$^{-1}$를 유지할 때 묘개체군의 순광합성속도는 310$\mu$mol.mol$^{-1}$인 경우에 비해서 약 46% 정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공광하에서 묘소질이 우수한 플러그묘의 육묘에 $CO_2$시용이 효과적일 것이다.

  • PDF

어류의 주광성에 관한 연구 (2) - 백색광에 대한 돌돔과 복섬의 반응 - (Phototaxis of Fish (2) - Response of Rook bream and Grass puffer to the white lights -)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6권1호
    • /
    • pp.27-35
    • /
    • 1980
  • 빛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항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과 복섬 Fugu niphobles 에 빛의 세기가 서로 다른 여섯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야에 각각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한된 실험수내에서의 광에 대한 구간별분포는 두 어종이 모두 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은 대체로 U자형이되었다. 2. 돌돔은 수중도가 어떤값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광원쪽에 더 많이 모이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야간에 비슷하였다. 복섬은 수중도가 어떤 값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광원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야간에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3.집어솔이 최대가 되는 평균수중조도(적정조도)는 돌돔이 162.0 lux (104.3-238.1 lux)로서 주야간에 같았으며, 복섬은 주간에 16.6 lux (10.6-24.5 lux), 야간에 1.9 lux (1.2-2.9 lux)로서 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에 따른 집어솔은 돌돔의 경우 점등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야간보다 주간에 그 변화가 심했다. 복섬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야간보다 주간에 그 변화가 다소 심했다.

  • PDF

도축장 유래 산양난자의 단위 발생 유기 방법에 따른 체외 발달 ($In$ $Vitro$ Development of Goat Parthenogenetic Oocytes Derived from Different Activation Methods)

  • 윤윤진;박경진;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7-62
    • /
    • 2012
  • Efficient oocyte activation is a key step for the success of nuclear transfer in cloning. Ionomycin sequentially combined with 6-DMAP is now widely used to activate normal oocytes for analytical studies of oocyte activation and to activate reconstructed oocytes after nuclear transf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ources of oocytes, duration of ionomycin and 6-DMAP, laser and electric stimulation in goat oocyte activation in order to optimize the protocols. Goat ovaries were collected in individual abattoirs during the breeding season and were delivered to the laboratory within 6 h in saline with 100 IU/ml streptomycin and 0.05 mg/ml penicillin. The oocytes were denuded from the cumulus cell by pipetting with 0.2% hyaluronidase in PBS at 20~22 hr post maturation. Oocytes with the polar body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four groups for parthenogenetic activa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duration of ionomycin treatment, oocytes after 20~22 hr of maturation were treated with 2.5 uM ionomycin for 1 or 5 min times and then cultured in 2 mM 6-DMAP for 2 or 4 hr. The activated oocytes were cultured in mSOF at $38.5^{\circ}C$ in $CO_2$ 5%, $O_2$ 5% and $N_2$ 90% multi incubator. Cleavage and blastocyst development was observed at 48 hr and day 8 of culture $in$ $vitro$, respectively. Activation rates of oocytes exposed to ionomycin for 1 min(86.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treated for 5 min(74.3%) duration. This indicated that 1 min ionomycin treatment was most suitable for activation of goat oocytes. The duration of 6-DMAP treat duration was in 2 mM 6-DMAP for 2 hr after 1 min exposure to 2.5 uM ionomycin. The activation rate of oocytes incubated in 6-DMAP for 2 hour(82.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ocytes treated with 4 hr(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