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ce of Gaussian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2초

1/4 선택 필터를 이용한 번짐 영상의 외곽선 복원 (Edge Restoration in Blurred Image using 1/4 Selective Filter)

  • 정우진;이종민;김재영;문영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03-11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번짐 영상의 외곽선 복원을 위한 1/4 선택 필터를 제안한다. 일반적인 열화 제거 방법들은 연산량이 많아 수행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속도 향상을 위해서 1/4 선택 필터를 새롭게 제안하고, 1/4 선택 필터를 이용한 번짐 영상의 외곽선 복원 방법을 제안한다. 1/4 선택 필터는 영상의 외곽선을 복원하는 기능이 있으나 세밀한 부분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영상의 주요 외곽선은 1/4 선택 필터로 복원하고 영상의 세밀한 정보는 DOG(Difference of Gaussian) 필터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번짐 현상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번짐 영상에서 외곽선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복원함을 확인하였다.

노년기 지연성 근육통증에 대한 가우스 자기장 치료가 신체 체열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ussian Magnetic Therapy on Body Temperature in Elderly Women with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 신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38-545
    • /
    • 2019
  • 본 연구는 노년기 지연성 근육통증에 대해 가우스 자기장 영역별 적용을 통해 체열 변화와 통증척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노년기 여성 15명(연령;$69.47{\pm}1.60$)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반복측정을 통한 실험에 임하였다. 가우스 자기장 영역을 3범위(1000G, 1500G, 2000G) 영역으로 나누어 임의 제작한 자기장 손목밴드 적용하여 착용전과 후에 나타나는 체열변화와 통증 결과를 SPSS 19.0을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치료 영역별 전-후 차이검증을 위해서 종속 t검증(Paired t-test)과 집단 간 차이와 상호작용 효과 차이검증을 위해 two-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Duncan)을 통해 분석하였다. 유의 수준은 ${\alpha}=.05$로 설정 하였다. 이상의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우스 자기장 영역별 전-후 체열 변화는 세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집단 간 상호 작용의 결과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지연성 근육 통증척도에서도 시기 간-집단 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영역은 1500G 영역에서 나타났다. 1000G - 1500G 가우스 영역이 체열과 근육통증 변화에 가장 이상적인 자기장 영역이라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가우스 자기장 1000G-1500G영역이 노년기 신체 체열과 근육통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노년기 인간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가우스 자기장 효과를 인체 세포의 생리학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SIFT 알고리즘 기반 터치인식 (Touch Recognition based on SIFT Algorithm)

  • 정성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9-7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터치스크린 시스템에 강한 잡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고안한 터치인식 방법을 소개한다. SIFT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잡음에 강하며 다양한 크기의 터치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상에서 얻은 채널데이터를 이용하여 매트랩 상에서 터치인식을 시뮬레이션 해 보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강한 잡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터치 크기와 방향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터치를 인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터치인식 알고리즘을 실제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한 결과 SIFT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DoG(Difference of Gaussian) 연산에 많은 계산 량이 필요하여 실시간 터치인식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우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DoG의 빠른 근사 방법인 DoM(Difference of Mean)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화자인식에서 차분을 이용한 새로운 데이터 추출 방법 (New Data Extraction Method using the Difference in Speaker Recognition)

  • 서창우;고희애;임영환;최민정;이윤정
    •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7-15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extract new feature vectors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pstrum for static characteristics and delta cepstrum for dynamic characteristics in speaker recognition (SR). The difference vector (DV) which it proposes from this paper is containing the static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at the intermediate characteristic vector which uses the deference between the static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and as the characteristic vector which is new there is a possibility of doin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proposed method can achieve new feature vector without increasing of new parameter, but only need the calculation proces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pstrum and delta cepstru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a good performance more than 2.03%, on average,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 in speaker identification (SI).

  • PDF

METHOD FOR REAL-TIME EDGE EXTRACTION USING HARDWARE OF LATERAL INHIVITION TYPE OF SPATIAL FILTER

  • Serikawa, Seiichi;Morita, Kazuhiro;Shimomura, Teru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5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on Control Conference, 10th (KACC); Seoul, Korea; 23-25 Oct. 1995
    • /
    • pp.236-239
    • /
    • 1995
  • It is useful to simulate the human visual function for the purpose of image-processing. In this study, the hardware of the spatial filter with the sensitivity of lateral inhibition is realized by the combination of optical parts with electronic circuits. The diffused fil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aussian type is prepared as a spatial filter. An object's image is convoluted with the spatial filter. From the difference of the convoluted images, the zero-cross position is detected at video rate. The edge of object is extracted in real-time by the use of this equipment. The resolution of edge changes with the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diffused fil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a directional edge selectively when the spatial filter with directional selectivity is used instead of Gaussian type of spatial filter.

  • PDF

확산뉴런망을 이용한 영상처리 (Image Processing by a Diffusion Neural Network)

  • 권율;남기곤;윤태훈;김재창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1호
    • /
    • pp.90-98
    • /
    • 1993
  • A Gaussian is formed by diffusing a spot excitation. In this paper, a diffusion neural network model is derived from the diffusion equation. And it is shown that a difference of two Gaussians(DOG) may have the same shape as a Laplacian of Gaussian(LOG), A neural network model executing a DOG convolution by diffusing an external excitation is proposed. By this model intensity changes of image may be detected. This model may be implemented economically because each neuron has only four fixed-valued synapes.

  • PDF

UWB 시스템을 위한 TDMG 펄스 발생기의 설계 (Design of the TDMG pulse generator for ultra-wideband systems)

  • 박진환;배백근;고영은;방성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27-30
    • /
    • 2004
  • This paper has been designed the TDMG(Time Delay Multiple Gaussian) pulse generator for UWB system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WB impulse. Composite two equal Gaussian pulses in a difference time lag, and then investigated TDMG pulse and modeled mathematically. Designed the TDMG pulse generator by ADS(Advanced Design System) to embody by using actual element with such mathematical model. As well as, this paper finally proved an excellence of the TDMG pulse generator by performing analysis through simulation.

  • PDF

Restoration of Images Contaminated by Mixed Gaussian and Impulse Noise using a Complex Method

  • Yinyu, Gao;Kim, Nam-H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3호
    • /
    • pp.336-340
    • /
    • 2011
  • Many approaches to image restoration are aimed at removing either gauss or impulse noise. This is because both types of degradation processes are distinct in nature, and hence they are easier to manage when considered separately.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find them operating on the same image, which produces a hard damage. This happens when an image, already contaminated by Gaussian noise in the image acquisition procedure, undergoes impulsive corruption during its digital transmission. Here we proposed an algorithm first judge the type of the nois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values of pixel's neighborhood region and impulse noise's characteristic. Then removes the gauss noise by modified weighted mean filter and removes the impulse noise by modified nonlinear filter. The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 on test images indicate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raditional filtering algorithms. The proposed method can not only remove mixed noise effectively, but also preserve image details.

Blind Algorithms with Decision Feedback based on Zero-Error Probability for Constant Modulus Errors

  • 김남용;강성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C호
    • /
    • pp.753-758
    • /
    • 2011
  • The constant modulus algorithm (CMA) widely used in blind equalization applications minimizes the averaged power of constant modulus error (CME)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an instant output power and a constant modulus. In this paper, a decision feedback version of the linear blind algorithm based on maximization of the zero-error probability for CME is proposed. The Gaussian kernel of the maximum zero-error criterion is analyzed to have the property to cut out excessive CMEs that may be induced from severely distorted channel characteristics. Decision feedback approach to the maximum zero-error criterion for CME is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that the Gaussian kernel suppresses the outliers and this prevents error propagation to some extent. Compared to the linear algorithm based on maximum zero-error probability for CME in the simulation of blind equalization environments, the proposed decision feedback version has superior performance enhancement particularly in cases of severe channel distortions.

최소평균절대값삼승 (LMAT) 적응 알고리즘: Part I. 평균 및 평균자승 수렴특성 (Least mean absolute third (LMAT) adaptive algorithm:part I. mean and mean-squared convergence properties)

  • 김상덕;김성수;조성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2303-230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고차통계에 의한 적응알고리즘 가운데 오차의 평균절대값삼승(LMAT)을 최소화하는 알고리즘의 수렴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입력신호가 Gaussian 분포를 갖는다는 가정하에 알고리즘의 평균자승 추정오차와 필터계수의 평균 및 평균자승 특성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관계식을 각각 유도하였다. 이론적으로 분석된 결과는 컴퓨터 모의실험에 의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이론치와 실험치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