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self-efficacy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5초

남성 근로자의 비만정도에 따른 건강상태와 영양상태 및 식이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 of Health Statu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Self-Efficacy to the Obesity Levels of Male Workers)

  • 장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49-85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구${\cdot}$경북지역 20, 30대 남성 근로자 224명을 대상으로 비만정도에 따른 신체적 특성, 건강상태를 조사하였다. BMI는 조사대상자 모두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정상 범위인 18.5${\sim}$23 $kg/m^{2}$에서 벗어난 과체중으로 조사되었다. BMI가 증가함에 따라 관리요망군과 질환의심군의 비율이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였고, 평균 혈압은 비만군이 정상군 및 과체중군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01)가 있었으며, 공복 시 혈당은 30대가 20대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간질환의 유무를 알 수 있는 지표인 SGOT, SGPT 및 ${\gamma}-GTP$는 BMI별로 보면 비만군은 정상군 및 과체중군보다 높아 유의적인 차이(SGOT, SGPT: p<0.001, ${\gamma}-GTP$: p<0.01)를 보였다. 건강상태에 따른 생화학적 상태를 살펴보면, 수축기혈압은 관리요망군, 질환의심군, 정상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1)를 보였으며, 확장기혈압, 총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SGOT, SGPT 및 ${\gamma}-GTP$는 정상군 및 관리요망군과 질환의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비만정도에 따른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20대에서 비타민 E가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5)가 있었으나 30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섭취부족의 비율은 칼슘 71.0%, 아연 50.9%, 비타민 $B_{2}$ 70.5%, 비타민 C 56.3%, 엽산 81.3%, 나이아신(28.1%), 비타민 $B_{1}$(34.5%), 철(18.3%), 비타민 $B_{6}$(16.5%) 등으로 영양소 섭취부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20, 30대 근로자들의 영양 섭취 상태 개선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이 자기효능감 점수는 51.5점으로 20, 30대 남성근로자의 식이 자기효능감이 대체적으로 매우 좋게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90% 이상이 식이 자기효능감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에서 식생활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식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총 인과 관계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식생활 태도, 연령 순이었다. 조사대상자인 20, 30대 남성 근로자 대부분이 과체중에 속하며, 체중이 증가할수록 BMI,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체지방율(%) 등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영양소섭취 부족비율은 칼슘 71.0%, 아연 50.9%, 비타민 $B_{12}$70.5%, 비타민 C 56.3%, 엽산 81.3% 등으로 높게 나타나 근로자들의 영양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제 2형 당뇨 환자의 식이, 신체활동, 자가간호, 자기효능감과 심혈관 합병증 위험요소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Diet, Physical Activities, Self-efficacy, and Self-care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Clients with Type II Diabetes)

  • 이해정;김명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83-29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Diabetic patients (N=160) were interviewed from November, 2003 to June, 2004. The 24 hour dietary recall,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e Diabetes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for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the Revised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Scale and Parma Cardiovascular Risk Index were used to measure the predictor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0.0. Results: Mean dietary intakes of the participants were protein(P) of 64.5g, carbohydrate(C) of 280.74g, fat(F) of 30g, and calcium of 511.45mg. The ratio of CPF was 75:17:8. About 45% of the participants didn't exercise on a regular basis. The levels of self-efficacy, self-car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the participants were moderate. Self-efficacy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long with self-care, exercising for more than 6 months, carbohydrate intakes and levels of physical activiti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programs increasing self-efficacy on diabetic management would be more beneficial than the fractional approach focusing only on diet or physical activities.

  • PDF

행동수정과 자기효능감에 근거한 비만관리프로그램의 효과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Effects of an Obesity Control Program Based on Behavior Modification and Self-efficacy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서남숙;김영희;강혜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11-62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school-based obesity control program based on behavior modification and self-efficacy for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rogram was composed of strategies to modify diet and exercise habits and to increase self-efficacy. Method: The subjects were 57 obese children (experimental group = 28, control group = 29) whose Rohler index was 150 and ov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ce a week for 12 weeks from September 16 to December 12, 2003. The data was analyzed by Fisher's exact probability, $x^2$-test, t-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Result: The Rohler index, fat mass and lean body mass of the experimental group positively changed after the intervention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ohler index only (t=2.06, p=.045). In addition, obesity stress significantly decreased (z=-2.86, p=.047) and dietary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t=2.35, p=.023)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hat a school-based obesity control program based on behavior modification and self-efficacy can be effective in decreasing obesity stress and increasing dietary self-efficacy. Parents, school nurses and the other support group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from the planning stage of the program to be effective in weight control of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lso school-based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as an essential course in the curriculum, not as an elective.

청소년의 식생활 안전관리역량과 식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의 가치 인식 및 효능감, 역량과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nd value recognition, efficacy, and competency of convergence using dietary area: a descriptive study)

  • 김윤화;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7-32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value recognition, efficacy, and competency of convergence using the dietary area (CUD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Gyeongbuk and Seoul, Gyeonggi using a self-administered five-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from May to July 2021. A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wareness of convergence, recognition of the benefits, efficacy, and competency of CUDA. Results: We conducted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25. The average scores for each factor were: dietary significance (3.68); dietary safety management knowledge (3.34); food selection and cooking (3.72); nutrition management (3.38); weight management (3.28); risk dietary management (3.13); CUDA interest (2.98); convergence necessity (3.50); benefits in specialized areas (3.31); benefits in everyday life (3.48); efficac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3.35); convergence efficacy with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arts (3.31); and CUDA competency (3.41). The score for interest in CUDA was lower than that for the recognition of CUDA benefi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ll factors except between risk dietary management and both nutrition and weight management (P < 0.01). Interest in CUDA and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onvergence exhibit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s of the perception of CUDA benefits and efficacy. The subgroup factors of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nd the recognition of CUD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DA competency (P < 0.001, R2= 0.58). Conclusions: Strengthening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nd increasing the awareness of CUDA can enhance adolescents' convergence competency. Therefore, CUDA and targeted education must be actively promoted among adolescents.

부산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체형 인식도, 식생활 태도, 식이 자기 효능감 및 영양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about Body Imag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 이정숙;윤정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95-301
    • /
    • 2003
  • 고등학생의 체형인식과 식생활태도, 영양섭취 상태 및 식이자기효능감을 조사하여 이들 간의 상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시내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5개교를 선정하여 1학년과 2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법을 이용하여 2002년 4월 8일부터 4월 22일까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부족군에서의 46.0%, 정상군에서의 53.9%, 체중과다군의 61.8%,비만군의 48.2%만이 스스로의 체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체 격 에 관계없이 체중조절에 관심을 높게 가지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가 높을수록 체중조절을 경험한 빈도가 높았고, 각 체중군별 사이에 식생활태도 점수 분포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비만도가 높을 수록 식이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비만도는 부모의 비만도와 유의적인 상관을 보였다. 부모의 학력과 자녀의식 생활태도도 양의 상관을 보였으나, 어머니의 비만도와 식생활태도는 음의 상관을 보였다. 간식비는 식생활태도와 식이자기효능감과 음의 상관을 보이고, 에너지 섭취량이 식이자기효능감과 음의 상관을 보인 반면, 식생활태도와 식이자기효능감은 양의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체형 인식 정도나 식이자기효능감이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때, 체형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전제된 균형된 식생활이 가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체적 인 영양교육과 식이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음으로 미루어 부모영양교육을 병행함으로써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되므로, 이를 감안한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계획되고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점심, 저녁 ,간식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볼 수 있고, 동ㆍ식물성 식품 섭취 및 기간별 영양소 변화 등은 각각의 영양소별로 그 섭취 상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향은 없었으며 간 사이토졸네 GST 활성도는 에탄올 급여군 중 $\beta$-carotene과 retinyl acetate 공급군이 각각의 pair-fed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간조직내 $\beta$-carotene함량은 $\beta$-carotene, 공급군에서만 검출되었고 에탄을 급여군이 pair-fed군에 비해 6배정도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혈장과 간조직 내 retinol 함량은 에탄올 급여로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비타민 A형태 중 retinyl acetate 공급군이 가장 높았다. 간조직 내 retinoic acid 함량은 에탄을 급여군 중 $\beta$-carotene과 retinyl acetate 공급군이 각각의 Pair-fed 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상기 연구 결과를 보면 에탄올 급여로 지질과 산화물 함량이 증가되고 관련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도 변화로 보아 간 손상에 지질과산화 반응이 관여된 것으로 보여 지며 에탄올의 영향에 대한 비타민 A의 효과에는 retiny1 acetate가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간조직의 급격한 손상을 효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time 활동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하고 마치도록 하겠다. 현재 디지털 방송기술, 비디오 스트리밍 기술이나 MPEG 등과 같은 기술수준으로도 충분히 이러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도 이러한 욕구를 서서히 느끼고 있다.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이 성인의 식이행동과 신체활동 및 심혈관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중재 3개월 결과를 중심으로 (Short-term Effects of a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on Eating Behaviors,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Risks in Korean Adults)

  • 박지연;김혜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49
    • /
    • 2014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for Korean adul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n their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Methods: A total of 448 adults with abdominal obesity and additional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high blood pressure, low HDL-cholesterol, high triglyceride or high blood glucos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intensive intervention group (IIG, n=216) or a minimal intervention group(MIG, n=232). Participants in the IIG received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which consisted of health counseling with nutrition assessment, health booklet and health diary, while those in MIG received minimal information. Results: The participants in the IIG significantly improved dietary habits(p<.05), retrained eating(p<.001), external eating(p<.01) behaviors,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p<.05), dietary self-efficacy(p<.01), exercise self-efficacy(p<.01) and MetS score(p<.001) after 3 month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in the IIG showed more improvement in dietary habits(p<.05) compared with those in the MIG. Conclusion: The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ome health behaviors, behavioral determinant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or a short term.

취약계층 아동 대상 식생활 교육의 효과성 평가 (Assessment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n Korea)

  • 권수연;김옥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22-52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 total of 242 children (122 education groups and 120 control groups) were run six times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rom April to December 2018, an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o evaluate effectivenes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prevalent in the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education group, the body height and weigh were 137.27 cm and 33.69 kg, respectively, and in the control group the body height and weight were 143.48 cm and 40.64 kg, respectively. The education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in dietary self-efficacy and dietary knowled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I can have meals regularly' (Education Group: 4.00 points from 3.71 points) and 'I can choose fruits instead of cookies candies as snacks (Education Group: 4.01 points from 3.70 points) The score increase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n the change of nutritional and hygiene knowledge of children, the education group scored 3.63 of 10 points before education, but the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5.70 points after education(p<0.001).

노인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 장애 인지 간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 서윤석;석윤희;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4호
    • /
    • pp.324-335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들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으로의 식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식이 자아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건강신념모델의 구성 요소 중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와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11년 3월 21일부터 3월 30일까지 대전시와 제천시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 252명 (남자 42.5%, 여자 57.5%)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은 나트륨 과다 섭취 재발방지 (특정 상황에서의 통제력),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 (음식 선택과 소금 사용), 적극적 행동 (영양표시 확인, 외식시 소금 감량 요구, 자기강화)의 3개 요인에 대해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의 2개 요인의 각 7개 문항,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는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4점 척도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 3개 요인의 평균점수의 비교를 위해 일원변량 분석 방법을,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인지의 평균점수 비교에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각 항목 간의 상관분석은 스피어만 상관계수로 구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분포에서 70세 이상 노인이 77%이었다.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가 48.4%이었고, 가족형태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경우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홀로 사는 노인은 20%이었다. 조사대상자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았고, 식행동의 장애 인지 점수는 낮았다 (p < 0.01).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홀로 사는 노인에서 자녀나 배우자와 함께 사는 노인에 비해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3개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에서는 나트륨 과다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요인 점수가 높았고, 적극적 행동요인 점수가 낮았으며, 적극적 행동요인 중에서도 식사일기 쓰기나 영양표시 읽기 항목이 가장 낮았다 (p < 0.001). 3)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그릇된 신념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장애 인지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거나, 그릇된 신념이 낮거나,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거나,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낮은 군에서 총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았다 (p < 0.001). 5)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 중에서 올바른 신념 문항 7가지는 총 식이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릇된 신념 7개 문항 중 3개 문항이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에 대한 문항 5가지는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장애 인지에 대한 문항 5개 중 3개 문항은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7) 조사대상자의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에서는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나트륨 섭취 감량 행동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나트륨 재발방지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부터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고 장애 인지가 낮을 때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노인의 일반적 특성 중 교육수준이 식이 자아 효능감,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 식행동의 장애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들도 이해하기 쉬운 내용의 건강신념이나 식행동의 이점인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경남지역 청소년의 채소 선호에 따른 식생활습관 및 영향요인 비교 (A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Vegetable Preferences of Adolescents in Gyeongnam Province)

  • 곽수향;우태정;이경애;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9-272
    • /
    • 2015
  • Objectives: A higher consumption of vegetables is emphasized as the core component of most dietary guidelines.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ietary habits and influencing factors of vegetable preferences of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400 students from two high schools in Gyeongnam (193 boys, 207 gir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following variables: dietary habit, dietary action guide and factor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SCT). Results: The dietary habits of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y prefer vegetables or not. The subjects in the group who liked vegetables had better dietary habits than the other group. Also, the study determined that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liking or disliking vegetables is due to the taste. In the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the group of subjects who liked vegetables followed dietary guidelines more closely than the other group (p < 0.001). When the factors based on SCT were analyzed, personal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utcome expectation (p < 0.001), self-efficacy (p < 0.001) and affective attitude (p < 0.001). Personal factors and rated vegetable preferenc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42.015, p < 0.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vegetable preference is associated with a key point of desirable dietary habits among subjects. In order to increase vegetable preference or consumption, it is important to focus on strengthening not only self-efficacy of students, but also affective attitude of vegetable.

강원지역 초등학생의 인식체형에 따른 영양지식, 식생활태도, 식이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among Eating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 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07-719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dietary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f the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and found out their relationshi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or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erceived body shape were gender, father's education level, the number of siblings, birth order, obesity of parents and siblings and ideal body shape. For the perceived body shape, the students answered generally normal(48.9%), slightly fat(27.9%), thin(16.5%) and very fat(6.7%). Out of total students 76.5% of them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such that satisfactory(23.5%), want to lose weight(61.4%) and want to increase weight(15.1%). The score of eat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body shape on such questions as eating speed(p<0.001), frequency of fatty food intake(p<0.001), adequate intake quantity(p<0.001), balanced diet(p<0.05), frequency of going out to eat(p<0.001). The score of diet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general habit on such questions as whether to eat slowly together with friends (p<0.001), whether to eat adequate quantity(p<0.001), whether not to have snacks after dinner(p<0.001). And in the area of food selection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uch questions as to select ice cream in stead of yoplait(p<0.001). In the area of social circumstance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uch questions as to reject the food(p<0.01) and to restrain food in birthday party or holiday(p<0.05). In the area of emotional statu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question about food restrain when boring and depressed(p<0.05 respectively).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n such questions as total score(p<0.01), five basic food group(p<0.05), snack and body weight(p<0.001), calcium function(p<0.01). It showed perceived body shape co-related with the nutrition knowledge(p<0.01). In summary, the perceived body shape for the highly eating behavior was generally normal, for the highly dietary self efficacy was slightly fat, and for the highly nutrition knowledge was also slightly f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