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llel analysi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8초

이면교배에 의한 흑자색미 안토시아닌 함량의 유전분석 (Diallel Analysis for Cyanidin-3-glucoside Content in Pigmented Rice)

  • 권순욱;한상준;김홍열;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58-64
    • /
    • 2008
  • Cyanidin-3-glucoside(C3G) 고함유 흑자색미 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흑진주, 수원425호, 상해향혈나, 용금1호, C3GHi 품종 및 계통들 간에 완전이면교배에서 얻은 20개 조합 $F_1$의 현미 천립중과 C3G함량에 대한 diallel analysis 및 조합 능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배모본의 현미 천립중은 16.6 g(흑진주) - 30.4 g(상해향혈나)이고, 현미 100 g당 C3G 함량은 C3GHi가 흑진주의 5배 정도 높은 1043.5 mg으로 나타났다. 2. 완전이면교배 결과 현미 천립중과 C3G 함량은 비대립 유전자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유전자의 상가적 및 우성적 유전효과만 인정되었다. 3. 현미 천립중과 C3G 함량의 유전 양식은 두 형질 모두 상가적 및 우성효과에 의한 부분우성을 보였으며, 평균 우성정도는 각각 0.80 및 0.69였고, 교배모본에서 정의대립 유전자 비율이 높았으며, 우성친의 빈도가 높고, 후대에서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4. 두형질의 상가적 유전효과에 의한 협의의 유전력은 각 각 0.66, 0.70이고, 광의의 유전력은 각각 0.98, 0.98로 높게 나타났다. 5. 현미 천립중에 대한 일반조합능력 효과는 상해향혈나가 가장 높았고, 흑진주가 가장 낮았으며, 흑진주/수원425 호, 수원425호/C3GHi 조합의 특정조합능력 효과가 가장 높았다. 6. C3G함량에 대한 일반조합능력 효과는 C3GHi가 가장 높았고, 상해향혈나가 가장 낮았으며, 흑진주/C3GHi 조합에서 특정조합능력 효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누에 이면교잡에 의한 견층 연감율 Sericin량 Fibroin량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Boiling-off Ratio of Amount of Sericin and Fibroin of Cocoon Layer and from Diallel Crosses of Silkworm, Bombyx mori)

  • 정원복;장권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38
    • /
    • 1987
  • 누에 이면교잡에 의해 F1세대의 견층 연감율, sericin량 및 fibroin량을 유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r-Wr graph에서 자웅간의 견층 연감율은 모두 초우성이고, 자웅간의 sericin량과 fibroin량은 모두 불완전 우성이었다. 2. 각 형질에 대한 분산성분의 추정에서 자웅간의 sericin 량과 fibroin량 및 자의 연감율에서는 유전자의 상가적효과가 우성효과보다 큰 경향이었고, 웅의 연감율에서만 반응이 양상이었다. 3. 우성의 방향에 있어서는 자웅간의 sericin량과 fibroin량에서 모두 높은 방향으로, 자웅간의 연감율에서는 낮은 쪽이 우성이었다. 4. 조합능력은 3개 형질의 자웅 모두 유의적으로 작용하였고, 특정조합능력보다 일반조합능력이 크게 평가되었다.

  • PDF

Genetic Analysis of Apoplastic Proteins in Barley Crosses

  • Chun, Jong-Un;Choi, Kap-Seong;Griffith, Marilyn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147-154
    • /
    • 2004
  • Antifreeze proteins (AFPs) accumulate in the leaves of barley during cold acclimation, where they may inhibit ice recrystallization and produce freezing resistance of the plant. Four parental diallel crosses of the barley varieti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heritability of AFP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mulation level of AFPs and freezing resistance. The concentration of apoplastic proteins in the cold-acclimated leaves was increased in the mean by four-fold over as compared with that of nonacclimated. The diallel cross analyses revealed that the gene of Sacheon 6 was dominant and those of Reno and Dongbori 1 were recessive. The AFPs had high narrow-sense heritabilities. The general combining ability effects of Reno and Dongbori 1 were much higher than the other parents. The bands of 32-kD for GLP, 35-& 28-kD for CLP and 25-, 22- & 16-kD for TLP were observed in the apoplastic extracts from cold-acclimated plants, but there were no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parents and Fl hybrids. The concentrations of AF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freezing resistance, indicating that the concentration of AFPs in the plant is the very important factor for freezing resistance.

  • PDF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Ovary and Heterosis of Egg Number Traits in a Chicken Diallel Cross

  • Wang, Hui;Sun, Dong-Xiao;Yu, Ying;Wang, Dong;Zhang, Yu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6호
    • /
    • pp.767-771
    • /
    • 2005
  •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lecular basis of chicken heterosis in reproduction traits, mRNA differential display (DDRT-PCR)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of ovary tissue between hybrids and their parental lines in a 4${\times}$4 diallel cross, involving 4 chicken breeds, which were White Plymouth Rock (E), CAU Brown (D), Silkies (C) and White Leghorn (A). Total of 331 differential displayed cDNA bands from 1,161 were displayed in the 4${\times}$4 diallel cross combinations with 30 pairs of primers, which shows the differences of gene expression between hybrids and their parental lines were very obvious in quantity and quality. Seven types of differential expression patterns were found: Co-dominance expressed pattern (T1), under-expression of parental fragments in hybrids (T2), over-expression of parental fragments in hybrids (T3), hybrid-absence expressed pattern (T4), single parentspecific expressed pattern (T5), dominant expression fragments of single parent in hybrids (T6), hybrid-specific expressed pattern (T7).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attern of T3 and the heterosis percentage of egg number of 32-week and 42-week old chickens(p<0.01), while there were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attern of T7 and the heterosis percentage of egg number of 32-week and 42 week-old birds (p<0.01).

견생산력이 다른 계통간의 Diallel Cross에 의한 누에 양적 형질의 유전분석 (The Genetic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in the Silkworm by Diallel Cross of Four Inbred Lines Differing in Silk Yield)

  • 손기욱;유강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14
    • /
    • 1987
  • 견생산능력이 다른 누에 계통간의 diallel cross에 의해 누에 양적 형질에 대한 유전분석을 통하여 누에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4개 원종 중 KA와 S1은 잠124와 M242에 비해 견층중(12cg 이상), 견사장(200m 이상) 및 생사량비율(약 4%) 등이 훨씬 낮아서 다사량계와 소사량계로 구분되었다. 2. 다사량과 소사량계간의 정역교잡간에 차이가 있어서 모체효과 또는 세포질효과가 인정되는 형질은 단견중, 견층중, 견사장 및 견사량이었으며, 다사량계통을 모체로 한 교잡종이 그 역교에 비해 각각 평균 11cg, 2cg, 137m 및 1.95cg 많았다. 3. 일반조합능력은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고 한성무늬 중국종계인 M242는 수견량, 견중, 견사장, 견사량 및 생사량비율 등 대부분의 주요 양적 형질에서 일반조합능력이 높은 우수품종이었다. 4. Heterosis 효과는 생사량과 수견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품림새와 생사량비율은 낮았으며 견중, 견사장 등의 양적 형질은 중간 정도였다. 5. 유전력이 높고 불완전우성을 나타내는 유충기간, 견층중, 견사장 및 생사량비율 등은 견중과 수견량 등의 양적 형질은 heterosis 효과가 높은 교배조합의 선택으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둘 이상의 형질을 개량할 때에는 이들간의 유전상관을 바탕으로 육종계획을 세우고 견층중을 대상으로 한 선발은 다사량계통의 육성에 효과적이며 유전력과 우성효과가 낮아서 개량이 어려운 실품림새는 견사질과 역상관이므로 선발시 이 형질의 변화에 유의하여야 한다.

  • PDF

이면교잡에 의한 대맥품종의 출수기 유전에 관한 연구 (8-Parents Diallel Cross Analysis on Heading Date of Barley)

  • 정태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1-79
    • /
    • 1977
  • 대맥품종들의 일장에 따른 출수반응과 출수기에 대한 유전을 구명코져 1974연부터 1975연까지 조숙품종으로 올보리, Haganemugi, CI 6332, 중숙품종으로 수원 18호, 부여, 만숙품종으로 수원004, 수원 16005, Samheung을 상호교배하여 만든 Diallelcross F$_1$을 호남작물시험장온실에 파종, 24시간, 16시간 12시간 및 8시간 일장을 각각 처리실험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aganemugi, CI 6332는 출수기에 관여하는 순수조만성이 짧은 품종이었고 수원004는 순수조만성이 긴 품종이었다. 2. 품종의 출수기 변이폭은 12시간 일장에서 가장 컸으며 Haganemugi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일장반응이 둔감하였다. 3. 대맥의 순수조만성은 부분우성인 대립유전자에 지배되고 조숙이 우성(CI6332), 또는 열성(Haganemugi)으로 작용하였다. 4. 일장반응에 대한 db전은 비감광성이 감광성에 대하여 단순열성으로 나타났고, Haganemugi가 비감광성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유전자는 12시간 일장근처에서 다른 품종의 일장감응성과 구별되었다. 5. 대맥품종에 있어서 일장감응성은 각 품종별로 특별한 Turning point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누에의 숙잠체중과 산란성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for Weight of Matured Silkworm and Number of Eggs Laid in Hybrid Population of the Silkwom, Bombyx mori)

  • 정원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0-104
    • /
    • 1993
  • 누에 7개 품종을 이면교배하여 F1세대의 숙잠체종과 F2 세대의 산란수에 대한 유전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산분석의 결과에서 유전적 효과인 상가적 효과, 우성 효과, 모체 효과 및 정역간의 효과는 숙잠체종과 산란수에서 모두 유의하였다. 숙잠체중과 산란수는 우성 효과가 상가적 효과보다 컸고, 광의의 유전력은 숙잠체중과 산란수에서 각각 0.986, 0.936으로 높았다. 협의의 유전력은 숙잠체중이 0.773으로 높았으나 산란수는 0.228로 낮았다. vr-Wr graph에서 숙잠체중은 불완전 우성이고, 산란수는 초우성의 유전현상을 보였다. 일반 조합능력의 효과에서 숙잠체중은 잠 107과 잠 124의 품종이, 산란수는 S1이 각각 그 효과가 정으로 컸다. 특정조합의 효과에서 숙잠체중은 S1XC51조합, S1X잠 124 조함, 잠 107X잠 108 조합이 각각 정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산란수는 잠107XN63 조합, S1XC51 조합, N74X잠 108 조합, 잠 107X잠 108 조합이 각각 정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 PDF

옥수수 이면교잡에 의한 등숙기간의 유전 분석 (Inheritance of Grain Filling Duration in Corn)

  • 차선우;박상일;정승근;박승의;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26-631
    • /
    • 1997
  • 옥수수의 숙기가 서로다른 8개의 자식계통과 이들간의 이면교배에 의하여 생산된 28개 $F_1$을 공시하여 등숙기간의 유전분석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기등숙기간에서는 상가적 효과가 큰 부분우성으로 추정되었으며 유효등숙기간은 비대립 유전자의 상호작용이 없는 초우성으로 추정되었다. 2. 총등숙기간과 흑색층 출현일수는 상가적 효과가 비상가적 효과보다 큰 부분우성으로 추정되었다. 3. 유전자 분포상태는 유효등숙기간과 총등숙기간에서 양친들 중 FR25는 열성유전자의 관여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YUBC208은 열성유전자로서의 관여도가 크게 작용하였다. 4. 유효등숙기간과 총등숙기간에 관여하는 유효 유전자수는 최소한 5개 정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