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ice ID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9초

항공화물 탑재용기(ULD)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LED-ID와 RFID 기반의 드론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항공화물터미널사례 (An Empiric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rone based on LED-ID & RFID for Effective Stock Management of Unit Load Device - perspective of Air Cargo Terminal Case)

  • 백남진;백남규;이민우;차재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57-161
    • /
    • 2017
  • 항공화물운송용 탑재용기의 효율적 관리는 항공사의 주된 관심사이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방식은 RFID 방식의 TAG을 부착한 상태로 직원들이 PDA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터미널내의 여러 가지 환경상의 제약으로 인해 각 ULD에 장착된 RFID TAG 인식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터미널내의 환경상(시설)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높은 고도에서 각 ULD에 장착된 RFID TAG을 인식할 수 있도록 DRONE에 LED-ID 와 RFID READER를 장착하여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 그의 운영상의 예상효과와 제한 사항,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Ad-hoc 네트워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인증 아이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hentication ID using Identifier in Ad-hoc Network)

  • 문종식;변상구;이임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202-1211
    • /
    • 2010
  • Ad-hoc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의 연결은 신뢰를 기반으로 각 디바이스들간 네트워크망을 구성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임의의 디바이스가 접근하거나 탈퇴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악의적인 디바이스의 접근 및 공격에 대비하여 디바이스 인증 및 보안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는 인증서 및 아이디를 이용한 인증과 대칭키 및 공개키를 이용한 보안기술을 적용하였으나 Ad-hoc 네트워크의 특성상 공유 비밀값을 이용한 기존의 보안기술은 인증 시 디바이스의 오버헤드 및 빠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 통신을 설립하는 두 디바이스간 사전에 공유한 정보 없이 식별자를 이용하여 인증 아이디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키를 설립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인증 아이디를 이용하므로 공유한 비밀정보 없이 상호간의 신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대칭키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에 안전성 및 효율성을 제공한다.

Mobility Support Architecture in Locator-ID Separation based Future Internet using Proxy Mobile IPv6

  • 석승준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09-217
    • /
    • 2014
  • Of several approaches for future Internet, separating two properties of IP address into locator and identifier, is being considered as a highly likely solution. IETF's LISP (Locator ID Separation Protocol) is proposed for this architecture. In particular, the LISP model easily allows for device mobility through simple update of information at MS (Mapping Server) without a separate protocol. In recent years, some of the models supporting device mobility using such LISP attributes have emerged; however, most of them have the limitation for seamless mobility support due to the frequent MS information updates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updates. In this paper, PMIPv6 (Proxy Mobile IPv6) model is applied for mobility support in LISP model. PMIPv6 is a method that can support mobility based on network without the help of device; thus, this we define anew the behavior of functional modules (LMA, MAG and MS) to fit this model to the LISP environment and present specifically procedures of device registration, data transfer, route optimization and handover. In addition, our approach improves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using three tunnels identified with locators between mobile node and corresponding node and using a route optimized tunnel between MN's MAG and CN's MAG. Finally, it allows for seamless mobility by designing a sophisticated handover procedure.

연합 ID를 이용한 u-헬스케어 환경의 환자 인증 모델 설계 (Design of Patient Authentication Model in u-healthcare Environment using Coalition ID)

  • 정윤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05-310
    • /
    • 2013
  • 최근 병원에서는 불치병을 갖고 있는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체내에 장치를 부착하여 환자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체내삽입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헬스케어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병원관계자가 무분별하게 환자의 생체정보를 악용하여 환자의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병원 관계자의 권한레벨에 따라 환자의 생체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연합 ID 기반의 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서로 다른 인증 식별 체계가 사용되고 있는 병원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다수의 ID 정보를 연합하여 병원 간 건강/의료 정보 공유시 불필요한 개인 정보 노출 없이 익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특히, 환자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병원관계자의 악의적 행위에 대해서 환자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접근권한에 대한 레벨을 부여함으로써 제 3자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Device unique identifier인증을 이용한 IP Camera 인증 보안 (IP camera security using device unique identifier authentication)

  • 김지훈;김영길;홍만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2-85
    • /
    • 2018
  • 본 논문은 IP Camera 사용자 인증 시 인증 방법을 향상하는 목적에 있다. 기존 인증은 지식기반 인증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격자의 공격에 ID, PW가 노출되면 IP Camera는 공격자에게서 무방비상태가 된다. 공격자는 IP Camera에 접속하여 실시간 영상과 음성을 획득, 유포하여 2차 범죄로 악용될 수 있고 비밀시설의 설치된 경우 비밀누설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DUI(Device unique identifier)를 이용하여 Device를 식별, 등록하고 IP Camera에 Device를 종속시켜 허가되지 않는 Device의 접근을 막고 허가된 Device만 인증하는 DUI 인증을 제안한다.

  • PDF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OTA(One Time Authentication)키를 이용한 DA_UDC(Double Authentication User.Device.Cross) 모듈 설계 (A Design of DA_UDC(Double Authentication User.Device.Cross) Module using OTA(One Time Authentication) Key in Home Network Environment)

  • 정은희;이병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4B호
    • /
    • pp.419-42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OTA(One Time Authentication)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디바이스 인증 그리고 상호 인증 모듈을 사용하여 공인인증서 비용과 도용문제를 해결하고, 홈 네트워크 사업지석 서비스에 가입할 필요가 없는 이중 인증 기법인 DA-UDC(Double Authentication User Device Cross) 모듈을 설계하였다. 홈 서버는 사용자 아이디, 디바이스 아이디 그리고 세션키를 확인하는 1단계 인증 과정을 통과한 사용자에 대해 OTA키 생성에 필요한 홈서버 공개키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생성한 OTA키를 확인하는 2단계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생성되는 DA-UDC 모듈의 OTA키는 생성될 때마다 변경되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DA-UDC 모듈은 이중 인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아이디 및 디바이스 아이디 노출을 대비하였고 OTA키 사용으로 악의의 사용자로부터 홈 네트워크의 인증 보안을 강화시켰다. 또한, BA-UDC 모듈은 단 1회의 인증 연산 횟수를 가지므로 기존의 인증 시스템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며, 별도의 인증키를 사용하므로 데이터 전송량은 많지만 보안측면에 강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ID 기반 서명 기법을 이용한 IP 카메라 인증 및 키 교환 프로토콜 (IP Camera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Protocol Using ID-Based Signature Scheme)

  • 박진영;송치호;김숙영;박주현;박종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789-801
    • /
    • 2018
  •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IP 카메라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으로 IP 카메라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제조사가 지정한 웹사이트에서 IP 카메라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IP 카메라와 모바일 기기 간 패스워드를 통해 인증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많은 제품은 IP 카메라와 모바일 기기 간 보안채널을 제공하지 않아서 그 두 주체 간 전송되는 모든 ID 및 패스워드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ID 기반 서명기법을 이용한 상호 인증 및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시된 프로토콜의 특징은 (1) ID 기반 서명과 함께 IP 카메라에 내장된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호인증을 수행하고, (2)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과정에서 IP 카메라를 특정할 수 있는 ID 및 패스워드가 노출되지 않으며, (3) 디피-헬만 키 교환을 사용하여 전방향 안정성을 제공하고, (4) 외부 공격자뿐만 아니라 ID-기반 서명의 마스터 비밀키를 가지고 호기심을 가진(honest-but-curious) 제조사에 대해서도 안전성을 가진다.

익명성을 지원하는 ID기반 티켓을 이용한 AAA 메커니즘 (An AAA Mechanism using ID-based Ticket offer Anonymity)

  • 문종식;백창현;이임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87-98
    • /
    • 2007
  • AAA는 기존의 유선망뿐만 아니라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무선망의 WiBro, Mobile IP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및 프로토콜 상에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인증, 인가, 과금 기능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정보보호 기술이다. 현재 무선망에서의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인증, 인가, 과금 표준화를 목표로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기종망간의 로밍 서비스 및 모바일 IPv6 네트워크에서의 AAA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 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OTP와 ID기반 티켓을 사용하며, 홈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더라도 티켓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지속 받을 수 있다. 또한 외부 네트워크에서 티켓을 갱신하여 홈 인증 서버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으며, 익명 ID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Ad-hoc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아이디 기반의 그룹 키 관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oup Key Management based on Mobile Device ID in Ad-hoc network)

  • 강서일;이남훈;이임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40-549
    • /
    • 2009
  • Ad-hoc 네트워크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를 전송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Ad-hoc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안전한 통신을 위해 인증과 암호 키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d-hoc 네트워크에서 인증과 그룹 키 관리의 동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아이디 기반의 상호 인증 및 그룹 키 설립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 방식의 아이디 기반의 상호 인증은 공유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영지식을 이용하고, 세션 키 및 그룹 키를 설립하는데 활용된다. 또한 제안 방식을 Ad-hoc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효율성 및 보안 기술에 대해 안전성을 높인다.

  • PDF

FPGA를 이용한 SAW Device Reader Platform 구현 (SAW Device Reader Platform using FPGA)

  • 손영태;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7-450
    • /
    • 2010
  • SAW Device 라는 Passive 소자는 ID Tag나 소형센서들을 대체할 수 있는 MEMS 기술의 초소형 Device 다. 이 SAW Device를 이용하면 독립된 공간이나 전원이 필요한 센서 제어 등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활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SAW Device를 사용하기 위한 플랫폼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 SAW Sensor는 많은 발전을 해왔지만 SAW Sensor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의 발전은 미흡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AW Device를 측정할 수 있는 SAW Reader를 FPGA를 이용하여 좀 더 간단하고 효율적인 Reader platform을 구현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