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induced obesity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41초

Efficacy of Hataedock Treatments for Maintenance and Formation of Lipid Barrier in Obese NC/Nga Mice with Dermatophagoides Farinae-Induced Atopic Dermatitis

  • Kim, Hee-Yeon;Ahn, Sang-Hyun;Yang, In-Jun;Cheon, Jin-Hong;Kim, Kibo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74-85
    • /
    • 2018
  • Objectives: HTD treatment is a traditional preventive therapy for neonatal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A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HTD treatments for the maintenance and formation of lipid barrier in Dermatophagoides farina-induced obese NC/Nga mice. Methods: 20 mg/kg of CRGR extracts as HTD treatments were orally administered to NC/Nga mice. To induce obesity, high fat diet was served. Dermatophagoides farina extracts was applied on the 4th-6th and 8th-10th weeks to induce AD-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Changes of skin conditions in mice were observed by histochemistry and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HTD treatments effectively maintained and formed the lipid barri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restorations of Lass2 expression and distributions of filaggrin, involucrin, loricrin, ASM, and LXR means that HTD treatments maintained and generated the lipid barrier. In the dermal papillae, HTD treatments reduced PKC production accompanied by epidermis damage. Furthermore, levels of IL-4, and STAT6 was low. HTD treatment may be effective for preventing inflammation induced by Th2-skewed condition by suppressing the main pathway of Th2 differentiation. Conclusions: HTD treatment alleviated the inflammatory damage in the skin tissues of the NC/Nga mice by maintaining the lipid barrier and suppressing Th2 differentiation.

갈근승기탕(葛根承氣湯)이 비만(肥滿) 유도(誘導) 백서(白鼠)의 혈청성분(血淸成分) 및 조직화학적(組織化學的)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Galgunseunggi-tang in Obese Rats)

  • 김은하;김연섭;허수영
    • 대한추나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29
    • /
    • 2002
  • Objectives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lgunseunggi-tang on the weight of obese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Methods : A series of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above materials weight. serum and fat cells. The have been performed on; (1) the Increasing amount of body weight; (2) the quantity of total cholesterol, tryglyceride, total lipid, free fatty acid, phospholipid, HD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in serum; (3) the average size of epididymal fat cells and the area rate of fat drops in hepatic lobule. Results :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proved that Galgunseunggi-tang suppressed the increasing amount of body weight. GS II group (supplied 60mg per 100g) showed a significant value. 2. It was proved that Galgunseunggi-tang improved th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In serum.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ce. 3. It was proved that Galgunseunggi-tang decreased the quantify of free fatty acid, phospholipid, LDL -cholesterol in serum. GS I group (supplied 30mg per 100g) showed a significant value. 4. It was proved that Galgunseunggi-tang decreased the quantity of triglyceride, total lipid in serum, and GS II group showed a significant value. 5. Galgunseunggi-tang decreased the average size of epididymal fat cells and the area rate of fat drops In hepatic lobule, and GS I group showed a significant value. Conclusions : Based on the above result, it is assumed that the clinical application of Galgunseunggi-tang can help the treatment of obesity.

  • PDF

Rosehip Extract Inhibits Lipid Accumulation in White Adipose Tissue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 Nagatomo, Akifumi;Nishida, Norihisa;Matsuura, Yoichi;Shibata, Nobuhit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85-91
    • /
    • 2013
  •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Rosa canina L. and tiliroside, the principal constituent of its seeds, exhibit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activities via enhancement of fatty acid oxidation in the liver and skeletal muscle. However, the effects of rosehip, the fruit of this plant, extract (RHE), or tiliroside on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have not been analyze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HE and tiliroside on lipid accumulation and protein expression of key transcription factors in both in vitro and in vivo models. RHE and tiliroside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3T3-L1 cells. We also analyzed the inhibitory effect of RHE on white adipose tissue (WAT)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ity mice model. Male C57BL/6J mice were fed HFD or HFD supplemented with 1% RHE (HFDRH) for 8 weeks. The HFDRH-fed group gained less body weight and had less visceral fat than the HFD-fed group. Liver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DRH-fed group and total hepatic lipid and triglyceride (TG) content was also re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was observed in epididymal fat in the HFDRH-fed group, in comparison with controls, through Western blot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wnregulation of PPAR${\gamma}$ expression is involved, at least in part, in the suppressive effect of RHE on lipid accumulation in WAT.

Intracutaneous Delivery of Gelatins Reduces Fat Accumulation in Subcutaneous Adipose Tissue

  • An, Sung-Min;Kim, Min Jae;Seong, Keum-Yong;Jeong, Jea Sic;Kang, Hyeon-Gu;Kim, So Young;Kim, Da Som;Kang, Da Hee;Yang, Seung Yun;An, Beum-S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395-402
    • /
    • 2019
  • Subcutaneous adipose tissue (SAT) accumulation is a constitutional disorder resulting from metabolic syndrome. Although surgical and non-surgical methods for reducing SAT exist, patients remain non-compliant because of potential adverse effects and cos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minimally-invasive approach to achieve SAT reduction, using a microneedle (MN) patch prepared from gelatin, which is capable of regulating fat metabolism. Four gelatin types were used: three derived from fish (SA-FG, GT-FG 220, and GT-FG 250), and one from swine (SM-PG 280). We applied gelatin-based MN patches five times over 4 weeks to rats with high-fat diet (HD)-induced obesity, and determined the resulting amount of SAT. We also investigated the histological features and determined the expression levels of fat metabolism-associated genes in SAT using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respectively. SAT decreased following treatment with all four gelatin MN patches. Smaller adipocytes were observed in the regions treated with SA-FG, GT-FG 250, and SM-PG 280 MNs, demonstrating a decline in fat accumula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fat metabolism-associated genes in the MN-treated SAT revealed that GT-FG 220 regulates fatty acid synthase (FASN) protein leve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elatin MN patches aid in decreasing the quantity of unwanted SAT by altering lipid metabolism and fat deposition.

유산균을 이용한 홍고추의 발효를 통한 항비만과 항당뇨 효과 (Effects Against Obesity and Diabete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준형;김병혁;윤여초;김중규;박예은;박혜숙;황학수;권인숙;권기석;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4-361
    • /
    • 2019
  • 고추(Capsicum annuum L.)는 한국 전통 음식의 중요한 채소 중 하나이며,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고추는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으며, 비만, 당뇨병, 고혈압, 소화 장애, 스트레스 및 노화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효 홍고추 및 발효하지 않은 홍고추의 항비만 및 당뇨병 효과를 조사하였다. 8 주 동안 45% HFD를 공급하여 비만 유도 시킨 C57BL / 6N 마우스는 HFD 사료와2.5% NRM, 1.25% FRM, 2.5% FRM을 함유한 HFD 사료를 8 주간 투여하였다. 식이섭취 시킨 후 7주 경과 후 경구당 부하검사(OGTT)를 진행하였고 8주 경과 후 체중, 간, 부고환 지방량, 혈청 인슐린 수치 및 HOMA-IR을 측정하고 지질 함량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5% FRM이 HFD와 2.5% NRM보다 체중, 조직 중량, 지질 함량, 혈청 인슐린 수치 및 HOMA-IR을 감소시켰다. 이 결과를 통해 발효 홍고추는 항비만 및 항당뇨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발효 홍고추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및 기능성 생리활성증대 소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식물성 식이조성물이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의 체중, 배변량, 체지방 및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plant Diets on Body Weight, Feces Production,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High-fat Diet-induced Hyperlipidemic Rats)

  • 김성수;성기승;이옥환;이종석;이영택;김상현;한찬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77-48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게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6주간 급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한 후, 현미, 발아현미, 보리, 맥아, 대두, 흑두 등이 혼합된 식물성 식이조성물을 각각 다른 비율로 6주간 급여하면서 체중감량, 배변량, 체지방 및 혈청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일당증체량은 식물성 식이조성물군이 HFCD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배변량은 증가하고 장 통과시간은 HFCD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내장지방 중 신장주변지방패드(RFP)와 정소상체지방패드(EPF)는 일반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HFCD 대조군에서 증가하였으며, 식물성 식이조성물군에서는 HFCD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첨가로 인하여 HFCD 대조군에서 간 무게가 증가하였고, 반면, 식물성 식이조성물군은 HFCD 대조군에 비하여 간조직의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증가된 혈청 지질 중 TC, TG,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식물성 식이조성물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 역시 감소하였다. 이상에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발아현미, 흑두, 검정깨, 다시마, 녹차 등의 식이조성물 첨가식이를 급여했을 때 체중감소, 배변량 증가, 체지방함량 저하, 혈청 중 TC, TG 감소의 유의한 감소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앞으로 이들 혼합조성물의 적절한 처방으로 다이어트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고지혈증 개선 효능이 있는 생식제품 개발시 원료의 레시피 선정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 쥐에서 quercetin의 간 AMPK 및 microRNA-21 조절을 통한 지질대사 개선 효과 (Effects of quercetin on the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through regulating hepatic AMPK and microRNA-21 in high cholesterol diet-fed mice)

  • 이막순;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36-46
    • /
    • 2022
  • Quercetin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에 대한 작용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C57BL/6J mouse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기 위해 6주간 1% 콜레스테롤과 0.5% cholic acid를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였으며, quercetin은 0.05%와 0.1%의 수준으로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추가하여 같은 기간 동안 제공하였다. Quercetin은 혈청과 간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수준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쥐의 간에서 지방 합성을 촉진하는 SREBP-1c, ACC1 및 FAS 유전자 발현이 quercetin 섭취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Quercetin은 간세포 내에서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AMPK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에 반해 암세포 증식을 촉진하고 지방간에서 높게 발현되는 miR-21 발현은 quercetin 섭취에 의해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quercetin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 쥐에서 혈청과 간의 지질 수준을 낮추는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의 일부는 간 내 지방합성 유전자 (SREBP-1c, ACC1 및 FAS) 발현, AMPK 활성 및 miR-21 조절을 통해 매개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카페인산의 효소적 산화반응으로부터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물질의 분리 (Secondary Metabolites from Enzymatic Oxidation of Caffeic Acid with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 김태훈;김명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912-1917
    • /
    • 2015
  • 천연식물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대표적인 페닐프로파노이드 화합물인 caffeic acid에 대해 배 유래의 polyphenol oxidase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IC_{50}$; $161.2{\pm}2.8{\mu}g/mL$)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caffeic acid와 비교하였을 경우 활성이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Caffeic acid 산화반응물에 대해서 $C_{18}$ 겔을 활용한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4종의 리그난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phellinsin A(2), caffeicinic acid(3), isocaffeicinic acid(4), 7,8-erythro-caffeicin(5)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중 phellinsin A(2)는 $IC_{50}$ 값이 $66.3{\pm}2.6{\mu}M$로 가장 강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caffeic acid 2분자의 산화 결합을 통해 생합성된 caffeicinic acid(3)의 $IC_{50}$ 값이 $109.6{\pm}3.7{\mu}M$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배에 존재하는 polyphenol 산화효소에 의해 생합성된 caffeic acid 이량체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활성은 caffeic acid가 결합 양상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다름이 시사되었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 결과는 보다 우수한 pancreatic lip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비만 물질의 상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 비만쥐의 지방관련 단백질의 변화 (Alteration of Lipid Metabolism Related Proteins in Liver of High-Fat Fed Obese Mice)

  • 서은희;한영;박소영;고형종;이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19-1026
    • /
    • 2010
  • 과체중과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신진 대사 질환의 발병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만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고지방식이는 비만의 원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C57BL/6 생쥐에게 22주간의 고지방 식이를 주었으며, 이를 통해 비만과 고혈당을 유도하였다. 22주 후에 고지방식이를 한 생쥐들에서 체중과 혈장 포도당 수준이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 크게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복막 내 당 부하 검사(IPGTT)에서도 고지방 식이를 한 생쥐들은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서 당 내성 이상 반응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지방식이가 C57BL/6 생쥐에서 비만 및 고혈당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고지방식이군 생쥐들에서는 정상식이군의 생쥐들에 비해 혈장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의 양이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간에서의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수준도 역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간에서의 지질대사가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알기 위해, 지질대사에 관련된 단백질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지방 합성과 관련된 효소들 중 FAS와 GPAT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의미있게 증가 되어있었으며, 지방 수송에 관련하는 단백질 중에서도 ApoB 및 MTP의 큰 증가가 고지방식이군에서 관찰되었다. 흥미롭게도, 대사 조절 인자로 알려진 AMPK의 단백질의 양과 인산화 정도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음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지방식이가 지질 합성과 지질 수송과정을 생리학적으로 증가시키지만, 역설적으로 AMPK의 활성화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에 의해 고지혈증이 유도된 흰쥐에서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항고지혈증과 항비만 효과 (Anti-hyper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of Sparassis latifolia fruiting bodies in high-fat and cholesterol-diet-induced hyperlipidemic rats)

  • 임경환;백승아;최재혁;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32
    • /
    • 2021
  • 꽃송이버섯의 자실체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비만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생후 6주령의 흰쥐에 정상 식이를 급여한 군(ND), 정상 식이에 20%의 돈지(Lard)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L), HFD 식이에 simvastatin을 0.3%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S) 등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간 체중의 증가율은 HFD+SL군과 HFD+SS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ND군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을 첨가하여 급여한 HFD+SL군의 비만이 억제되었다. ND군의 식이섭취량은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HFD+SL군과 HFD+SS군에 비해서는 고도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및 중성지방(TG)의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동맥경화지수(AI)와 LDL-C/HDL-C 비율도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급여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 간 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냈으나 혈당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HFD+SS군 모두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이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간 기능 손상의 척도를 나타내는 AST와 ALT 효소의 활성은 모든 실험군 간 유의성은 없었으나 ALP 효소의 농도는 HFD에 비해 ND군와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을 첨가한 식이의 급여가 흰쥐의 ALP 농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실험 5주와 6주 사이에 배출된 분변의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HFD+SL군이 배출한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이 HFD군과 HFD+SS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HFD식이에 함유된 일부의 지질과 콜레스테롤이 꽃송이버섯에 의해 장내로 흡수되지 않고 분변으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실험군의 간 조직을 적출하여 oil red O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HFD군에서는 심한 지방간이 관찰되었으나 HFD+SS군은 ND군과 같이 지방간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HFD+SL군의 간 조직에서는 소량의 지방 방울이 관찰되어 꽃송이버섯의 자실체에는 비알코올성지방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자실체는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체중증가, 혈청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농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에 효과가 있어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