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lectical Relationship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7초

수학적 은유의 사회 문화적 분석 (Analysis of Mathematical Metaphor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 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9-256
    • /
    • 2001
  • The notion of metaphor has been increasingly popular in research of mathematics education. In particular, metaphor becomes a useful unit for analysis to provide a profound insight into mathematical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In this context, this paper takes metaphor as an analytic uni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in mathematical reasoning. Specifically, the discourse analysis focuses on the code switching between literal language and metaphor in mathematical discourse. It is shown that the linguistic code switching is parallel with the switching between two different kinds of mathematical knowledge, that is, factual knowledge and mathematical imagination, which constitute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in mathematical reasoning. Furthermore, the pattern of the linguistic code switching reveal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oles of mathematical reason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this paper provides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the code-switching highlights diverse aspects of mathematics learning. Learning mathematics is concerned with developing not only technicality but also mathematical creativity. Second,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suggests that teaching and teaming mathematics is socioculturally constructed. Indeed, it is shown that not all metaphors are mathematically appropriated. They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cultural model of a mathematical concept under discussion. In general, this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mathematical metaphor highlights the sociocultural organization of teaching and loaming mathematics and provides a theoretical viewpoint to understand epistemological divers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

  • PDF

역사적 선례의 창조적 이용 -르 꼬르뷔제의 경우- (A Creative Dialogue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 In Case of Le Corbusier -)

  • 강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2호
    • /
    • pp.73-84
    • /
    • 2001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new paradigm of a period can be constructed b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precedents or the dialectical mediation between the old and new. We can tell this process the creative dialogue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The continuity and rupture, the renovation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 can be understand by this interpretive insight that opens the new horizon in architecture. In oder to prove this preconception this paper analyses the ideas and design principles of Le Corbusier. By showing how his main ideas and principles are formulated we can understand his unique position as a modernist and characteristics of his architecture. It is also the another purpose of this paper. This paper first looks into various aspects of his architecture and his personal background, then Investigates his unique approach to historical precedents. By the imaginative eye and comparison with inspiration he connected contemporary situation to the tradition and was able to deduce a new paradigm in architecture. His way of making relationship with the past was a priori, dialectical, and fundamentalistic. He always searched for universal norm, eternal rules, and timeless principles which are also modern and new. This both side shows well his characteristics and his architecture. Eventually he could invent a Modern language of architecture by the several ways of dialogue between the modem and the classical, new technology and old convention. We can say that his way of dialogue is a kind of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precedents which enables open the future of architecture.

  • PDF

미디어와 불평등의 변증법 (The Dialectical Inquiry Media and Inequality)

  • 김승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0권
    • /
    • pp.7-39
    • /
    • 2016
  • 자본주의 생산방식은 상품경제, 이윤 극대화, 독점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재벌과 같은 괴물을 낳고 그 반대편에는 중소자본, 영세사업자가 대립하는 양극화 사회를 만든다. 이 때문에 불평등은 통제 불능상태에 빠진다. 그런데도 정부나 국회는 불평등 문제를 그다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누군가 불평등을 정당화함으로써 시민들의 비판과 저항을 차단하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필자는 불평등과 미디어의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필자는 경제적 국가적 이념적 불평등이 사회 성격을 좌우하며, 이것들이 미디어 불평등의 근원임을 설명하였다. 미디어 정치경제학을 분석 도구로 삼아 자본주의 불평등은 미디어와 정보의 불평등을 초래하며, 미디어는 불평등을 재생산함으로써 자본주의를 정당화한다.

  • PDF

컴퓨터 수학교육론의 인식론적, 심리학적 기초 (Epistemoligical and psychological foundation for computer mathematics education)

  • 류희찬;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621-634
    • /
    • 1998
  • Emthusiasm about the introduction of computers into mathematics education is widespred. But, the perspectiv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education and computer are dive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oretical background for using computer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spite of the pedagogical possibilities of computers. only a small minority of mathematics teachers are using computers in mathematics classroom. It is natural to seek this obstacles withi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who manage computers,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problems in the two sides. First, due to increased computer activity, relationship of mathematics in school with mathematics in society is changing. It is tension between academic mathematics and practica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have to be changed toward stressing practical mathematics. Second problem i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While maintaining a respect for the individuality of student contributions. We take into account the social dimension of mathematical meaning-making. We discussed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work collaborative learning. We propose the case study for the roles of computer in collaborative mathematics learning.

  • PDF

프랭크 무리스의 콜라주 애니메이션 <프랭크 필름>(1973)에 나타난 내적 표현 : 발터 벤야민의 변증법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The Internal Representations of (1973) as seen through Walter Benjamin's Dialectical Images)

  • 김영옥;문재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8호
    • /
    • pp.53-70
    • /
    • 2015
  • 19세기와 20세기에 걸친 산업화된 사회에서 이미지들은 욕망의 집적물로서 또는 자아실현의 한 방편으로서 끊임없이 과잉 생산되고 소비되며 그 패턴을 반복해 나갔다. 미국의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 프랭크 무리스 Frank Mouris 는 그의 작품 <프랭크 필름 Frank Film>(1973)에서 20세기 중반 미국의 소비사회를 지내온 그의 자전적 이야기들을 산업화된 이미지의 무한한 중첩, 병렬, 교차 등을 통해 끊임없이 강렬한 시각적 흐름으로 담아낸다. 전통 애니메이션의 내러티브와 관습적 형식을 철저히 파괴한 이 작품은 1974년 아카데미 시상식과 앙시 애니메이션페스티벌에서 대상을 거머쥐며 혁신적 아트 애니메이션으로서 평가 받았고, 그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미국의회도서관에 미국국가영상으로 보존된 바 있다. 본 연구는 프랭크 무리스가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를 표현하기 위해 수집한 오십만 개의 이미지들과 그 구성이 비단 연대기적인 시간적 흐름 속에서 일률적으로 구성된 것이 아닌, 발터 벤야민이 정의하는 파편적이고 불연속적인 '변증법적 이미지'의 개념을 통해 그 해석의 지평을 넓혀볼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작가의 내적 재현으로서의 <프랭크 필름>을 탐색한다. 통상적으로 변증법이란 모순 또는 대립을 근본원리로 결국 모순들의 화해를 추구하지만, 벤야민의 변증법적 이미지는 오히려 각각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도 또 다른 것이 될 수 있는 새로운 관계들을 그려낸다. 또한 이러한 과거의 이미지들이 더 이상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그 고유성을 유지하며 그것을 바라보는 현재와 만났을 때 이것이 비로소 벤야민이 주장하는 '변증법적 이미지'가 된다. 과거와 현재를 연속적 관점이 아닌 각각 독립적인 가치를 지닌 시간으로 이해했던 벤야민의 관점에서 새로운 관계적 가치들을 담아내는 시공간으로서의 <프랭크 필름>은 꼴라주를 활용한 애니메이션의 실험적 미학을 제시하는 동시에 동시대 문화와 사회상을 담아내며 깊이 있는 분석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또한 자전적 애니메이션의 관습적 표현을 탈피한 자유로운 미적 표현과 벤야민의 개념을 통한 이론적 연구는 실험애니메이션 연구의 새로운 관점을 확보, 확장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종교영화에 나타난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 - 영화 <데칼로그 8편 : 어느 과거에 관한 이야기 Dekalog : Eight> 중 자유의지와 책임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중심으로 (Research on Free Will in Religious Film - Focusing on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free will and responsibility in Film Dekalog: Eight)

  • 스공 천앙
    • 트랜스-
    • /
    • 제4권
    • /
    • pp.65-86
    • /
    • 2018
  • 본 논문은 종교 철학적인 영화의 세계관 속에 깃들어 있는 생명에 대한 각종 의제(議題) 중 자유의지와 책임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핵심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자유와 책임, 존재와 허무 등 종교철학에서 말하는 신앙위기(信仰危機)에 관한 갈등 문제가 종교영화 속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현대 서양 철학 중 실존주의에 관한 장 폴 사르트르의 '자유의지의 존재로 인한 주체성 이념'과 비교되는, 계몽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선의지에 기원한 도덕적인 자율성'에 대한 이론 및 니시타니 게이지의 생명 본질에 대한 '자각성'개념을 토대로 영화를 분석한다. 또한 그중에 지닌 개인의 관점과 더불어 자연의 관점에서 자유의지관한 문제는 중국 도가(道家) 철학자 장자(莊子)의 '무위자연(無為自然)'에 대한 사상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보완한다. 폴란드 영화 <데칼로그 8편 : 어느 과거에 관한 이야기>를 사례로 하여 논문의 중심 논제(論題)인 자유의지와 책임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진정한 자유의지는 양심의 추구를 바탕으로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 PDF

숭고의 개념에 기초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학적 해석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Post-industrial Parks with a Perspective of the Sublime)

  • 이명준;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8-89
    • /
    • 2012
  • 이 연구는 숭고의 개념에 기초하여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적 특질을 해석하고자 한다. 먼저 조경사적 맥락에서 숭고의 미학적 역할을 밝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논점들을 바탕으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적 특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조경사에서 숭고의 미학은 관례에 대항하는 미학적 범주로 작동하여 미적 향유의 대상을 확장해 왔으며, 동시에 황야나 오염된 부지의 공포심을 순치시켜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조경 본연의 역할과 연관되어 면면히 존재해 왔다.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에서 숭고의 계기는 노화된 산업 구조물과 야생의 식물상의 관계로부터 발견된다. 유기된 산업 구조물을 뚫고 피어나는 녹색 식물은 독특한 감각적, 시간적, 감동적 체험을 누리게 한다. 첫째, 산업 구조물의 감각과 식물의 감각은 변증법적 충돌을 일으켜 독특한 감각적 체험의 장을 조직한다. 둘째, 산업 구조물과 식물이 맺는 관계는 시간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방문객들에게 불확실한 시간성을 체험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은 오염으로 얼룩진 부지가 끊임없이 본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자연의 치유력을 형상화하여 방문객들에게 숭고한 감동을 준다.

Jeff Wall's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the Other

  • Kang, EuiHuack
    • 미국학
    • /
    • 제42권2호
    • /
    • pp.79-107
    • /
    • 2019
  • This article explores the photographic work of North American artist Jeff Wall. While his photographic work has been much discussed in terms of aesthetics and composition highlighting his methodological appropriation of modernist painters such as Eduard Manet and Piet Mondrian, the political aspect of his work remains to be investigated. This article especially unpacks the complicated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l aesthetics and the political nature of his works by visiting his photographic work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debates on the contradiction and conflicts between aesthetics and politics in photographic form. Ultimately, this article argues that Wall's photograph acquires its political meaning by problematizing the reified social representation of the other in a way in which the materiality and/or otherness of the photographic object is registered within the photographic frame and by representing the violence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and the un-representability of the object/other.

Approaches in Southeast Asian Studies: Developing Post-colonial Theories in Area Studies

  • Pamungkas, Cahyo
    • 수완나부미
    • /
    • 제7권1호
    • /
    • pp.59-76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in Southeast Asian studies using a post-colonial framework in the study of post-colonial Southeast Asia. This framework is based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that analyze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ideology, and discourse. Post-colonial studies is critical of the concept of universality in science and posits that a scientific statement of a society cannot stand alone, but is made by authors themselves who produce, use, and claim the so-called scientific statement. Several concepts in post-colonial theories can be used to develop area studies, i.e. colonial discourse, subaltern, mimicry, and hybridity. Therefore, this study also explores these concepts to develo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n culture. The development of post-colonial theories can be used to respond to the hegemony of social theories from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e main contribution of area studies in the field of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s in revealing the hidden interests behind the universal social sciences.

  • PDF

카를로 몰리노의 공간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 주요 작품의 개념적 전제와 계획적 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of Spatial Composition in the Works of Carlo Mollino - Based on the analysis of conceptual investigations and design strategies -)

  • 김일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15-123
    • /
    • 2007
  •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method and strategy of spatial composition in the selective works of Italian architect Carlo Mollino. With the continuos renovation of the interpretative frames and method on modernity and in particular on the spatial phenomenon, works of Mollino, once disregarded by the historiography and evaluated for its peculiarity. emerge as important architectural phenomenons. The intrinsic value in his works also enable to comprehend the complexity and multiplicity of modernit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preposition, six important works were analyzed with three key words,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process and the significance of each work and Mollino's contribution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domestic and public spaces. Evaluation of the spatial strategies in conceptual investigations of Mollino had been underestimated to the relative poor conservation or incomprehension of various work, excluded from the categories of architectural elaborations. This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in the broad sense, the dialectical significance of modernity by emphasizing the aspects of his work related with Surrealism and vernacular tradition, as well as with its relationship with the various spatial disposi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