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dymella sp.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Didymella gigantis sp. nov. Causing Leaf Spot in Korean Angelica

  • Gyo-Bin Lee;Ki Deok Kim;Weon-Dae Cho;Wan-Gyu Kim
    • Mycobiology
    • /
    • 제51권6호
    • /
    • pp.393-400
    • /
    • 2023
  • During a disease survey in October 2019, leaf spot symptoms with a yellow halo were observed on Korean angelica (Anglica gigas) plants grown in fields in Pyeongchang, Gangwon Province, Korea. Incidence of diseased leaves of the plants in the investigated fields ranged from 10% to 60%.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wo single-spore isolates from the leaf lesions indicated that they belonged to the genus Didymell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using combined sequences of LSU, ITS, TUB2, and RPB2 regions showed distinct clustering of the isolates from other Didymella species. In addition,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closely related Didymella spp. Therefore, the novelty of the isolates was proved based on the investigations. Pathogenicity of the novel Didymella species isolates was confirmed on leaves of Korean angelica plants via artificial inoculation. This study reveals that Didymella gigantis sp. nov. causes leaf spot in Korean angelica.

Didymella acutilobae sp. nov. Causing Leaf Spot and Stem Rot in Angelica acutiloba

  • Gyo-Bin Lee;Ki Deok Kim;Weon-Dae Cho;Wan-Gyu Kim
    • Mycobiology
    • /
    • 제51권5호
    • /
    • pp.313-319
    • /
    • 2023
  • During disease surveys of Angelica acutiloba plants in Korea, leaf spot symptoms were observed in a field in Andong in July 2019, and stem rot symptoms in vinyl greenhouses in Yangpyeong in April 2020. Incidence of leaf spot and stem rot of the plants ranged from 10 to 20% and 5 to 30%, respectively.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ungal isolates from the leaf spot and stem rot symptoms fitted into those of the genus Phom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two single-spore isolates from the symptoms using concatenated sequences of LSU, ITS, TUB2, and RPB2 genes authenticated an independent cluster from other Didymella (anamorph: Phoma) species. Moreover, the isolates showed different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to closely related Didymella species. These discoveries confirmed the novelty of the isolates. Pathogenicity of the novel Didymella species isolates was substantiated on leaves and stems of A. acutiloba through artificial inoculation.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Didymella acutilobae sp. nov. causes leaf spot and stem rot in Angelica acutiloba.

덩굴마름병원균인 Didymella bryoniae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Optimal Culture Conditions of Brevibacillus sp. KMU-391 against Black Root Pathogens Caused by Didymella bryoniae)

  • 박성민;정혁준;김현수;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5-141
    • /
    • 2006
  • 덩굴마름병균인 Didymella bryoniae KACC 40669에 대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Brevibacillus sp. KMU-391은 Russia의 Sanktpeterburg 지역의 토양 시료로부터 분리하였다. Brevibacillus sp. KMU-391이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은 D. bryoniae의 생육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었으며 TSB를 기본배지로 하여 탄소원으로 1.0% sucrose와 1.0%의 polypeptone을 첨가한 후 pH를 7.0으로 조정하여 $30^{\circ}C$에서 180 rpm으로 2일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양액에 $30{\sim}60%$의 ammonium sulfate를 처리하여 Brevibacillus sp. KMU-391이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을 회수한 후 D. bryoniae를 액체배양을 통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41%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butanol을 이용하여 항잔균 물질을 회수한 후, 다양한 작물병원성 곰팡이를 대상으로 항진균 활성 spectrum을 조사한 결과 조사, 장미 잿빛곰팡이병, 잠두 붉은점무늬병, 고추 탄저병, 참외 탄저병, 수박 등의 박과작물의 덩굴마름병, 보리 질병, 토마토 시들음병, 글라디올러스 마른썩음병, 토마토 질병, 수박 덩굴쪼김병, 수박 질병, 사과나무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참외 줄기썩음병, 그리고 고추균핵병에 대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revibacillus sp. KMU-391을 이용하여 작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생물농약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Didymella sp.에 의한 고사리 신규 마름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a Bracken Blight Disease Caused by Didymella sp.)

  • 이정은;김기범;박주은;김다운;신유경;윤성환;정영륜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43-148
    • /
    • 2019
  • 최근 4년간 경남 남해군 창선면 일대 고사리 재배 포장에서 마름병 증상을 보이는 새로운 병해가 발생하였고 이 병해로 인하여 해당 지역 고사리 생산량이 해마다 크게 감소하고 있다. 2018년 5월, 7월, 10월에 이병 시료를 채취하여 그로부터 총 92개의 곰팡이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를 건전한 고사리 잎에 접종하여 총 22개 곰팡이 균주가 포장에서 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병징을 일으킴이 확인되었다. 이 중 병원성이 가장 높은 2균주를 선발하여 ribosomal RNA, RNA polymerase ${\beta}$-subunit, ${\beta}$-tubulin 유전자 부위, internal transcribed region을 증폭하였다. 해당 증폭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 작성을 통해 병원균 균주는 Didymella속의 clade에 속하며, 기존 균주 중 D. rumicicola 또는 D. acetosellae와 비슷하나 기존 종 수준의 subclade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고사리 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결과는 Didymella sp.에 의한 고사리 마름병 발생 첫 보고이다.

Streptomyces sp. 유래 Polyene 계 항만고병 항생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Polyene Antifungal Antibiotics Against Gummy Stem Light Caused by Didymella bryoniae)

  • 김광석;서영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8-242
    • /
    • 2004
  • D. bryoniae를 원인균으로 하는 참외 만고병에 대해서 항만고병 활성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방선균으로부터 선별 분리한 후 배양액으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의 규명을 시도하였다. 항진균 물질과 같은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에 증가시키는 $K_2$$HPO_4$와 칼슘이온이 포함된 GSS배지에서 방선균 SKM338 균주를 180 rpm, $30^{\circ}C$, 5일 동안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항진균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 정제한 결과 참외의 만고병에 대한 생물농약으로 개발 가능한 방선균 유래의 항진균성 물질은 NMR, IR, UV 및 Mass spectral data 분석 등을 통해 polyene macrolide계에 속하는 항생물질인 Flavofungin, Fungichromin, Filipins로 밝혀졌으며 이들의 응용을 기대해 본다.

Leaf Spot of Rhubarb Caused by Didymella rhei in Korea

  • Lee, Gyo-Bin;Mo, Young-Moon;Cho, Weon-Dae;Kim, Wan-Gyu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55-560
    • /
    • 2021
  • During disease surveys conducted from 2019 to 2021 in Korea, leaf spot symptoms in rhubarb (Rheum rhabarbarum) plant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plants growing in fields located in Cheolwon, Taebaek, and Inje in Gangwon Province. The incidence of diseased leaves of the plants in the fields ranged from 2% to 80%. Nine single-spore isolates of Phoma sp. were obtained from lesions of the diseased leaves; all of them were identified as Didymella rhei based on their cultur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hree isolates of D. rhei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on rhubarb leaves using artificial inoculation. All the tested isolates caused leaf spot symptoms in the inoculated plants; the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plants from the fields investigat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D. rhei causing leaf spot in rhubarb in Korea.

First Report of Leaf Spot in Fischer's Ragwort Caused by Didymella ligulariae

  • Gyo-Bin Lee;Hong-Sik Shim;Weon-Dae Cho;Wan-Gyu Kim
    • 식물병연구
    • /
    • 제29권1호
    • /
    • pp.60-63
    • /
    • 2023
  • During disease surveys from 2019 to 2021, the authors frequently encountered leaf spot symptoms on Fischer's ragwort plants growing at fields at six locations of Gangwon Province, Korea. The symptoms displayed brown to dark brown, circular or irregular spots on the plant leaves. The disease surveys at the six locations revealed 1-90% of diseased leaves of the plants. Phoma sp. was dominantly isolated from the diseased leaf lesions. Seven single-spore isolates of the fungus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as Didymella ligulariae by investigation of their cultur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Artificial inoculation test to Fischer's ragwort leaves was conducted with three isolates of D. ligulariae. The inoculation test revealed that the tested isolates cause leaf spot symptoms in the plants similar to the natural ones. The fungal pathogen has never been reported to cause leaf spot in Fischer's ragwort. Leaf spot of Fischer's ragwort caused by D. ligulariae is first reported in this study.

Molecula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wo Novel Species Collected from Soil in Korea

  • Das, Kallol;Lee, Seung-Yeol;Jung, Hee-Young
    • Mycobiology
    • /
    • 제48권1호
    • /
    • pp.9-19
    • /
    • 2020
  • Two fungal species of ascomycetes were discovered during the screening of soil microflora from the Gangwon Province in Korea: Didymella chlamydospora sp. nov. (YW23-14) and Microdochium salmonicolor sp. nov. (NC14-294). Morphologically, YW23-14 produces smaller chlamydospores (8.0-17.0 × 7.0-15.0 ㎛) than D. glomerata and D. musae. The strain NC14-294 was characterized by smaller conidiogenous cells (4.9-8.8 × 2.0-3.2 ㎛) compared with the closest strains M. fisheri and M. phragmitis. The detailed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discussions regarding the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al analyses of the closely related species are provided to support the novelty of each species. Thus, YW23-14 and NC14-294 are described here as newly discovered species.

수박 만할병균에 길항하는 Bacillus sp. YJ-3에 의한 대목용 참박 생육촉진효과 (Plant Growth-Promoting Effects of Antagonistic Bacillus sp. YJ-3 against Fusarium Wilt of Watermelon-Rootstock Gourd)

  • 김진호;최용화;주길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2
    • /
    • 2001
  • 여러 작물 재배지 토양에서 각종 근권미생물을 분리하여 이들 분리미생물 중 수박 만할병균인 Fusarium oxysporum f. sp. niveum(KCCM34741)에 길항하는 미생물인 YJ-19, YJ-45, YJ-3 등 12 균주를 분리하였다. 길항미생물들은 MS agar 배지 실험 및 미생물제제 첨가 상토 실험에서 모두 참박의 발아율을 향상시켰으며, 이들 중 분리주 YJ-3 균주는 참박의 발아율과 초기생육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미생물로 선별되었다. YJ-3 균주를 제제화하여 참박 재배 기간별로 식물체 생육실험을 행한 결과 대조구인 일반 상토 및 시판 미생물혼합 상토 보다 각각 46%와 13%정도 생육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주 YJ-3 균주는 간균의 gram 양성균으로서 Bacillus sp.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p. YJ-3은 수박 만할병균인 F. oxysporum f. sp. niveum에 대해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그외 수박 병원균인 Alternaria cucumerina,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orbiculare, Didymella bryoniae, Rhazoctonia solani 등에서도 우수한 길항력을 나타내어 본 Bacillus sp. YJ-3 균주는 수박 만할병균에 길항하는 동시에 참박의 생육을 촉진하는 미생물로 확인되었다.

  • PDF

토양살균에 의한 멜론 연작재배지 뿌리썩음병 방제 (Control of Soilborne Fungal Diseases on Muskmelon by Soil Disinfestation in Consecutively Cultivated Fields)

  • 이중섭;최장전;최진호;허윤찬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30-35
    • /
    • 2009
  • 청양지역을 비롯한 멜론 연작재배지에서 매년 피해를 나타내고 있는 시들음 증상 발생주의 뿌리로부터 뿌리씩 음병 원균 Monosporascus cannonballus(28.4%), Fusarium spp.(27.4%), Didymella bryoniae(24.2%), Phytophthora spp.(20.0%) 등을 각각 분리하였다. 멜론 연작재배 토양내 뿌리썩음병 방제를 위해 고온수 관주 및 훈증제 3종 살균처리하고 방제효율을 검정하였다. 고온수($92{\sim}98^{\circ}C$) 토양관주 살균처리는 $'05{\sim}'06$년 정식전 4시간(관주량: $52{\sim}55$ tons/10a) 관주하였다. 그 결과 발병율이 0.01$\sim$0.08%로 무처리의 발병량(6.6$\sim$81.4%)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이는 토양훈증 살균제 3종의 방제효과(54.8$\sim$79.7%) 보다 20.2$\sim$45.1% 높았다. 또한, 고온수 관주처리 토양에서의 역병(Fire blight), 시들음병 (Fusarium wilt)의 발병율도 극히 낮았다 한편, 2005-2006년 고온수 관주처리구의 수량은 39톤/ha으로 무처리구(13.6톤/ha)에 비해 매우 높아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Dazomet, methyl bromide등 훈증제 처리는 약제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으나 수량은 무처리 보다 39$\sim$47% 높았다. 결과적으로 고온수($92{\sim}98^{\circ}C$)를 이용한 연작재배지 토양 살균은 토양병해에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약제에 의한 훈증살균보다 효과적이라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