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gnostic Tool

검색결과 1,003건 처리시간 0.072초

Accuracy of one-step automated orthodontic diagnosis model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lateral cephalogram images with different qualities obtained from nationwide multi-hospitals

  • Yim, Sunjin;Kim, Sungchul;Kim, Inhwan;Park, Jae-Woo;Cho, Jin-Hyoung;Hong, Mihee;Kang, Kyung-Hwa;Kim, Minji;Kim, Su-Jung;Kim, Yoon-Ji;Kim, Young Ho;Lim, Sung-Hoon;Sung, Sang Jin;Kim, Namkug;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19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one-step automated orthodontic diagnosis of skeletodental discrepancies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lateral cephalogram images with different qualities from nationwide multi-hospitals. Methods: Among 2,174 lateral cephalograms, 1,993 cephalograms from two hospitals were used for training and internal test sets and 181 cephalograms from eight other hospitals were used for an external test set.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classification groups according to anteroposterior skeletal discrepancies (Class I, II, and III), vertical skeletal discrepancies (normodivergent, hypodivergent, and hyperdivergent patterns), and vertical dental discrepancies (normal overbite, deep bite, and open bite) as a gold standard. Pre-trained DenseNet-169 was used as a CNN classifier model. Diagnostic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t-stochastic neighbor embedding (t-SNE), and gradient-weighted class activation mapping (Grad-CAM). Results: In the ROC analysis, the mean area under the curve and the mean accuracy of all classifications were high with both internal and external test sets (all, > 0.89 and > 0.80). In the t-SNE analysis, our model succeeded in creating good separation between three classification groups. Grad-CAM figures showed differences in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focus areas between three classification groups in each diagnosis. Conclusions: Since the accuracy of our model was validated with both internal and external test sets, it shows the possible usefulness of a one-step automated orthodontic diagnosis tool using a CNN model. However, it still needs technical improvement in terms of classifying vertical dental discrepancies.

클라우드기반 의료영상 라벨링 시스템 개발 및 근감소증 정량 분석 (Development of Cloud-Based Medical Image Labeling System and It's Quantitative Analysis of Sarcopenia)

  • 이충섭;임동욱;김지언;노시형;유영주;김태훈;윤권하;정창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7호
    • /
    • pp.233-240
    • /
    • 2022
  • 최근 대부분의 인공지능 연구는 AI 모델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인공지능 연구가 모델 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점차 변경되고 이런 추세를 바탕으로 학습데이터의 중요성이 크게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학습데이터의 준비과정이 전체 과정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라벨링 데이터 생성 또한 개발 목적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미충족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라벨링 기능을 갖는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영상의 라벨링 데이터를 정교하고 빠르게 생성하기 위한 라벨링 시스템에 대해서 기술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Back Projection, GrabCut 기법을 이용한 반자동 방식과 기계학습 모델을 통해서 예측한 자동 방식의 라벨링 기능을 구현하였다. 우리는 제안한 시스템의 라벨링 데이터 생성에 대한 수행시간의 장점을 보였을뿐만 아니라 정확성에 대한 비교평가를 통해 우수성을 보였다. 또한 1,000여명의 환자 영상 데이터셋을 분석하여 근감소증 진단에 남성과 여성에 의미있는 진단지표를 제시하였다.

웹취약점 자동진단 개선방안 (Improvement Mechanism for Automatic Web Vulnerability Diagnosis)

  • 김태섭;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25-134
    • /
    • 2022
  •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2020년 기준 전 국민의 91.9%가 인터넷 이용[1]하여 수시로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있다. 정보제공을 담당하는 홈페이지의 수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홈페이지의 안전성을 진단하는 웹취약점 진단 신청수도 매년마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 웹취약점 점검은 진단원이 수작업으로 홈페이지를 모의 해킹하여 취약점을 진단했기 때문에 진단대상 홈페이지 수에 비례하여 진단인력이 늘어나야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웹취약점 진단인력 확보에 한계가 있고, 진단인력을 늘렸을 경우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자동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수동진단의 일부를 대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자동진단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즉, 웹취약점 진단항목의 영향도를 분석하여 자동진단 가능 항목을 도출하고, 실제 운영 중인 홈페이지에 수동 및 자동진단을 수행하여 진단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자동진단 가능항목을 파악하였다. 또한 자동진단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자동진단 도구 개선을 통해 모든 취약점 항목은 아니지만 가능한 항목에 대해서 수동진단을 대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진단 및 정밀진단이 필요한 부분에 집중하여 안전한 홈페이지 운영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편두통의 침도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iveness of Acupotomy for Migraine: A Systematic Review)

  • 전석희;정수민;신정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40권3호
    • /
    • pp.62-78
    • /
    • 2023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impact of acupotomy on migraine through an examination of clinical studies conducted since 2015. Methods :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search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nd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RCTs) related to acupotomy treatment for migraine, utilizing five Korean online databases (OASIS, Science ON, DBPIA, KISS, RISS), as well as four foreign online databases (CNKI,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We identified a total of 10 relevant studies for analysis.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treatment points, combination treatments, treatment cycles or frequencies, evaluation indices, efficacy, and adverse events were analyzed. The risk of bias in the 10 RCTs was assessed using the 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for randomized trials (RoB 2.0). Results : A total of 931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10 studies. In the intervention group, the average duration of migraine morbidity ranged from 15.5±4.5 months to 15.9±4.2 years. Six studies based their diagnoses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ICHD), while five studies relied on Chinese diagnostic criteria. All studies specified the treatment area as the region exhibiting tenderness or induration on the head and neck. Treatment cycles ranged from a minimum of 2 days to a maximum of 1 week, with the number of days per treatment course varied from 5 days to 4 weeks. The diameter of acupuncture needles used varied between 0.3 mm and 1 mm. Of the eight studies specifying needle length, the shortest was 20 mm, and the longest was 40 mm. A total of eight evaluation indices were employed, with total efficacy rate (TER)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being th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ly, all intervention groups showed more significant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in only two studies within the intervention group. Overall, the risk of bias assessment for the selected RCTs ranged from 'some concerns' to 'high risk of bia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acupotomy treatments for migraine were effective.

섬유근통의 통증 및 우울증상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성: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for Pain and Depressive Symptoms in Fibromyalg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이현우;박찬;방태훈;지형민;김종우;정선용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5-113
    • /
    • 2023
  • Objectives: To review studies evaluating effects of acupuncture on pain and depressive symptoms in fibromyalgia. Methods: Quantitative evidences (RCTs)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Literature were searched for a combination of fibromyalgia and depression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CENTRAL), EMBASE, medline (via PubMed), Kmbase, KISS, ScienceON, OASIS, CiNii, CNKI). Quantitative research findings were critically appraised by Cochrane risk of bias (RoB) tool and pooled. Meta-analysis was then conducted using Review Manager (RevMan) 5.4. Results: Eighteen studies were selected.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ACR) classification criteria for Fibromyalgia Syndrome was most frequently used as diagnostic criteria for fibromyalgia. As for outcome measurement,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otal Effective Rate (TER) were used most commonly. Meta-analysis of ten studies revealed that both Depression and VAS scores of the Acupuncture+Western Medicin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Western Medicine group (Depression: SMD, -0.94, 95% CI, -1.17 to -0.70; VAS: MD, -1.51, 95% CI, -1.83 to -1.19). Also, TERs of both Acupuncture group and Acupuncture+Western Acupuncture+Western Medicin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Western Medicine group (OR: 2.38, 95% CI: 1.29 to 4.41; and OR: 7.40, 95% CI: 3.41 to 16.0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or VAS score between the Acupuncture Group and the Western Medicine Group. Conclusions: Acupuncture might be an effective option for pain and depressive symptoms of fibromyalgia when it is combined with Western Medicine treatment. For more accurate results, more type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should be conducted.

A Study on the Domain Discrimination Model of CSV Format Public Open Data

  • Ha-Na Jeong;Jae-Woong Kim;Young-Suk Ch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29-136
    • /
    • 2023
  • 정부는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평가를 진행하여 공공 개방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공공 개방데이터는 XML, JSON, CSV 등 여러 오픈포맷 형태로 제공되며 CSV 형식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CSV 형식의 공공 개방데이터 품질진단 시 품질진단 담당자가 공공 개방데이터 파일의 필드명과 필드 내 데이터에 의존하여 필드 별 도메인을 판단하여 진단한다. 그러나 대량의 개방 데이터 파일을 대상으로 품질진단을 수행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의미 파악이 어려운 필드의 경우 품질진단의 정확성이 품질진단 담당자의 데이터 이해도 역량의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필드명과 데이터 분포 통계를 이용한 CSV 형식 공공 개방데이터의 도메인 판별 모델을 제안하여 품질진단 결과가 품질진단 담당자의 역량에 좌지우지 되지 않도록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고 진단 소요 시간 단축을 지원한다. 본 논문의 모델 적용 결과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파일형식 개방데이터 진단도구보다 2.8% 높은 약 77%의 정답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진단·평가에 제안 모델 적용 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 MMPI-2-RF를 이용하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Suicide Risk : Using MMPI-2-RF)

  • 남지수;김대호;김은경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8-19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인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및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의 감별 시 MMPI-2-RF가 변별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모든 대상자는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정신과적 진료를 내원한 환자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 DSM-5에 근거한 진단을 받았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네 집단(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통제집단으로 일반 정신과 환자)으로 분류하였다. 총 112예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성별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연구 결과, 비임상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에서도 자살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높은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무력감/무망감(HLP), 자살/죽음 사고(SUI), 의기소침(RCd), 인지적 증상 호소(COG), 냉소적 태도(RC3), 역기능적 부정 정서(RC7)와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개인들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할 수 있는 변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자살 시도 집단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이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에 비해 높은 행동화/외현화(BXD), 반사회적 행동(RC4), 공격성(AGG) 등을 보였으나, 자살 사고 집단과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는 MMPI-2-RF가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 자살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세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이 세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도구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나,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해주는 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세 집단 간변별에는 MMPI-2-RF가 진단적으로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시사된다. 다만, 자살 사고 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에서는 통제군인 일반 정신과 환자들에 비해 높은 공격성과 행동화가 나타나, 자살 사고가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지표들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조기변별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상체질별 식이 섭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방건강증진센터 시범운영을 위한 기초연구- (Effect of Diet Regimen of Sasang Constitution on Health Status)

  • 김귀분;조결자;이향련;신혜숙;김광주;문희자;김윤희;강현숙;박신애;지은선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18-31
    • /
    • 2002
  • This study, as a basic research to manage a Chinese Medicine Health Promotion Center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is a before and after experiment research for simple group to verify a difference with cholesterol, health status and perception of health in order to confirm a effectiveness of diet and regimen according to the 4th status of physical constitution. Research object was chosen of 42 persons who operate a physical constitutional dietary regimen among them after selecting professors and clinical nurses (55 persons) majoring in the science of nursing who participated in Chinese Medicine-oriented Nurse Training Course from Aug. of 2001 to Feb. of 2002 all over the country. Diagnostic tools for physical constitution was used of the questionary that is currently consisted of physical constitution grouping test in Eastern & Western Diagnose Center of K Medical Center, and rating of health status was used of the tool that standardized CMI(Cornell Medical Index) to be available for Korean, and perception measurement for health status was used of a visual analogue scale for the health status that each one perceive personally, and physiological status was measured of cholesterol in blood.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by percentage, $X^2$ test, paired t-test according to research object by using SPS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with cholesterol before or after the experiment for objects. As a result of estimation about difference with health status by areas before or after the experiment, there are more improved result in eyes, ears, digestive organs, bones and sinews organs, frequency of a disorder, habit, adaptation status, angry, healthy status than before the experiment. As a whole, after the experiment the health was more improved than before the experiment. As the result to inspect a difference of health percep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 the health perception level was improved than before,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s. 2) As the result to inspect a difference of cholesterol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according to object's physical constitution, in the case of So-yang-in(a person with the minimum male: according to the male and female principles(the sun and the moon)) among the 4th status of physical constitution there was only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however, after the experiment their cholesterol's value was increased. As the result to inspect the difference of health statu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ccording to physical constitution, all of Ta-um-in(a person with maximum the female), So-yang-in(with the minimum male), So-um-in(with the minimum female) had a meaningful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hich means that in all case by physical constitutional groups, after the experiment their health status was more improved than before the experiment. As the result to inspect a difference of health percep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according to physical constitutions, in the case of Tae-um-in and So-um-in, average score after the experiment was risen than before the experiment so that it means that the level of health perception was improved, however, there was no meaning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f continuous diet and regimen by each physical constitutions could be implemented, it is certain that the health could be maintained and promoted. And, what we are healthy is for oneself to feel it subjectively. However, I think that cholesterol score in blood that we can view objectively could be changed distinctly if we can implement a strict diet and regime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a method and period of experiment to be more strict and longer.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1) In order to understand health status by Korean's physical constitutions and to generalize it, these research will be repeated against much more objects that could be selected by proper grouping method to consider a representative. 2) It is necessary for a research to inspect health status by physical constitution by developing a health status measurement tool that has higher confidence and propriety based on physical constitutional theory.

  • PDF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수면의 질 평가와 액티그라프의 역할 (Role of Actigraphy in the Estimation of Sleep Quality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이승희;이진성;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4권2호
    • /
    • pp.86-91
    • /
    • 2007
  • 목 적:활동기록기는 활동도를 기록함으로써 수면과 각성을 판별할 수 있다. 수면다원검사와 달리 활동기록기는 싸고 간편하다. 그러나 뇌파를 포함한 여러 신호를 가지고 수면단계를 판별하는 수면다원검사와 달리 활동기록기는 기술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 수면장애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활동기록기와 야간수면 다원검사간에 수면변수를 비교하였다. 방 법:2004년 1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의학센터에서 수면다원검사와 손목 활동기록법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 89명,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주기성 사지운동증이 동시에 있는 환자 21명이었다. 결 과: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를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ID)에 따라 나누어 분석했을 때 경도(RDI<15), 중등도($15{\leq}RDI$<30) 환자군 및 주기성 사지운동증을 동반한 환자군에서는 활동기록법과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어진 총수면시간 및 수면효율에 차이가 없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심한($30{\leq}RDI$) 환자에서 는 야간수면다원검사에 비해 활동기록법에서 얻어진 총수면시간이 유의하게 짧고 수면효율은 낮았다. 이들 모두에서 활동기록법과 야간수면다원검사에서 측정된 수면변수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은 총수면시간과 활동기록법에서 얻은 총수면시간의 차이와 호흡장애 지수(RDI)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은 수면효율과 활동기록법에서 얻은 수면효율의 차이와 호흡장애 지수(RDI)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심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활동기록기만으로 수면의 질을 평가해서는 안될 것이다. 경도와 중등도의 무호흡증에서는 활동기록기가 스크린 도구로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소아 잠복 결핵 감염 진단에 있어서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와 결핵 특이항원 자극 Interferon-γ 분비능 측정의 비교 (Comparison of a whole blood Interferon-γ assay and A tuberculin skin test for detecting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in children)

  • 전진경;김창기;김현숙;정귀영;인요한;김기환;이택진;전지현;김동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9호
    • /
    • pp.971-976
    • /
    • 2008
  • 목 적 : 결핵 감염 관리에 있어서 잠복 결핵 감염을 찾아 내어 예방적 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은 주요 핵심이다. 결핵에 노출된 소아에서 잠복 결핵 감염 진단을 위해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과 최근 널리 쓰이기 시작한 체외 검사법으로 결핵 특이항원 자극에 의한 T 세포의 $IFN-{\gamma}$ 분비능 측정 (QFT-G IT)이 있다. 잠복 결핵 감염 진단에 있어 두 검사법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 법 : 2006년 10월 1일부터 2007년 4월 30일까지 6개월 간 총 111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투베르쿨린 반응과 QFT-G IT 검사를 시행하였고, 동일 기간 내인 2개월 간 진단 된 성인 결핵 환자 29명에서 동일한 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알아보았다. 결 과 : 결핵 환자와의 가까운 접촉력을 주소로 내원한 무증상의 환자 33명 중 15% (5명)에서 QFT-G IT 검사 양성 소견을 보였고,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은 42% (14명)에서 양성결과를 보여 두 검사 간의 일치율은 낮았다(${\kappa}=0.39$). 성인 결핵 환자에서 QFT-G IT 양성율은 86.2%였고, 결핵균 배양 검사 양성율은 48.2%였다. 배양검사 양성이면서 QFT-G IT 음성이었던 환자는 12.5%였다. 결 론 : 소아에서 잠복 결핵 감염을 진단함에 있어 가족력을 근저에 둔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를 시행하되 접촉력이 불분명하거나 지속적이지 않았을 경우 혹은 BCG 접종 효과로 의심되는 경우 결핵균 특이항원 자극 $IFN-{\gamma}$ 분비능 측정이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 될 수 있을 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으며 향후 수년 간 다 기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