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hyl Phthalate(DEP)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Diethyl Phthalate on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llowing Short-term Exposure

  • Jee Jung-Hoon;Keum Yoo-Hwa;Kang Ju-Ch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171-173
    • /
    • 2004
  •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AChE) is well known as a biomarker of exposure to organophosphate compounds in aquatic organisms. However, the effect of diethyl phthalate (DEP), a widely used plasticizer, on the chance of AChE activity is not yet know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exposed to DEP 300 and 1,000 mg DEP/kg b.w. through three times of intraperitoneal injection and effects were assessed in AChE activity of brain, muscle, heart and eyes of the exposed fish. AChE activity in various tissues of flounder was inhibited after exposure to DEP as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especially in brain, muscle and heart. Among tissues examined, heart is supposed to be a major part of body which is seriously damaged by DEP exposure. It indicates that DEP induces toxic effects in various organs (brain, muscle and heart), and changes of AChE activities. Such changed activities of AChE might be a useful biomarker to assess the impacts induced by phthalate esters including DEP.

Solid Phase Microextraction-GC/MS에 의한 플라스틱가소제(DMP, DEP, DBP, BBP, DEHP, DnOP)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hthalates(DMP, DEP, DBP, BBP, DEHP, DnOP)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GC/MS)

  • 이재희;배준현;강준길;김연두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7-27
    • /
    • 2004
  • SPME-GC/MS법을 사용하여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추정되는 플라스틱 가소제류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가소제는 dimethyl phthalate(DMP), diethyl phthalate(DEP), dibutyl phthalate(DBP), benzylbutyl phthalate(BBP), diethylhexyl phthalate(DEHP), di-n-octyl phthalate(DnOP)이었다. 표준 시료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검출한계(LOD)는 0.163~0.299 ng/ml, 상대표준편차는(%RSD)는 5.85~15.80이었다. 본 방법을 사용하여 한강, 금강, 낙동강 및 섬진강에서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DBP와 DEHP 만이 4대강 모두에서 미량 검출되었으며, DBP와 DEHP의 농도는 각각 0.192~1.270 ng/ml 및 0.077~1.102 ng/ml 범위를 보였다.

오존, UV, 오존/UV 혼합 공정을 이용한 Diethyl Phthalate(DEP)의 제거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Diethyl Phthalate(DEP) Removal using Ozone, UV, and Ozone/UV Combined Processes)

  • 정연정;오병수;강준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7-143
    • /
    • 2006
  • 본 연구는 오존 단독, UV 단독 및 오존/UV 혼합 공정을 이용하여 DEP의 제거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로서, 오존/UV 공정에서 가장 높은 제거 효율을 나타냈다. 오존 및 오존/UV 공정에서 DEP의 분해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서 pH 변화 및 OH 라디칼($OH^{\circ}$) scavenger 첨가 유무에 따른 제거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DEP 분해 시 $OH^{\circ}$과의 반응이 주된 반응이며, 오존에 의한 직접 산화 반응 및 UV에 의한 광분해 반응은 무시할 정도로 작았다. 오존 및 오존/UV 공정에서 DEP의 의사일차속도상수를 비교하였을 때, 오존/UV 공정은 일차속도에 잘 일치한 반면 오존 단독 공정에서는 일차속도로 제거되는 경향이 초기에 빠르고 일정한 반응시간 이후에 느려지는 두 영역으로 나뉘어 나타났다. 오존 및 오존/UV 긍정에 의해 생성되는 DEP 산화 부산물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HPLC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미지의 물질이 검출되었으며, 반응시간에 따라 이 물질이 생성되다가 감소하는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오존/UV 혼합공정에서 높은 TOC 제거율을 나타내 DEP 및 DEP 산화부산물까지 완전 산화됨을 확인하였다.

초음파 (US)와 다양한 파장범위의 자외선 (UV) 조사에 따른 DEP 분해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EP Degradation Properties by Combination US and UV Lamp of Different Wavelength)

  • 나승민;;신동훈;;김지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845-853
    • /
    • 2012
  • Diethyl phthalate (DEP) is widely spread in the natural environment as an endocrine disruption chemicals (EDs). Therefore, in this study, ultrasound (US) and ultraviolet (UVC), including various applied power density (10-40 W/L), UV wavelengths (365 nm, 254 nm and 185 nm) and frequencies (283 kHz, 935 kHz) were applied to a DEP contaminated solution. The pseudo-first order degradation rate constants were in the order of $10^{-1}$ to $10^{-4}\;min^{-1}$ depending on the processes. Photolytic and sonophotolytic DEP degradation rate also were high at shortest UV wavelength (VUV) due to the higher energy of photons, higher molar absorption coefficient of DEP and increased hydroxyl radical generation from homolysis of water. Sonolytic DEP degrada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e of applied input power and the dominant reaction mechanism of DEP in sonolysis was estimated as hydroxyl radical reaction by the addition of t-BuOH, which is a common hydroxyl radical scavenger. Moreover, synergistic effect of were also observed for sonophotolytic degradation with various UV irradiation.

Phthalate의 피부자극시험 및 안점막자극시험에 관한 연구 (Dermal and Ocular Irritation Studies of Some Phthalates in Rabbits)

  • 이종권;김주환;이은희;김용규;홍진태;박기숙;안광수;정수연;이선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91-96
    • /
    • 2001
  • Phthalates are widely used as plasticizers to impart softness and flexibility to normally rigid polyvinylchloride products. However, there are not much studies jar dermal and ocular irritation toxicity of phthalates. So we investigated the skin or eye irritation effect of some phthalates which was not reported. The primary skin irritation of diethyl phthalate (DEP), diisodecyl phthalate (DIDP), diisononyl phthalate (DINP), dipropyl phthalate (DPP) and dipropyl phthalate (DPrP) was studied. The ocular irritation of dibutyl phthalate(DBP), DIDP, DINP, DPP and DPrP was also studied. DEP, DIDP, DINP, DPP, and DPrP were found to be non-irritating to the skin of the test animals. DBP, DIDP, DINP and DPP were found to be non-irritating to the eye of the rabbits. DPrP caused the slight irritations to the eye in 1 or 2 days after treatment but irritation of the animals was soon recovered.

  • PDF

일회용 위생장갑에서 Phthalate류 및 Di-(2-ethylhexyl) adipate 분석 (The Level of Total Phthalate Esters and Di-(2-ethylhexyl) Adipate in Disposable Sanitary Gloves)

  • 이광호;권기성;곽인신;최재천;전대훈;정동윤;최병희;김성욱;이선희;이철원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6
    • /
    • 2000
  • 일회용 위생장갑에서 diethyl phthalate (DEP), di-n-propyl phthalate (DprP), di-n-butyl phthalate (DBP), di-n-pentyl phthalate (DPP), butylbenzyl phthalate (BBP),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및 dicyclohexyl phthalate (DCHP) 등과 같은 phthalate ester 와 di-(2-ethylhexyl) adipate (DEHA) 을 분석하였다. 일회용 위생장갑은 소매점에서 구입하였으며, 사염화탄소를 추출용매로 6시간 동안 Soxhlet 장치에서 추출하였다. 8종의 제품 모두 poly-ethylene (PE) 재질이었으며, 식품위생법에 따라 box 포장에 표기 사항이 있었다. 8 종의 모든 제품에서 Phthalate ester 류 와 DEHA는 검출한계를 넘지 않았다. Phthalate esters 인 DEP, DprP, DBP, DPP, BBP, DEHP, DCHP와 DEHA의 검출한계는 각각 1.8, 1.9, 1.3, 1.1, 0.9, 0.7, 2.1 와 0.8 mg/L 이었다.

  • PDF

열유도 상분리와 연신공정을 이용한 PVDF 중공사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VDF Hollow Fiber Membrane via TIPS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and Stretching)

  • 박민수;김진호;장문석;김성수
    • 멤브레인
    • /
    • 제24권2호
    • /
    • pp.158-1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PVDF 중공사막을 열유도상분리와 연신의 복합공정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연신비에 따른 분리막의 구조 및 물성을 분석하였다. 이 분리막 제조의 메카니즘은 액-액 상분리에 기초하며, 최종 중공사막은 bicontinuous한 구조와 연신에 의해 fibrill 구조를 가지게 되어, 구정(spherulite)구조를 갖는 고-액 상분리막과 bicontinuous한 구조만을 갖는 액-액상분리막과 차별화된다. 우선, TIPS공정을 통해, gamma-butyrolacton, dimethyl phthalate (DMP), diethyl phthalate (DEP), dibutyl phthalate (DBP) 등을 단일 혹은 이들을 조합한 혼합 diluent로 사용하여, 냉각조건, PVDF와 희석제의 함량을 조절하면서 중공사막 전구체를 제조하고, 후속공정인 연신에 의해 최종적으로 중공사막의 외부표면을 porous하게, 혹은 dense하게 만들 수 있었다. 연신된 중공사막을 에탄올에 추출, 건조한 후 SEM을 통하여 pore 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수투과량, 다공도, 기공 크기, 표면 거칠기, 인장강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VC Wraps에서 지방함유 식품으로 이행되는 Phthalate esters 및 Di-(2-ethylhexyl) adipate의 동시 분석법 (A Method for Simultaneous Analysis of Phthalate Esters and Di-(2-ethylhexyl) Adipate Migrated from PVC Wraps into Fatty Food)

  • 이광호;전대훈;정동윤;최병희;김성욱;이철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44-1250
    • /
    • 2000
  • 식품에서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로 의심되는 DEP, DprP, DBP, DPP, BBP, DEHP 및 DCHP 등과 같은 phthalate esters와 DEHA를 동시 정량 분석하였다. GC/FID를 사용하여 지방 함유 식품의 일종인 짬뽕에서 가소제를 정량하기 위한 최적의 분석방법을 검토하였다. Phthalate esters인 DEP, DprP, DBP, DPP, BBP, DEHP, DCHP와 DEHA의 검출한계는 각각 3.5, 5.3, 2.2, 2.2, 7.2, 1.7, 1.9 와 3.0 mg/kg이었다. Acetone/n-hexane(1:1) 추출용매 system을 사용하여 4회 추출하고 HP-1701 column이 장착된 GC/FID를 사용했을때의 phthalate esters인 DEP, DprP, DBP, DPP, BBP, DEHP, DCHP와 DEHA의 회수율이 각각 72.7, 85.9, 91.4, 97.1, 100.8, 103.2, 104.3 및 95.8% 이었다. 3종의 업소용 PVC wrap으로 짬뽕을 각각 덮은채 30분간 shaking(120회/분)한 후 이행되는 가소제 함량을 조사하였다. 3종의 PVC wrap에서 짬뽕으로 DEHA가 각각 577, 706, 770 mg/kg 이행되어 검출되었으며 다른 phthalate esters는 검출되지 않았다.

  • PDF

Risk assessment of endocrine disruptors in cosmetics

  • Lee, Jeong-Pyo;Choi, Sang-Sook;Son, Kyung-Hun;Yang, Seong-Jun;Kim, Shin-Ok;Paek, Ock-Jin;Cho, Hyeon-Seo;Kim, Young-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403.3-404
    • /
    • 2002
  • Dimethyl phthalate(DMP). diethyl phthalate(DEP), di-n-butyl phthalate (DBP). butyl benzyl phthalate(BBP). bis(2-ethylhexyl)phthalate(DEHP) and di-n-octyl phthalate(DOP) in lotions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and benzyl benzoate was used as the intermal standard. The separation of the six phthalates and internal standard was optimized, and the optimal analytical conditions were as follows: column. DB-1701 (I.D. 0.25mm): mobile phase. helium: oven temperature 20$0^{\circ}C$ (10 min) ${\rightarrow}10^{\circ}C$/min ${\rightarrow}260^{\circ}C$/min(30min), injector temperature 23$0^{\circ}C$, detector temperature 28$0^{\circ}C$. (omitted)

  • PDF

환경대기 중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농도 측정 (I) - 측정방법 평가와 현장 적용 - (Determination of Phthalates Compounds in the Ambient Atmosphere (I) - Evaluation of a Measurement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a Field Study -)

  • 황윤정;박영화;서영교;서광교;백성옥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3-454
    • /
    • 2010
  • 프탈레이트 화합물은 PVC 수지 등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며, 내분비계장애 및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물질로서 이에 대한 독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소비자용품이나 음용수에서의 프탈레이트 화합물에 대한 측정 사례는 찾아 볼 수 있으나, 대기환경분야에서의 측정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대기 중의 프탈레이트 화합물을 측정하기 위해 고용량샘플러로 시료를 채취한 후 속슬렛 장치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일부 시료에 대하여 저용량공기채취법과 고용량공기채취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두 측정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대상 항목은 dimethyl phthalate (DMP), diethyl phthalate (DEP), di-n-butyl phthalate (DBP), butyl benzyl phthalate (BBP),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및 di-n-octyl phthalate (DOP) 등 6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입자상 시료 채취를 위해서는 석영섬유여지를 사용하였으며, 기체상 시료 채취에는 PUF/XAD-2를 사용하였다. 실험실 정도관리 평가 결과 표준시료에 대한 선형성과 재현성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정량검출한계는 항목에 따라 대기 중 농도로 환산하여 0.60~17.84 ng/$m^3$ 수준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실제 현장평가를 위해 2007년 1월과 6월에 시화 반월공단 (정왕2동, 원시동)에서 측정한 결과 비교적 분자량이 작고 끓는점이 낮은 DMP, DEP, DBP는 기체상에 많이 존재하며, DBP 보다 분자량이 크고 끓는점이 높은 DEHP와 DOP는 입자상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HP는 45.7 ng/$m^3$ ~ 1012.7 ng/$m^3$, DMP는 7.7 ng/$m^3$ ~ 375.1 ng/$m^3$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환경대기 중의 프탈레이트 화합물 측정에는 고용량시료채취법이 저용량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