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lectrometry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유전기법을 이용한 복합재료의 경화 모니터링 (Cure Monitoring of Composite Materials Using Dielectrometry)

  • 권재욱;김진국;김학성;이대길;최진경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2-45
    • /
    • 2000
  • The properties of thermosetting resins are dependent on the degree of cure and consolidation quality. Since the consolidation process of thermosetting resin matrix fiber composites is much dependent on the viscosity of resin in the composites, in this study, the dissipation factor which is a function of viscosity was measured by the newly developed Lacomtech dielectrometry apparatus and sensors. Using the measured dissipation fa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sipation factor and degree of cure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 PDF

유전기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기지재의 경화 모니터링 (Cure monitoring of a composite matrix by dielectrometry)

  • 여권주;이상관;엄문광;황병선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0-113
    • /
    • 2001
  • Dielectrometry has been used to monitor the cure of epoxy resin using composite matrix. In this investigation, physical properties of the mixture of epoxy resin(LY564), bisphenol A type, and cycloaliphatic hardener(HY 2954) were observed. Activation energy at maximum tan $\delta$ and gelation point was determined during isothermal scanning. From IonViscosity data, it was found that vitrification peak after gelation was appeared on slow heating rate. It was also measured that the duration time for full cure was necessary and it was about 24 hr at $145^{\circ}C$. Therefore, epoxy resin used in this research is required the extended time for full cure.

  • PDF

신소재 복합재료를 이용한 비굴착 지하매설관 보수-보강공법 (Trenchless Repairing-Reinforcing Process of Underground Pipes with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 진우석;권재욱;이대길;유애권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3-48
    • /
    • 2001
  •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excavation technology, various trenchless (or excavation free, or no-dig) repair-reinforcement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tried. But trenchless technologies so fat developed have some brawbacks such as high cost and inconvenience of operation. In this study, a repairing-reinforcing process for underground pipes with glass fiber fabric polymer composites using VARTM(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has been developed. The developed process requires shorter operation time and lower cost with smaller and simpler operating equipments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trenchless technologies. For the reliable operation of the developed method, a simple method to apply pressure and vacuum to the reinforcement was devised and flexible mold technology was tried. Also, resin filling and cure status during RTM process were monitored with a commercial dielectrometry cure monitoring system, LACOMCURE. From the investig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veloped repairing-reinforcing technology with appropriate process variables and on-line cure monitoring has many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methods.

  • PDF

RIM 시작공정을 위한 경화 모니터링 (Cure Monitoring for Prototyping of Reaction Injection Molding)

  • 권재욱;이대길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36
    • /
    • 2001
  • Recently, reaction injection molding has been used broadly for rapid prototyping, because of its convenience and versatility. Since the properties of molded products are dependent on the process variables and the production is very short(less than 2minutes), the control of process variables is important. Generally, the two significant process variables are degree of cure and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In this paper,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ure and the temperature of reactants was investigated to find the optimal curing condition of reaction injection molding for rapid prototyping. The degree of cure during reaction injection molding was measured by the Lacomtech sensor and dielectrometry equipment employing Wheatstone bridge type circuit.

  • PDF

유전 센서 및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EMC 유효 경화 수축 측정 (Measurement of effective cure shrinkage of EMC using dielectric sensor and FBG sensor)

  • 백정현;박동운;김학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3-87
    • /
    • 2022
  • 최근 반도체 패키지 두께가 점점 얇아짐에 따라 휨(warpage)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휨(warpage)은 패키지 구성요소들 간의 물성 차이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휨(warpage)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된 구성요소인 EMC(Epoxy molding compound)의 정확한 물성 파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EMC는 경화 공정 중 경화 수축을 보이는데, 겔점 이후에 발생하는 유효 경화 수축은 휨(warpage) 발생의 핵심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 센서를 이용해 측정한 소실 계수로부터 실제 반도체 패키지 경화 공정 동안 발생하는 EMC의 겔점이 정의되었다. 유전 센서로부터 얻은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험과 rheometer 시험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유전 측정법이 EMC 경화상태 모니터링에 효과적인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유전 측정과 동시에 광섬유 센서를 이용해 EMC의 경화 공정 중 변형률 변화 추이가 함께 측정되었다. 위 결과들로부터 경화 공정 중 발생하는 EMC의 유효 경화 수축이 측정되었다.

열경화성 수지 복합재료의 유전 정화 모니터링 (Dielectric Cure Monitoring of Thermosetting Matrix Composites)

  • 김형근;이대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09-417
    • /
    • 2003
  • 열경화성 수지 복합재료의 제조과정에서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에 필수적인 경화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였다 경화도를 분석하기 위해, 동일한 경화조건에서 유전기법에 의한 소산계수 측정결과와 시차 주사 열분석 방법에 의한 발열량 계측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계측 감도의 향상을 위해 센서부분과 계측선의 영향을 적절히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유리섬유/폴리에스터 복합재료와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료에 대하여 경화과정에서의 경화도 분석을 위한 새로운 경화 모니터링 방법으로 소산계수와 온도를 동시에 고려하였다. 이 때, 소산계수의 변화 경향은 수지 점도의 변화 양상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개발된 경화 모니터링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열경화성 복합재료 경화 모니터링에 사용될 수 있다.

유전기법을 이용한 접착 조인트의 실시간 경화 모니터링 (On-line Cure Monitoring of Adhesive Joints by Dielectrometry)

  • 권재욱;진우석;이대길
    • Composites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51-58
    • /
    • 2003
  • 접착 조인트의 안전성은 사용되는 열경화성 접착제의 경화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접착 조인트의 경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면 조인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인트의 경화 중 접학제의 소산계수를 측정하여 이를 접착제의 경화도로 환산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접착제의 소산계수와 경화도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온도와 경화도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는 소산계수로부터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였다. 연구결과 접착제의 소산계수는 그 경화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유전기법을 이용한 속경화 수지 RTM 공정의 경화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ure Monitoring of Fast Cure Resin RTM Process Using Dielectrometry)

  • 박슬기;김철환;최진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202-208
    • /
    • 2017
  • RTM은 작은 크기에서 큰 크기의 복합재료를 생산할 수 있는 대량 생산 공정이다. 최근 경화 시간이 약 10분 이내인 속경화 수지가 자동차 및 항공우주 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수지의 점도는 경화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금형 내부로 충진되는 과정에서 급격히 점도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속경화 수지의 유동 특성과 경화도를 해석적으로 예측하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므로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복합재료의 경화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DMA, 유전기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채널 경화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속경화 수지의 유동과 경화도를 측정하였다. 총 8채널의 유전센서가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압력 조건에 따른 금형 내부의 유동과 경화도를 측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유리섬유/폴리에스터 복합재료를 위한 유전 경화 모니터링 (Dielectric Cure Monitoring for Glass/Polyester Prepreg Composites)

  • 김형근;김진국;이대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797-803
    • /
    • 2001
  • The on-line cure monitoring of fiber reinforced thermosetting resin matrix composite material was performed for the better quality and productivity during manufacturing. Since the dissipation factor measured by dielectrometry method is dependent on the degree of cure and temperature of resin, in this study, a new method to obtain the degree of cure during on-line cure monitoring for glass/polyester composites was developed by employing a combinatio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and the dissipation factor. Two sensor signals from a K-type thermocouple and an interdigitated dielectric sensor were processed during curing process under various cure cycles. The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ata was also used for the reference of degree of cure.

  • PDF

복합재료 경화모니터링용 유전센서의 해석 (Analysis of the Dielectric Sensor for Cure Monitoring of Composite Materials)

  • 김진수;이대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7호
    • /
    • pp.1563-1572
    • /
    • 1995
  • The on-line cure monitoring during the cure process of fiber reinforced resin matrix composite material is important for the better quality and productivity. Among several cure monitoring methods, the dielectrometry that uses electrodes as its sensor is known to be the most promising method. In this study, the sensitivity of the dielectric sensor for the on-line cure monitoring was analyzed by finite element method and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e analytical results, the equation for the capacitance of the sensor was derived. Also, the optimal sensor design method was suggested after analyzing several different sensor sha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