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chloroisocyanurate (NaDCC)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신고배 개화기 NaDCC 처리에 의한 검은별무늬병의 방제 (Control Effect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for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on Niitaka Pear during Flowering Period)

  • 남기웅;한미경;윤덕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47-357
    • /
    • 2014
  • 본 연구는 배 개화기에 염소계 살균제인 NaDCC(sodium dichloroisocyanurate)의 사용에 따른 배검은별무늬병의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건전한 배나무에 배검은 별무늬병원균인 Venturia nashicola의 분생포자를 접종하고 NaDCC를 농도별로 살포한 결과, 무처리에서 51.6% 발생한 반면에 NaDCC 처리시 750mg/L에서는 23.8%, 1,000mg/L에서는 26.2%로 발병억제 효과가 있었다. 원황 등 6개 품종을 대상으로 만개기에 NaDCC를 살포하여도 배꽃의 화분발아에는 피해가 없었다. 신고 배 포장에서 개화초기와 만개기로 구분하여 NaDCC를 살포한 결과 개화초기에 NaDCC를 단독 살포 처리시 98% 이상의 높은 수정율을 나타내어 가장 효과적인 살포시기로 판단되었다. 또한 신고 배 재배포장에서 NaDCC를 배검은별무늬병 방제 적기에 4회를 살포한 결과 NaDCC 750mg/L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발병과율은 0%이었다.

딸기 주요 병원균에 대한 친환경제제 NaDCC의 항균활성 및 병 방제효과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Disease Control Efficacy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Against Major Strawberry Diseases)

  • 김다란;강근혜;조현지;윤혜숙;곽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2015
  • 딸기에는 여러 가지 병이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며 많은 양의 농약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유기농산물과 식품안전성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화학농약 대체제에 의한 병해 방제법 개발이 다각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 소독제로 사용하고 있는 NaDCC의 딸기 주요 병원균(딸기 시들음병, 딸기 탄저병, 딸기 역병 그리고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에 대한 항균활성 및 방제효과를 검증하고, 친환경제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NaDCC는 150~300 ppm 농도로 처리했을 때 병원진균의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포자 발아율도 68% 이상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aDCC는 딸기 세균성모무늬 병원균에 대하여서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포장조건에서 딸기 세균성 모무늬병의 발생을 50%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NADCC는 딸기 병 방제용 방제제 후보물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NaDCC (sodium dichloroisocyanurate) 성분 가습기살균제 유사제품의 특성과 의료기관에서의 사용 사례 (Characteristics of Humidifier Disinfectant-like Products Containing NaDCC (sodium dichloroisocyanurate) and Their Use in Hospitals)

  • 조은경;한경희;주민재;양원호;최윤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95-503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humidifier disinfectant-like products (HD-like products) and humidifier disinfectant products (HD products) and introduce actual cases of the usage of HD-like products in hospitals based on an on-site investigation. Methods: The characteristics, chemical components, and usage of HD-like products (Hichlor or Biospot) and HD products (N-with) containing NaDCC (sodium dichloroisocyanurate) were compar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 on-site investigation, four hospitals were identified as previously using HD-like products. Each on-site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use of HD-like products was composed of four parts: 1) hospital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2) manual for humidifiers in patient's rooms, 3) interviews with nursing staff, infection managers, and purchase managers, 4) searching on the product purchase system. Results: Although HD-like products (Hichlor and Biospot) and HD products (N-with) were sold for different usage purposes, they were all white-colored and coin-shaped foaming tablets with the same chemical component, NaDCC. The manual for using HD-like products and HD products was similar (inserting the tablet in a humidifier container with water). Among the four hospitals, one had used Hichlor in the same manner as HD (N-with) by inserting a tablet in 1L of water in a filled humidifier container and Biospot as a kind of detergent for humidifier container cleaning. Another two hospitals had used Biospot and/or Aniosyme as a kind of detergent for humidifier container cleaning. The other hospital had used unknown product in the same manner as N-with, so we thus assumed it was either an HD products (N-with) or HD-like products (Hichlor, Biospot). Conclusion: This study raises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adverse health effects similar to exposure to an HD-products when exposed to an HD-like products and the possibility of further use in other medical institutions or multi-use facilities. Therefore, an expansion of the investigation is needed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re have been similar cases in the past.

절화 백합 잎마름병 방제 및 품질 보존을 위한 감마선 150 Gy와 Sodium Dichloroisocyanurate 병용처리 (Combined Treatment with Gamma Irradiation and Sodium Dichloroisocyanurate to Control Leaf Blight and to Preserve Cut Lilies)

  • 구태훈;홍성준;윤성철
    • 식물병연구
    • /
    • 제22권2호
    • /
    • pp.94-99
    • /
    • 2016
  • 절화 백합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수준의 감마선을 이용한 검역 현장적용을 위해 수출용 오리엔탈 계통 백합 품종 중 흰색인 시베리아와 분홍색인 소르본느 절화 백합에 150 Gy 감마선 조사(irradiation)를 실시하였다. 감마선 150 Gy와 다양한 수준(0, 40, 100, $200{\mu}g/l$)의 NaDCC를 병용처리하여 두 품종의 절화 백합의 잎마름병 방제를 평가한 결과, 꽃잎의 발병률(incidence)은 대조구 93%-95%에 비해 150 Gy 감마선과 $100{\mu}g/l$ 이상 농도의 NaDCC 병용처리한 발병률은 76%-8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꽃잎의 발병도(severity)에서는 감마선 병용처리에 따른 발병 억제 효과는 없었다. 150 Gy 감마선 처리는 만개기간을 연장시키는 저장성 개선의 효과를 얻지는 못했지만, 엽록소를 파괴하거나 생중량을 감소시키는 절화 백합의 품질저하도 없었다. 또한 분홍색의 소르본느 꽃잎의 탈색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수출용 절화 백합의 잎마름병 방제를 위해 150 Gy의 감마선과 NaDCC $100{\mu}g/l$의 병용처리 방안을 수출검역 SOP에 제안한다.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제재의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E. faecalis에 대한 항균성 평가 (Evaluation of time-dependent antimicrobial effect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on Enterococcus faecalis in the root canal)

  • 김혜정;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7
  •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NaDCC)은 염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과 비교 시 동일한 농도의 용액에서 같은 염소 이온을 가지고 있으며 비슷한 정도의 항균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항균성을 평가하고 이를 현재 근관세척제로 사용되고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클로르헥시딘 (CHX)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의 최소증식억제 농도 (MIC)를 실험한 결과 NaOCl과 NaDCC에서는 0.125%를 보였고 CHX에서는 0.063%로 나타났다. 근관 내 사용에 대한 실험은 최근에 발거된 128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으며 치경부와 치근단 부위를 절단하여 10 mm 길이를 가지는 시편을 만들었다. 시편의 내경은 #3 Gates-Glidden drill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하였다. 각각의 치아 시편의 근관 내에 E. faecalis를 접종하고 3일간 배양한 후 40개씩 3개의 군으로 분류하고 대조군으로 8개의 시편을 이용하였다. 실험군 1, 2, 3은 각각 NaDCC, NaOCl, CHX으로 근관세척하였고 대조군은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하였다. 각 군은 다시 12시간, 24시간, 72시간, 7일의 시간에 따라 4개의 하위 군으로 분류하였다.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멸균된 paper point를 이용하여 근관 내용물을 채취하고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그 후 #4, 5GG drill을 이용하여 근관 내면을 삭제하고 이 때 생겨나는 상아질을 멸균된 증류수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었다. 이것을 희석하여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bacterial CFU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bacterial CFU가 관찰되지 않았고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 모두 비슷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한 대조군에서는 모두 bacterial CFU가 존재하였다. NaDCC를 근관세척제로 사용할 경우 1주 이내의 시간 동안에는 적절한 항균효과를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용해도를 비롯한 치근단 조직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등의 평가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및 화학 대체제 융복합 처리가 백합 잎마름병균 및 잎 절편 감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Its Convergent Treatments on Lily Leaf Blight Pathogen, Botrytis elliptica, and the Disease Development)

  • 김지훈;윤성철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71-78
    • /
    • 2014
  • 감마선과 융복합 처리를 위한 은나노 입자(NA, NSS), 이염화이소시안산나트륨(NaDCC) 등의 화학대체제를 이용하여 백합잎마름병의 원인균인 Botrytis elliptica의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 억제와 동시에 백합 잎 절편에서 발병 과정 중 방제를 연구하였다. 발병과정에서 감마선 융복합 처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은 곰팡이 침입을 인위적으로 도와주는 상처접종과 병원균 스스로 침입을 하는 분무접종 두 가지를 실시하였다. 병원균 곰팡이 포자 발아를 90%까지 억제시킬 수 있는 감마선 선량인 $D_{10}$은 526 Gy였다. 2000 Gy까지 감마선 선량을 병원균 균사에 조사한 후, 16, 19, 22, 25, $28^{\circ}C$에서 배양한 결과 곰팡이 균사는 가장 높았던 2000 Gy에서도 죽지 않고 생장이 약 1-2일 지연되었을 뿐이었다. 백합 잎마름병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1-2 kGy의 감마선 처리는 절화백합에서 부작용이 보일만큼 너무 높기 때문에 감마선은 200 Gy로 조사하고 다른 화학대체제들과의 융복합 처리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다양한 화학대체제들의 융복합 처리 농도를 $40{\mu}g/l$로 맞춘 이유는 화학제만으로 병원균을 완전히 죽이지 않으면서 감마선의 살균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었다. 병원균 포자 발아 융복합 실험에서 $40{\mu}g/l$의 NaDCC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포자발아를 1000배 이하로 줄일 수 있었다. 감마선만 처리한 실험에서 방제가는 상처접종에서 23%, 분무접종에서 19.5%로 기대만큼 높지 않았다. 상처접종에서 감마선 처리하지 않은 NaDCC 단독처리의 방제가는 89%였던 반면, NaDCC와 200 Gy 융복합 처리는 32%에 불과하였다. 자연상태에 더 가까운 분무접종 실험에서 NaDCC 단독처리의 방제가는 50%, NaDCC와 200 Gy의 감마선 융복합 처리 방제가는 24%였다.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NaDCC) 주입 선박평형수 처리기술의 해양생태위해성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rine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Ballast Water Management Technology Using the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Injection Method)

  • 김태원;문창호;박미옥;전미해;손민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3-214
    • /
    • 2018
  •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NaDCC) 주입 선박평형수처리설비(BWM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에 의해 처리된 배출수 내에는 브롬 및 염소계열의 활성물질과 소독부산물질(DBPs, disinfection by-products)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NaDCC로 처리된 선박평형수가 해양환경에 미치는 생태위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태독성시험(WET test, whole effluent toxicity test)과 생태위해성평가(ERA, ecological risk assessment)를 수행하였다. 배출수독성 시험종은 규조류(Skeletonema costatum, Navicula pelliculosa), 녹조류(Dunaliella tertiolecta,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로티퍼(Brachionus plicatilis, Brachionus calyciflorus) 및 어류(Cyprinodon variegatus, Pimephales promelas)로 8개의 해양 및 담수종을 이용하였다. 생태독성시험결과, 규조류 및 녹조류를 이용한 성장저해시험에서만 명확한 독성영향이 나타났으며 해수의 시험 조건에서 무영향농도(NOEC,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최저영향농도(LOEC, lowest observable effect concentration) 및 반수영향농도(EC50, effect concentration of 50 %)는 각각 25.0 %, 50.0 % 및 > 100.0 %로 가장 민감한 영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로티퍼 및 어류를 이용한 독성시험의 경우 모든 염분 구간에서 독성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배출수에 대한 화학물질분석결과, bromate, isocyanuric acid, formaldehyde, chloropicrin과 trihalomethanes (THMs), halogenated acetonitriles (HANs), halogenated acetic acid (HAAs) 등 총 25개의 소독부산물질들이 검출되었다. ERA결과, 25개의 소독부산물질들 중, 지속성(P), 생물축척성(B) 및 생물독성(T)의 특성을 모두 보이는 물질은 없었다. 예측환경농도(PEC,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 예측무영향농도(PNEC,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비율은 일반적인 항구 환경에서는 모든 물질이 1.0을 초과하지 않았지만 선박 최 인접지역의 경우 Isocyanuric acid, Tribromomethane, Chloropicrin 및 Monochloroacetic acid가 1.0을 초과하여 위해성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배출수를 이용한 생태독성시험결과의 NOEC (25.0 %)를 적용한 결과 NaDCC로 처리된 선박평형수가 해양에 배출되었을 때 선박 최 인접지역을 포함한 일반적인 항구 환경에 수용 불가한 생태위해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Botrytis cinerea Causing Gray Mold and Cut Chrysanthemum Flowers

  • Chu, Eun-Hee;Shin, Eun-Jung;Park, Hae-Jun;Jeong, Rae-Dong
    • 식물병연구
    • /
    • 제21권3호
    • /
    • pp.193-200
    • /
    • 2015
  •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stharvest fungal pathogens of cut flowers. Here, gamma irradiation, an alternative for phytosanitary purposes, and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were used to control B. cinerea in a cut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cultivar, 'Baekma', one of the cultivars susceptible to B. cinerea. Spore germination and mycelium growth of B. cinerea were inhibited by gamma irradiation in an inversely dose-dependent manner. A dose of 4 kGy completely inhibited the mycelium growth of B. cinerea. A significant change in flower quality (physical properties) on chrysanthemum was shown from gamma irradiation at over 0.2 kGy (p<0.05).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tegration of gamma ray (below 0.2 kGy) and NaDCC, an eco-friendly form of chlorine, was investigated to control the disease with low dose of gamma irradiation dose. Interestingly, the gamma irradiated flowers showed more disease severity than the non-irradiated flowers. The combined treatment of gamma irradiation and NaDCC does not affect the severity of the fungal disease, whereas only 70 ppm of NaDCC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ly reduced seve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ly chlorination treatment can be applied to control B. cinerea in cut chrysanthemum flowers.

생물 반응 시스템을 활용한 세균 포자 제독 시험 (Decontamination of Bacterial Spores Using a Bio-reaction System)

  • 서영환;박한울;이홍석;김성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49-656
    • /
    • 2024
  • This report describes the test results of decontamination of Bacillus atrophaeus spores. The spore solution at 109 cfu/mL concentration was treated with chemical decontaminants, hydrogen peroxide, DF-200, sodium dichloroisocyanurate(NaDCC), and perasasfe. DF-200 was not suitable for decontamination of the spore solution. Among them, the optimal decontamination reaction conditions of perasafe and NaDCC were established from test tube experiments in a mL-scale, and they were validated in a bio-reaction system in a L-scale. The optimal conditions of perasafe and NaDCC were 1.0 % of concentration with 5 minutes of reaction time and 0.3 % of concentration with 10 minutes of reaction time, respectively. Also, both decontaminants required adequate agitation for decontamination. The results in the bio-reaction system were similar with the results from the smaller scale using test tubes, showing that the optimal conditions from the smaller scale experiments can be applied to the larger scale.

Controlling Botrytis elliptica Leaf Blight on Hybrid Lil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nvergent Chemical X-ray Irradiation

  • Hong, Sung-Jun;Koo, Tae-Hoon;Yun, Sung-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77-84
    • /
    • 2016
  • X-ray irradiation with convergent chemicals such as nano-silver particles or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has been used to control leaf blight on cut lilies. The oriental hybrid lily cultivars Siberia, Le Reve, and Sorbonne were irradiated five times by 200 Gy of X-rays in 2014. In 2015, Siberia and Sorbonne were irradiated three times by 150 Gy of X-rays. After artificial infection with Botrytis elliptica on the leaves and petals of cut lilies, this study used convergent chemical X-ray irradiation of 200 Gy or 150 Gy. Leaf and petal blight was measured in terms of incidence and severity at 8 days after infection using total 552 cuttings. Results indicate that the treatments of X-ray irradiation and NaDCC in 2014 and 2015 slightly decreased the severity of petal blight on Siberia and Sorbonne. However, the results were not significant and severity did not decrease as NaDCC concentration increased. Vase-life was observed separately after X-ray irradiation of 270 cut lilies in 2014 and 108 cut lilies in 2015. Chlorophyll content was not affected by either 200 Gy or 150 Gy of X-rays. The number of days of fully opened flowers at Siberia of 150 Gy and Le Revu of 200 Gy increased by 1-2 days. In addition, the relative fresh weights of the X-rayed flowers were 10% drier than the non-irradiated controls. Overall, leaf blight control by X-ray was inferior to the control by gamma rays, and petal color was bleached in Sorbonne and Le Reve cvs. by 150 Gy of X-r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