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betic patients

검색결과 907건 처리시간 0.03초

쉘 초콜릿 filling에 사용한 대체 감미료와 커피박이 품질 특성 및 당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ing Artificial Sweeteners and Coffee Grounds in Chocolate Fill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lycemic Index)

  • 강선아;이진숙;정아름;김은하;박선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07-312
    • /
    • 2014
  • 초콜릿에는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열량이 높고 설탕함량이 높은 초콜릿이 많아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들에게 초콜릿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탕을 타가토스나 자일로스로 대체하고 커피박을 첨가한 쉘 초콜릿 filling을 제조하여 쉘 초콜릿 filling의 물리적 특성과 대체 감미료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쉘 초콜릿 filling 내의 설탕 과다 섭취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로는 초콜릿 filling의 수분 함량은 대조군인 설탕군에 비해 타카토스+커피박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퍼짐성도 수분 함량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초콜릿 filling의 색도는 타카토스를 함유한 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명도는 설탕군과 자일로스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색도인 a값과 황색도인 b값은 설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당도는 모든 군에서 약 34-35%를 나타내었나, 당도는 커피박첨가에 관계없이 설탕군이 자일로스나 타가토스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관능검사에서 타가토스군이 향, 단맛, 이물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4가지 검사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자일로즈군, 타가토스군의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60 g의 쉘초콜렛을 섭취한 후 0, 1, 2시간에 혈당변화를 조사하였을 때 타가토스군과 타가토스+커피박군에서 혈당 증가 폭이 가장 낮게 나왔다. 본 연구 결과 타가토스를 감미료로 사용한 쉘 초콜릿 filling이 수분함량, 퍼짐성, 전체적 기호도 및 혈당변화에서 가장 좋은 값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타가토스는 섭취하였을 때 열량과 당지수가 낮으므로, 대체 감미료로 타가토스를 사용해 쉘 초콜릿 filling을 제조하여 쉘 초콜릿으로 제품화 한다면,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들에게 혈당의 큰 상승 없이 쉘 초콜릿을 섭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내독소로 자극된 당뇨환자의 중성구에서 기획성 세포사멸과 과산화수소 분비능 (Neutrophil Apoptosis and $H_2O_2$ Release by LPS in Diabetics)

  • 서기현;나주옥;문승혁;어수택;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3호
    • /
    • pp.250-256
    • /
    • 2004
  • 배 경 : 세균 감염 시 이환율과 사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는 당뇨에서 염증 조직 내 활성 산소 기능과 세균능 감소를 보이는 중성구의 기능 이상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기획성 세포사멸이 중성구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중성구의 기획성 세포사멸은 염증 조직 내I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실제 당뇨병에서 중성구의 기획성 세포사멸과 활성 산소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당뇨에서 내독소 투여시 중성구의 기획성 세포사멸과 과산화수소 분비능을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과 당뇨 환자의 전혈을 뽑아 중성구 만을 추출하여 내독소에 노출시킨 후 중성구의 기획성 세포사멸, 과산화수소 분비능, 생존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결 과 : 정상 중성구는 내독소 투여 후 기획성 세포사멸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상과 비교할 때 당뇨환자의 중성구는 기획성 세포사멸이 감소하였고 특히 내 독소를 투여한 군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과산화수소 분비능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당뇨환자에서 내독소 투여로 인한 중성구의 기획성 세포사멸 감소가 당뇨에서 중증 감염과 높은 사망률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 간호사의 당뇨병에 대한 지식, 중요도 및 인지도 조사 (Research into Clinical Nurses' Knowledge, Importance and Perception of Diabetes Mellitus)

  • 신정섭;박춘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5-10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linical nurses' knowledge of DM and diabetes patient education aptitude so as to provide a basis for clinical nurse training with respect to diabetes patient education program.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of 42 items from the Knowledge on DM and each 16 item from the Importance on the elements of diabetes patient and the Recognition for clinical nurses, respectfully. 166 nurses from a general hospital who had participated in clinical nurse training in Sep. 28 and Oct. 4, 2001 were subject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Analysis has been done by using statistical method such as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Clinical nurses' knowledge levels of diabetes 1) The average level of nurses' knowledge about diabetes is 29.37 (right answer- finding rate: 70%), which is intermediate. 2) Amongst the nurses classified by their knowledge levels about diabetes, the group with less than one year career and that with more than 5 year careers are found to have higher knowledge levels. The item with the highest right answer-finding rate was 'Please find the wrong out of the following examples about foot care'. Meanwhile, the item with highest incorrect answer-finding rate was 'what does blood sugar control aims for amongst gestational diabetes?'. 2. Clinical nurses' importance and perception levels of educational training about diabete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st nurses' importance level about diabetes. 2) Nurses usually had high scores(4.30) in terms of the items related to the importances about educational training. 3) There were quite high recogni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about diabetes, amongst the nurse cohorts working more than one year and less than 5 years, and over 5 years, the group belonging to the internal department, that having the previous experiences of dealing with diabetes, and that having their diabetic relatives and other close people. Meanwhile, strangely, the group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not good at treating diabetes' had a high recognition level of educational training about diabetes. 3.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levels and importance & perception levels of diabetes 1) The higher knowledge about diabetes nurses had, the more importance they recognized. 2) It is foun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diabetes. 3) The more importance about diabetes nurses had, the higher perception they obtained. In conclusio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bout diabetes including technical aspects, in order to upgrade and improve nurses knowledge levels. In addition, re-education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urther, we believe the nurses with high knowledge about diabetes and interests in the provision of educations for patients can be far more confident, and in return, patients can have better self-management about diabetes obtained through education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we would like to make the suggestion: re-evaluation about nurses' knowledge and cognition levels should be carried out after job training programs about diabetes.

  • PDF

PCR-DHPLC를 이용한 한국인 제2형 당뇨환자의 GCK와 HNF-1α의 유전자다형성 분석 (Analysis of the GCK and HNF-1α Gene Polymorphism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by PCR-DHPLC)

  • 남윤형;박대용;박상범;안영창;이상현;조민호;박수민;장원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43-548
    • /
    • 2007
  • MODY는 일반적으로 제 2 형 당뇨의 특수형으로 25세 이전에 발병하며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 며 인슐린 분비장애를 특징으로 한다. GCK와 HNF-1α의 유전자 돌연변이는 제 2 형 당뇨에서 가장 큰 원인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다형성의 연관성을 다양한 분석 방법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GCK와 HNF-1α 유전자의 exon과 exon에 근접한 intron을 실험하였고, 또한 promotor까지 PCR-DHPLC (Polymerase Chain Reaction - Denatur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방법과 direct sequencing 방 법을 사용하였다. 시료는 11명의 환자와 20명의 정상인에서 DNA를 추출하였고 GCK와 HNF-1α의 단일 염기 다형성을 PCR-DHPLC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GCK 유전자에서는 1개(R135G)를 검출하였고 HNF-1α 유전자에서는 2개(I27L, S487N)를 검출하였으며 intron 8에서도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탄수화물 섭취량과 비만과의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 of Carbohydrate intake with Obesity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 박영미;손정민;장학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2권3호
    • /
    • pp.254-263
    • /
    • 2006
  • Background: Type 2 diabetes is occuring in epidemic proportions worldwide and aging has been defined a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the progression to diabetes. High carbohydrates intake increases blood sugar level and obesity in type 2 diabe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hydrate intake and obesity in type 2 diabete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72 patients (male 27, female 45), who had been diagnosed as type 2 diabet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Bundang Hospital. Their anthropometric(height, we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 biochemical(fasting blood sugar, postprandial -2hour blood sugar, HbA1C, C-peptide, insul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body composition were measured. Dietary data were collected by trained interviewers using three non-consecutive food record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55.86$\pm$9.30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disease was 1.9$\pm$1.72 years. The mean fasting blood sugar, postprandial-2hour blood sugar and HbA1C of the subjects were 151.91$\pm$34.65mg/dl, 235.23$\pm$70.74mg/dl and 7.45$\pm$1.13%,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the percent body fat and hip to carbohydrate intake/kg of body weight in obese males (p<0.05). However, the correlation of biochemical factors to carbohydrate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obese and non-obese male. The correlation of anthropometry to carbohydrate intake/kg of body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obese and non-obese females (p<0.05), and other nutrients. We foun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arbohydrate intake and obesity in obese males among type 2 diabetes. The females in type 2 diabetes were affected by several factors rather than energy nutrient intake.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correlation of carbohydrate intake with obesity factor was different in males and females. Therefore, diabetic educators should individualize diabetes nutrition therapy considering the gender.

  • PDF

일부 농촌 지역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가진 성인들의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 (Glycemic Index Recognition and Practice of Low-Glycemic-Index Diet by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in Some Rural Areas)

  • 신새론;한아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2호
    • /
    • pp.104-115
    • /
    • 2014
  • 저당지수 식사는 비만, 당뇨병의 발병 감소 및 심혈관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당뇨병에서 혈당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중요성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일반 성인의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연구 자료가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정상인과 질환을 가진 환자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일개병원 건강증진 센터를 방문한 농촌 지역 사람들을 대상으로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 정도, 교육 참석 의향, 일반적인 지식정도, 저당지수식 실천정도에 관한 내용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당뇨병군이 다른 군에 비해 비교적 잘 알고 있었고, 교육여부도 당뇨병군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당지수와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물었을 때도 당뇨병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옳은 응답률의 비율이 높았으나 당지수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물었을 때는 당뇨병군과 다른 군간의 차이가 없거나 낮은 응답률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당뇨병군을 포함한 모든 군에서 높은 응답률을 보이지 않았다. 평소에 당지수를 고려해서 식사를 하는지와 저당지수식 실천정도를 물었을 때는 당뇨병군이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당뇨병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서는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가 낮고, 당지수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부족하며 당지수를 고려한 식생활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뇨병군에서도 저당지수식의 효과 및 당지수 관련 자세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농촌 지역 당뇨병 환자 뿐 만 아니라 만성질환자나 정상 성인에서도 당지수에 대한 교육이 좀 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Fasting Urine을 사용한 Microalbumin의 참고치에 관한 연구 (Reference Ranges of Microalbumin Using Fasting Urine)

  • 김지영;진광호;배애영;김예나;서상원;이나리;전하영;신숙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8-211
    • /
    • 2006
  • Microalbuminuria is most frequently caused by kidney damage from diabetes. Moreover, many other conditions can lead to kidney damage, such as high blood pressure, heart failure, cirrhosis, or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The measurement of the microalbumin in urine may be useful for the early diagnosis or as a predictor of nephropathy in diabetes. The most common method for getting 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urinary protein relies on a 24-hour urine collection. The result of this method is accurate. But 24hr urine collection is difficult to obtain and variations in volume are frequent. Also the patients complain about urine collection. We tried to measure reference values for microalbumin using fasting urine and compare them with the albumin/creatinine ratio using 24hr urine. The concentrations of microalbumin in fasting urine and 24hr urine were $7.1{\pm}3.8mg/L$, $5.7{\pm}2.9mg/L$ (r=0.61, p=0.27), respectively. The albumin/creatinine ratios using fasting urine and 24hr urine were $8.7{\pm}4.2{\mu}g/mg$, $8.7{\pm}4.0{\mu}g/mg$ (r=0.76, p=0.88), respectively.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easurement of microalbumin in fasting urine was an easy and simple method for early diagnosis or to predict nephropathy in diabetes. Thus, setting up the reference value using fasting urine may be useful in the screening test for the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instead of using the 24hr albumin excretion rate (AER).

  • PDF

EID3 Promotes Glioma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by Inactivating AMPKα1

  • Xiang, Yaoxian;Zhu, Lei;He, Zijian;Xu, Lei;Mao, Yuhang;Jiang, Junjian;Xu, Jiangua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6호
    • /
    • pp.790-800
    • /
    • 2022
  • Objective : EID3 (EP300-interacting inhibitor of differentiation) was identified as a novel member of EID family and plays a pivotal role in colorectal cancer development. However, its role in glioma remained elusive. In current study, we identified EID3 as a novel oncogenic molecule in human glioma and is critical for glioma cell survival, proliferation and invasion. Methods : A total of five patients with glioma were recruited in present study and fresh glioma samples were removed from patients. Four weeks old male non-obese diabetic severe combined immune deficiency (NOD/SCID) mice were used as transplant recipient models. The subcutaneous tumor size was calculated and recorded every week with vernier caliper. EID3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α1 (AMPKα1) expression levels were confirm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ssays. Colony formation assays were performed to evaluate cell proliferation. Methyl thiazolyl tetrazolium (MTT) assays were performed for cell viability assessment. Trypan blue staining approach was applied for cell death assessment. Cell Apoptosis DNA ELISA Detection Kit was used for apoptosis assessment. Results : EID3 was preferentially expressed in glioma tissues/cells, while undetectable in astrocytes, neuronal cells, or normal brain tissues. EID3 knocking down significantly hindered glioma cell proliferation and invasion, as well as induced reduction of cell viability, apoptosis and cell death. EID3 knocking down also greatly inhibited tumor growth in SCID mice. Knocking down of AMPKα1 could effectively rescue glioma cells from apoptosis and cell death caused by EID3 absence, indicating that AMPKα1 acted as a key downstream regulator of EID3 and mediated suppression effects caused by EID3 knocking down inhibition. These findings were confirmed in glioma cells generated patient-derived xenograft models. AMPKα1 protein levels were affected by MG132 treatment in glioma, which suggested EID3 might down regulate AMPKα1 through protein degradation. Conclusion : Collectively, our study demonstrated that EID3 promoted glioma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by inhibiting AMPKα1 expression. Targeting EID3 might represent a promising strategy for treating glioma.

한국인 신경병성 동통 환자의 치료 양태 연구 (Treatment Pattern of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in Korea)

  • 한성희;이기호;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2호
    • /
    • pp.197-205
    • /
    • 2009
  • 신경병성 동통은 진단과 치료가 어려워 환자와 사회전반에 부담이 큰 질병이지만 이와 관련한 국내 보고는 많지 않다. 국내 신경병성 동통 환자의 유병률 연구에 이어 시행된 본 연구에서는 진료일수, 치료비, 수술 및 약제 사용 등의 치료 양태를 조사하고 신경병성 동통의 치료 영역에서 치과의 비중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보험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신경병성 동통 질환(삼차신경통, 당뇨병성 신경병증, 포진후 신경통, 비정형 안면통, 설인신경통, 비정형 치통, 설통)을 주상병으로 하는 환자의 진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뇨병성 신경통이 가장 많이 내원하여 치료받았고, 환자 수는 포진후 신경통, 삼차신경통, 당뇨병성 신경통의 순서로 가장 많았다. 질병별로 각 진료과의 내원일수는 전반적으로 신경과, 신경외과, 마취통증의학과가 주로 많았는데, 특별히 증상 발현 부위가 진료과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과의 내원일수가 높았다. 명세서 건당 치료비를 보면 마취과, 응급의학과가 전반적으로 많았으며, 재활의학과, 가정의학과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치과는 삼차신경통, 비정형 안면통, 비정형 치통에서 다소 높은 치료비를 보였다. 많이 사용된 외과적 술식을 살펴보면 포진후 신경통과 당뇨병성 신경통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교감신경총 및 신경절 차단술, 척수신경말초지 차단술, 뇌신경 및 뇌신경말초 차단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치료약제는 비정형 치통과 설통의 경우 진통소염해열제가 절대적으로 많은 반면, 그 외 질환에서는 항전간제, 진통소염해열제, 정신신경용제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과의 비중이 높은 신경병성 통증은 비정형 치통, 삼차신경통, 비정형 안면통이며, 환자의 수와 치료비의 전체적인 크기로 볼 때에는 삼차신경통의 규모가 치과에서는 가장 크다. 그러나 신경병성 동통 분야에서 여전히 구강내과를 포함한 치과의 역할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치과전문의 제도 시행과 더불어 대국민 홍보와 적극적인 치료 참여를 통해 신경병성 동통 질환, 특히 삼차신경통, 비정형 치통, 비정형 안면통에 대한 치과의 역할과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PET/CT 전신 영상에서 오렌지 주스(Orange Juice)를 이용한 위장 확장 영상의 유용성 (Usefulness of Stomach Extension after Drinking Orange Juice in PET/CT Whole Body Scan)

  • 조석원;정석;오신현;박훈희;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86-92
    • /
    • 2009
  • 현재는 PET/CT의 개발로 기능적인 영상에 해부학적인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좀더 병변의 명확한 구별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CT영상으로 감쇠보정하여 환자 검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오랜 금식으로 위장이 수축되어 있고, 병변이 없는 경우에도 높은 생리적 섭취에 의해 종양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어 종종 추가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검사 직전에 물을 섭취하여 위장을 확장시켜 영상을 얻는 방법이 시도되었지만, 위장에서 짧은 시간에 배출되기 때문에 충분히 확장된 위장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여 경우에 따라, 다시 물을 먹고 추가 검사를 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칼로리, 단백질 함유, 탄수화물 정도에 따라 위장의 배출시간이 다르다는 생리적 특성에 착안하여 시중에서 비교적 구하기 쉬운 오렌지 주스를 이용하여 검사 중 위장 확장 정도와 영상의 유용성을 비교.평가하였다. 2008년 2월부터 10월까지 PET/CT를 시행한 150명의 환자로 섭취를 하지 않았을 때와 물과 오렌지 주스를 먹은 환자 각각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섭취를 하지 않고 검사를 시행한 환자는 남자 25명, 여자 25명으로 연령은 30~71세(평균 연령: 54세)이며, 물(400 cc)을 먹고 검사를 시행한 환자는 남자 25명, 여자 25명으로 연령은 28~71세(평균 연령: 54세)이고, 오렌지 주스(400 cc)를 먹고 검사를 시행한 환자는 남자 25명, 여자 25명으로 연령은 32~74세(평균 연령: 56세)이었다. 환자는 검사 전 6~8시간 금식을 하였고, 당뇨병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8}F$-FDG 370~555MBq를 정맥 주사 후 환자를 1시간 동안 안정된 자세로 유지하였으며, 그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 전신 검사 시작 전 각각 물, 오렌지주스를 섭취하고, 두개골 기저에서 대퇴부 중반까지 영상을 얻었으며, bed당 3분으로 방출영상을 획득하여, 영상을 재구성 하였다. 획득된 영상의 종축, 횡축의 길이를 측정하여 확장 정도를 확인 분석하였다. 위장의 확장된 정도는 관상면(Coronal)에서 섭취를 하지 않았을 때 종축이 $1.20{\pm}0.50\;cm$, 횡축이 $1.4{\pm}0.53\;cm$이고 물을 섭취하였을 때 종축이 $1.67{\pm}0.63\;cm$, 횡축이 $1.65{\pm}0.77\;cm$이었으며 오렌지 주스를 섭취하였을 때 종축이 $3.48{\pm}0.77\;cm$, 횡축이 $3.66{\pm}0.77\;cm$로 나타났다. 횡단면 (Transverse)에서 섭취를 하지 않았을 때 종축이 $2.03{\pm}0.62\;cm$, 횡축이 $1.69{\pm}0.68\;cm$이고 물을 섭취하였을 때 종축이 $5.34{\pm}1.62\;cm$, 횡축이 $2.45{\pm}0.72\;cm$이었으며, 오렌지 주스를 섭취 하였을 때 종축이 $7.74{\pm}1.62\;cm$, 횡축이 $3.57{\pm}0.77\;cm$로 나타났다. 물과 오렌지 주스의 관상면과 횡단면에서 종축과 횡축의 거리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또한 SUV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값은 섭취를 하지 않았을 때 Liver는 $2.52{\pm}0.42$, Lung $0.51{\pm}0.14$, 물을 섭취하였을 때 Liver에서 $2.47{\pm}0.38$, Lung은 $0.50{\pm}0.14$, 오렌지 주스를 섭취 하였을 때 Liver에서 $2.50{\pm}0.45$, Lung은 $0.51{\pm}0.13$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759). 오렌지 주스를 섭취했을 때와 물을 섭취했을 때의 SUV의 차이가 크게 없었으며, 검사 중 위장의 확장 정도는 섭취를 하지 않았을 때와 물보다 오렌지 주스에서 충분히 확장된 영상을 획득하였다. 그러므로 검사 전 오렌지주스를 섭취하여 불필요한 위장의 추가 검사를 시행하지 않아 불필요한 환자의 불편을 줄이고, 오랜 금식으로 인한 환자분들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