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 education

검색결과 1,394건 처리시간 0.026초

재원환자의 질환군에 따른 가정간호 요구도 (Needs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for Hospital Patients)

  • 한성숙;김순례;이소영;권은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5-17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in relation to the patients in hospital. Method: Subjects were 129 patients who admitted hospital and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Home Health Care Need Assessment Questionnaire constructed by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8.12 program by applying percentage. Results: 1. According to the diagnosis of the subjects, the majority had cancer (25.0%), followed by musculoskeletal disease (15,6%), neuro/cerebral vascular disease (14.1%), digestive (10.9%) and respiratory disease (10.9%). 2. With regard to fundamental nursing service, subjects wanted to receive home care services for the following reasons: Problem identification and diagnosis (77.5%), vital sign check (49.6%); and intake and output measure (20.9%). 3. With regard to clinical laboratory tests, 62.8% wanted to receive blood tests, and followed by urine tests 26.4%, and wound drainage 26.4%. 4. With regard to medication and treatment service, 40.3% of the subjects wanted to receive intravenous fluid therapy, 26.4% intravenous antibiotics, and 26.4% the monitoring of fluid therapy. 5. With regard to therapeutic nursing service, 33.3% wanted to receive wound care, 26.4% ROM exercise, and 27.9% foley catheter change and care. 6. With regard to educational needs, 42.6% wanted education on infection monitoring, 41.4% on medication, and 34.9% on diet. 7. With regard to counseling needs, 65.9% wanted to receive telephone counseling about patient condition, 52.7% counseling about re-admission and 51.9% direct counseling about patient condition. In the group of injury and toxicity, and cardiovascular/circulatory diseases, 100% wanted telephone and direct counseling about the patient condition.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care services,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o the need of home health care should be analyzed and specified nursing care should be looked into.

  • PDF

위암 수술 후 환자의 정보 요구 (Informational Needs of Postoperative Gastric Cancer Patients)

  • 김애란;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3호
    • /
    • pp.117-127
    • /
    • 2009
  • 목적: 의료진은 암 환자들에게 적절한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암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과 치료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을 극복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실제 알고자 하는 정보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수술 후 환자의 정보 요구 경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 수술 후 환자로, 2008년 11월 18일 삼성서울병원 위암센터에서 주관한 '위암 환자의 날' 행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190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도구는 검사, 치료, 예후, 추후 관리, 성 생활, 위암 관련 정보 영역과 7개의 단일 문항의 총 3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정보 요구는 예후, 치료 기간 동안 스스로 할 수 있는 건강 관리 방법, 추후 관리, 위암 관련 정보, 치료, 검사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예후, 식이, 치료 중의 건강 관리와 관련한 문항에서 높은 정보 요구를 보였다. 대상자의 연령이 젊을수록 검사, 치료, 성 생활, 위암 관련 정보 영역의 정보 요구가 높았다. 결론: 기존에 축적된 병원의 치료 결과 및 예후 자료에 근거한 객관적인 예후 관련 정보를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하고 암 환자 및 보호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그리고 치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를 전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변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 김효정;박영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83-300
    • /
    • 1997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grasp health-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and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them in order to facilitate nursing intervention for health promotion of this popula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91 old persons obtained by cluster sampling from twenty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Tagu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13 to September 13, 1996.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on Sherer and others' Self-Efficacy scale, Rosenberg's Self-Esteem scale, Wallston and other's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Northern illinois University's Helath Self Rating Scale, Walker and others' Health Promotion Lifestyles Profil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ANOVA,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For the practi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 the mean score was 2.89 and range was 3.59 to 2.09. The factor of the highest mean score was regular diet(M=3.42) and factor of the lowest mean score as stress management(M=2.27). 2. The combination of self-efficac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family number, and average monthly pocket money explained 30.0% of the varia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 3.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cognitive perceptual factor, self-efficacy correlated positively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r=.4951, P=.0001), self-esteem correlated positively(r=.3263, P=.0001),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correlated positively(r=.3244, P=.0001), perceived health status correlated positively(r=.1355, P=.0274). 4. According to age(F=2.50, P=.0431), sex(t=2.14, P=.0332), marital status(F=7.85, P=.0005), education(F=5.44, P=.0003), family number(F=11.18, P=.0001), people living together(F=7.21, P=.0009), previous occupation(F=5.83, P=.0001), average monthly pocket money(F=7.27, P=.0001), there were difference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The above findings show that health-promoting behavior are relate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 cognitive perceptual factors(self-efficacy, self-esteem,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perceived health status).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 1. Nursing interventions enhancing exercise or activity, accountability for health, stress management of the elderly must be provided. 2. Nursing strategies enhancing self-efficacy which is most significant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 must be developed.

  • PDF

성인의 건강상태, 건강행위가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 홍지연;박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98-209
    • /
    • 2014
  • 당뇨병은 유병률과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질병이다. 본 연구는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당뇨병 유병률의 감소를 위한 중재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19세 이상 성인으로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5995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 모듈을 사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0.5%였고, 당뇨병 유병 오즈비는 학력에서 대졸 이상에 비해 중졸은 2.51배, 주관적 건강상태가 매우 좋은 경우에 비해 매우 나쁜 경우 4.77배, 비만인 경우 1.44배, 고혈압을 진단받은 경우 2.57배,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경우 2.63배, 체중조절을 하지 않는 경우 1.31배, 식이요법을 하는 경우 2.75배로 높았다. 본 연구는 당뇨병 유병률을 예측하는 변수로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비만 유병 여부, 고혈압 의사진단 여부, 고지혈증 의사진단 여부, 체중조절 여부, 식이요법 여부를 밝힘으로써 당뇨병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와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운동강도가 rat의 MDA 농도와 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MDA Concentration and SOD Activity in Rats)

  • 고기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476-1482
    • /
    • 2010
  • 본 연구는 생후 6주령의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25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5그룹(통제군, 수영군 4그룹)으로 분류하여 4주간의 1% 콜레스테롤 식이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후, 6주간의 수영을 운동강도(무부하, 저부하, 중부하, 고부하)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지질과산화 생성반응과 간조직의 항산화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MDA 생성 반응에서는 통제군에 비해 수영그룹 모두가 유의하게(p<0.001) 낮게 나타났고, 수영그룹 간의 비교에서는 중부하수영군이 나머지 3그룹에 비해 유의하게(p<0.001) 낮게 나타났다. 또한, SOD 활성도에서는 통제군에 비해 수영그룹 모두가 유의하게(p<0.01) 높게 나타났으며, 수영그룹간 비교에서는 저부하수영군에 비해 무부하, 중부하, 고부하수영군이 유의하게(p<0.01)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규칙적인 수영은 운동강도에 따라 고지혈증 상태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MDA 생성 반응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고, SOD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대표적인 항산화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중학생의 트랜스지방 인지도 및 섭취 실태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Recognition and Intake of Trans Fat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Ulsan Area)

  • 정은영;박순병;서옥진;송재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9-415
    • /
    • 2009
  • 본 연구는 울산지역 일부 중학교 학생의 트랜스지방의 인지도 및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트랜스지방의 인지도와 식행동의 관계, 그리고 간식 선호도와의 관계 및 그 영향을 파악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식행동에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트랜스지방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영양 표시에서 트랜스지방을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트랜스지방 섭취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학교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할수록 먹지 않거나 줄이려고 노력한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간식 선호도가 트랜스지방 인지 정도 및 섭취 행동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어 학생들의 간식 섭취에 대한 올바른 지도와 식습관 형성에 학교와 가정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트랜스지방의 섭취에 대한 올바른 식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가정과 학교에서 트랜스지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학교급식에서는 영양적이며 균형된 식사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기호도가 충분히 반영되도록 노력하여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기여하도록 노력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아파트 경비원의 건강상태와 관련요인 (Health of Apartment Guards and Associated Factors)

  • 김상규;사공준;정종학;김치호;배상근;장윤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57-363
    • /
    • 1999
  • 아파트 경비원들의 교대근무, 좁은 공간에서의 근무 등에 기인하는 여러 증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182명의 아파트 경비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갈다. 1) 조사된 아파트 경비원 중 97명(53.3%)에서 소화기장애 증상을 보였으며, 평균 1개의 소화기장애 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2) 연구대상자의 83.5%에서 한 가지 이상의 신체화 증상을 보였으며, 평균 3.1개의 신체화 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3) 연구대상자의 79.7%에서 한 가지 이상의 우울증상을 보였으며, 평균 3.7개의 우울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4) 연령 및 배우자 유무에 따라서는 소화기 장애점수, 신체화 장애점수, 우울점수 모두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에 따라서는 소화기 장애점수는 차이가 있었다. 5) 건강관련 행태 중 음주 및 흡연여부, 운동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규칙적 식사유무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소화기 장애접수, 신체화 장애점수, 우울점수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업무와 관련된 특성 중 교대주기, 종사기간, 관리가구 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업무만족도에 따라 신체화 장애점수, 우울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추후 추적조사 및 심층면담을 통한 조사를 통하여 건강근로자효과(healthy worker effect)에 의한 영향 및 다른 교대업무와의 차이점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 PDF

전라도 장수지역에 거주하는 여자노인의 동거유형에 따른 생화학적 지표 및 영양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ood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Elderly Women Dwelling in Longevity Region in Jeonla Province according to Family Arrangement)

  • 오세인;곽충실;연미영;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40-95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nutrient intake, health statu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females aged 65 years and over in a longevity area according to family arrangement. For analysis, 585 female elderly were recruited from the Kugoksoondam area (Kurye, Goksung, Soonchang and Damyang counties), known as the longevity-belt region in Jeonla province, Korea.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family arrangement (living alone, living with spouse only and living with fami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as well as information on physical measurements, blood tests for biochemical indicators,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dietary behavior, favorite food groups, consumption frequency of food groups, nutrient intake and mini nutrition assessment. In the group living with their spouse only, the highest education, physical activity, diverse food intake, frequency of eating meats and fish, energy and nutrients intake, and score on the mininutrient status assessment (MNA)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favorable factor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group living with their spouse only had relatively superior nutrient intake and the quality of diet. In contrast, the group living alone showed the lowest self-rated economic status, diversity of food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drinking, smoking and regular exercise for almost everyday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those living with family demonstrated the lowest intake of supplements or functional foods, and levels of hemoglobin hematocrit MCH, but the highest HBA1c and blood sugar. Therefore, the group living with family was assumed to be at risk of anemia and diabet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to plan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the health-life expectancy of Korean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according to family arrangement.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부화 및 자어성장 (Spawning, Hatching and Larval Growth of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

  • 김숙리;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9-247
    • /
    • 2007
  • 관상가치와 교재생물로서 교육적인 이용도가 높은 흰동가리속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인공종묘생산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험실적인 규모에서 친어를 사육하여 산란과 부화를 조사하였다. 한마리의 암컷이 2004년 4월 19일 부터 2007년 4월 16일 까지 총 48번의 산란을 하였으며, 산란 직후의 수정란의 장경은 $2.6{\sim}2.15\;mm$ (평균$2.32{\pm}0.11\;mm$, n=50), 단경은 $0.94{\sim}0.96\;mm$ ($0.94{\pm}0.001\;mm$, n=50)로 타원형이다. 수정란은 유백색으로 유구를 많이 가진 상태로 난막에 쌓여 배체의 동물극 쪽이 부착사에 의해 산란기질에 부착되어 있었다. 산란상에 대한 선택성은 red clay pot > ceramic pot > volcanic scoria > live rock으로 나타났으며, 부화율은 red clay pot에서 66%로 live rock 3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먹이종류에 대한 산란량은 Tetra bits+바지락육질+진주담치육질+astaxanthin을 혼합하여 먹인 실험구에서 $638{\pm}16.04$개로 Tetra bits만 공급한 구간 $477{\pm}28.96$ 개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부화를 위한 배발생의 최적 환경요인은 수온 $28^{\circ}C$, 염분 33 psu, 광주기 6L:18D로 나타났다. 갓 부화한 자어의 전장은 $3.7{\sim}4.8\;mm$ (평균 $4.6{\pm}0.14\;mm$, n=50)로 7일째 까지는 $7.5{\pm}0.60\;mm$, 14일까지는 $11.0{\pm}0.77\;mm$, 20일에는 $12.4{\pm}0.85\;mm$, 30일에는 $18.8{\pm}0.82\;mm$, 70일에는 $37.9{\pm}2.26\;mm$로 성장하였다.

행동교정요법이 비만아동의 신체지수, 습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ehavior Modification on Physical Variables, Habit and Self-esteem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효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3호
    • /
    • pp.308-321
    • /
    • 2001
  • Behavior modification is an approach to decrease degree of obesity through changing maladaptive eating habit and life style. It produces small amount of weight loss but it has few side effects and low dropout rate. It also has great effectiveness on maintenance of decreased weigh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behavior modification on physical variables, fat and thin habit, and self-esteem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ixty two students of 4th, 5th, and 6th grade were selec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suburbs of Seoul. Thirty four children in one school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eight children in another school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All subjects were healthy and were not on any type of obesity control. Behavior modification,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introduction, self-monitoring and stimuli control, education about diet and physical activities, individual counseling and reinforcement, requesting personal assistance, cognitive restructuring, and closing and long-term planning. Experimental group was received 60~70 minutes of behavior modification once a week for 8 weeks from October 16 to December 22, 2000. Control group was not received any 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fat and thin habit, and self-esteem. Physical variables consisted of obesity index, skinfold thickness, body fat(percentage of body fat, fat mass, fat free mass), serum lipids(total cholesterol, HDL-C, LDL-C, triglyceride) and serum lept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physical variables 1) Obesity index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behavior modific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2) The increase of skinfold thickness was significantly low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Percentage of body fat and fat ma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Fat free ma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4) Total cholesterol, HDL-C, triglyceride and serum lepti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LDL-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2. Thin habit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subcategories of habit, thin scores of life style, attitude, social relationship, nutrition were signifi- 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3. Self-esteem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ehavior modification is effective in decreasing percentage of body fat and fat mass, in less increasing skinfold thickness and in increasing fat free mass, thin habit, and self-esteem. In conclusion, behavior modification can be used as safe and effective strategy for managing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