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al Perspective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1초

동아시아 맥락에서 바라본 한국에서의 위험경관의 생산 (The Production of Riskscapes in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A Perspective from East Asia)

  • 황진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83-303
    • /
    • 2016
  • 울리히 벡(Ulrich Beck)의 위험사회 개념은 위험을 둘러싼 공간적인 감수성이 부족하면서 특정 위험이 발생하고, 전개되고, 다면적으로 인지되는 역동적인 측면들이 누락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 벡의 위험사회론을 공간적으로 발전시킨 데틀레프 뮐러만(Detlef $M{\ddot{u}}ller$-Mahn)의 위험경관(riskscape) 개념을 소개하고, 이 개념을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이론화를 시도한다.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론의 핵심적인 전제는 적극적인 '국가의 역할(the role of the state)'을 주문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경제성장 및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의 역할이 두드러졌다는 사실은 벡의 용어를 빌리자면 경제성장과 근대화의 댓가로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만들어진 위험들(manufactured risks)'의 형성에 국가가 깊숙이 연루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아시아 근대화와 위험사회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가에 대한 분석이 긴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원전입지정책을 사례로 1) 단기간에 동아시아 경제성장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지배적 사회세력이 지역의 위험은 축소하고, 경제성장의 가치를 지역의 위험보다 우선시하는 국가적 차원의 위험경관을 형성하였음을 밝히고, 2) 또한 다양한 우발적 계기들(정치적 민주화 혹은 대규모 재난의 발생 등)에 의하여 다른 사회세력들이 생산한 위험경관들이 기존의 국가적 차원의 위험경관과 대립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 PDF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ception of Group Hom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orker on Sexually Problematic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임해영;홍영준;전주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75-586
    • /
    • 2019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 6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관한 이들의 인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장애인복지실천 현장에 필요한 유용한 논의점을 제시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과 성인식 2가지 본질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고, 성문제 행동은 '성적 욕구를 과도하게 표출하는 존재', '성범죄로 연결될 수 있는 부적절한 성행동' 2개의 하위주제로, 성인식에서는 발달장애인 성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의 부재', '성적 매력을 갖기에는 불리한 조건', '좌절된 성', '딜레마의 문제',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는 성', '연애와 성관계는 OK, 임신과 결혼은 NO' 라는 6개의 하위 주제로 총 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이 없다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발달장애인의 성규범을 강화하고 재생산해내는 주요 주체로서의 역할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발달장애인의 성규범과 관련하여 가치관 혼란도 함께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성에 대한 종사자들의 고정관념적 시각에 관해 되짚어보고, 그들의 성을 바라보는 시각에 관하여 담론형성의 장과 발달장애들의 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관한 보다 실효성 있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구미공단 형성의 다중스케일적 과정에 대한 연구: 1969-73년 구미공단 제1단지 조성과정을 사례로 (A Study on the Multi-scalar Processes of Gumi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1969-1973)

  • 황진태;박배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7
    • /
    • 2014
  • 본 논문은 1960년대 말과 70년대 초기의 구미공단 조성과정을 다중스케일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흔히 한국의 발전주의 시기 산업화 과정을 "발전주의 국가론"의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국가 스케일의 정치-사회-경제적 과정에 주목하거나, 혹은 국가관료의 계획합리성에 입각하여 설명하는 경향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전략관계적 국가론과 다중스케일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이러한 관점을 비판하면서, 국가 안에서, 혹은 국가를 통해서, 작동하는 다양한 사회세력들이 다양한 공간적 스케일에서 복합적으로 서로 경합하고 타협하면서 산업화와 관련된 국가의 행위들이 결정되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견해를 구미공단이 조성되던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밝힌다. 구미공단 조성과정은 전자산업을 육성하려는 국가관료들의 계획합리성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박정희 대통령의 고향이라는 정치적 이유만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국가의 정치지도자와 관료들의 역할뿐만 아니라, 구미지역에 장소의존적 이해를 가진 로컬 행위자들과 한국과 일본을 오가면서 활동하던 재일교포 사업가, 지역과 국가 스케일에 모두 연결된 지역구 국회의원 등 다중스케일적 행위자의 역할이 구미공단의 조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었음을 이 논문은 밝힌다.

  • PDF

일본의 학부과정 도서관학 교육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University-based Librarianship Education in Japan)

  • 조재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29-249
    • /
    • 2011
  • 본 연구는 일본의 학부과정 도서관학 교육의 형성과정을 문헌 분석을 통해 역사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교육제도적 측면에서 본 일본의 도서관학 교육정책은 2차대전 이전의 정책을 승계한 것인데 반해 미국의 정책은 새로운 유형의 교육모델을 설치하는 것이었다. 1951년 미육군성과 미국도서관협회(ALA)의 계약 체결로 게이오대학에 미국식 도서관학 교육모델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현재 게이오대학 모델은 일본의 도서관학 교육의 주류모델로 성장하지 못했고 이는 결국 미국식 도서관학 교육모델의 도입이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차대전 이후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시기에 미국식 도서관학 교육모델이 도입된 일본에 관한 본 연구가 향후 도서관사 연구영역의 확장 또는 대상국을 확대한 후속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지방의회 발전방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Empirical Study to Local Council Developmental Direction)

  • 최호택;정석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94-202
    • /
    • 2012
  • 이 연구는 지방의회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행태학적 관점에서 경험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의회의 본질적 역할(주민대표, 견제, 입법기능)에 대한 평가결과 주민들은 대체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정활동과 행정변화의 체감에서도 큰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회활동의 세부평가결과 주민들은 주민의견수렴, 의견수렴전담부서 등이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의회의 발전적 평가에서는 전문성확보를 위해 외부전문가 도입과 주민참여활성화제도의 확립이 중요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의회의 발전을 위해서 의회가 주민들과 소통과 타협을 통해 책임성 있는 역할이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방의회의 발전방향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으로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Exploration 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Composites Painting in the Contemporary Art Ecology

  • Wang Jing J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232-240
    • /
    • 2023
  • The ecological expression of art in modern society takes the harmonious development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as an element and combines it with the various manifestations of painting as an expression of ecological artistic development. The necessary relationship for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nature is accurately articulated, and the ecological changes in people are expressed in integrated materials that inspire human reflection. In the pursuit of material pleasures, mankind is neglectful and indifferent to the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composite painting in art and ecology is a process that more reveres the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as well as satisfying the creative value of the work. After systematic evaluation and research, people have engaged in various structural forms of composite art painting development in the long history of art development, focusing on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ulture. In the process of nature education going through development, the comprehensive practical development of nature education is enhanced and efforts are made to feel new ecological art ideas and new ways of valuing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is paper, an observational study of eco-art will be carried out, starting from the theory of hierarchical division and analyzing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Recognize nature, understand it and feel it through eco-art painting. The analysis of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s combined with the identification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at give value to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public, and the combination of ecological painting and nature art to achieve an upgrade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idea of the value of painting. In the development of artistic ecological comprehensive painting, it is necessary to put forward technical requirements and standards that meet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ecological painting. The author of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and social value of artistic ecological painting creation from the artist's point of view, expounds the practical achievements of ecological pain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and present situation of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aesthetics at home and abroad, and gives the concept and creative method of contemporary art comprehensive material painting in combination with his own actual situation.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Happiness Determinants for Korean Adolescents)

  • 전경숙;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133-1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들의 행복을 구성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2개의 경험적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1에서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155명의 고등학생에게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상황을 기술하도록 했다. 그 응답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물질적 측면에서는 경제, 건강, 외모, 심리적 측면에서는 자아 관련 내용, 휴식 및 여가 그리고 종교, 사회적 측면에서는 가족, 이성친구, 동성친구 등 다양한 대인관계 및 사회적 성취의 내용이 들어있었다. 연구 2에서는 이러한 반응에 기초하여 행복을 측정하는 문항을 구성하여 450명의 고등학생들로부터 양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총 10개의 행복구성요인(가족관계, 개성, 성적, 종교, 이성친구, 외모, 자기발견, 경제력, 우정관계, 심리적 여유)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요인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존의 중년기 및 노년기에 관한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 PDF

품질속성의 트레이드오프 분석을 통한 아키텍처 패턴 추천 방법 (An Architectural Patter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a Quality-Attributes Trade-off Analysis)

  • 박현주;이석원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2호
    • /
    • pp.148-162
    • /
    • 2017
  • 아키텍처는 시스템의 품질 속성과 요구사항 그리고 비즈니스 목적 달성을 위해 이루어지는 중요한 설계 결정들의 집합으로 현재 소프트웨어 공학 프로세스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지는 과정 중 하나이다. 최근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는 컨텍스트와 개발 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복잡한 요구사항을 다루고 시스템의 품질 속성을 달성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아키텍처 설계가 많은 부분에 있어 아키텍트의 직관에 의존하고 있으며 재사용 가능한 아키텍처 패턴을 설계에 적용할 때 패턴 스키마가 통일되지 않고 사용자 관점에서 표현되어지지 않아 비교 분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아키텍처 패턴을 사용자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품질 속성 요구사항과의 간격을 줄여주는 새로운 스키마를 제안한다. 또한 스키마로 재구성한 패턴 모델을 이용해 아키텍처 설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인 품질속성이 설계 결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트레이드 오프를 고려한 패턴 추천 방법을 제안 한다.

한국의 국가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연구를 위한 시론 (Seeing the State-nature Relation in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logy)

  • 황진태;박배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48-365
    • /
    • 2013
  • 본 논문은 국가와 자연이 각각 독립적이고, 자연을 인간의 손길로부터 떨어져 신성한 것으로 간주하는 근대적 인식을 비판하는 "국가-자연의 정치생태학" 논의를 차용하여 한국에서 나타나는 국가와 자연의 복잡성을 관계적, 과정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내사회과학에서의 국가와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생태주의, 신진대사균열론, 자연의 사회적 구성론, 녹색국가론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들 논의에서 국가와 자연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누락되었음을 지적한다. 이어서 대안적인 관점으로 국가-자연의 정치생태학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끝으로 국가-자연의 정치생태학적 접근이 한국의 자본주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 PDF

장례문화 인식과 웰엔딩의 실천과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Awareness of Funeral Culture and Well-Ending and Policy Implications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City-)

  • 이필도;김혁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67-75
    • /
    • 2018
  • 장례문화는 화장위주의 장례방법 개선에서 죽은 자의 복지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장례문화는 미래지향적으로 재조명해 보고, 웰엔딩(well-ending)과 연계한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장례문화 변화과정과 서울시 장례문화의 문제점 진단을 통해 웰엔딩의 실천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장례문화 의식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웰엔딩은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해 주고 죽음문화를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웰엔딩 문화의 체계적인 접근은 죽음의 질적 개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령사회에 부응하는 장례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장례문화에 대한 패라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웰엔딩 준비 교육은 죽음을 맞이하는 당사자 뿐 만 아니라 살아있는 가족들에도 삶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 그리고 장사시설은 모든 세대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 복지시설로 확충될 수 있도록 우리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