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erioration Condition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27초

저장조건에 따른 생강의 품질변화 (Changes of Quality in Ginger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 정문철;이세은;남궁배;정태연;김동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24-230
    • /
    • 1998
  • 생강의 적정 저장 온ㆍ습도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7, 12, 2$0^{\circ}C$의 온도와 75%, 85%, 95%의 상대습도에서 각각 저장하면서 생강의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7$^{\circ}C$와 2$0^{\circ}C$에서 습도조건별로 저장한 생강에서는 각각 저온장해 현상과 발아현상으로 인하여 품질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이들 온도구에서는 습도의 영향은 비교적 크지 않았다. 7$^{\circ}C$에서는 저장 30일부터 곰팡이 발생, 위조현상 등 저온장해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90일경 상품성을 소실한 반면 2$0^{\circ}C$에서는 저장 30일 이후부터 심한 발아와 조직연화 및 곰팡이 발생 등으로 상품성을 완전 소실하였다. 그러나 12$^{\circ}C$에서는 상대습도가 75%인 경우에는 7$^{\circ}C$의 저장 생강과 유사할 정도로 품질변화가 크게 나타난 반면, 95%RH에 저장한 생강에서는 중량감소율, 부패율, 발아율 등의 모든 품질적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생강의 저장조건으로서는 12$\pm$1$^{\circ}C$, 95$\pm$2%RH의 온ㆍ습도 조건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열처리된 Pine/탄소섬유 복합재료의 기계적 및 계면물성 향상을 위한 최적 조건 (Optimum Conditions for Improvement of Mechanical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rmal Treated Pine/CFRP Composites)

  • 신평수;김종현;박하승;백영민;권동준;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41-246
    • /
    • 2017
  • 취성을 가진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충격을 받을 때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섬유와 기지재 간 계면에서 탈착 및 박리가 일어난다. 이는 복합재료의 에너지 충격흡수정도의 지표로 삼을 수 있다. 복합재료의 취성을 해결하기 위해 pine과 복합재료의 접착에 대한 연구가 되어 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열처리 된 pine이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와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었다. 최적의 열처리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pine을 160도 및 200도 조건하에 열처리를 하였다. Pine 및 pine/탄소섬유복합재료의 기계적 및 계면물성을 파악하기 위해 인장, 인장중첩전단 및 아이조드 실험을 하였다. 또한, 열처리에 따른 나뭇결간의 결합력을 확인하기 위해 나뭇결 수직방향으로 인장시편 제조 후 파단될 때 탄성파를 음향방출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60도 조건으로 열처리 했을 때 나무강화 효과로 기계, 계면 및 나뭇결간의 결합력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과한 열을 주게 되면 열에 약한 헤미셀룰로오스가 분해되면서 잡아주는 인자가 줄어들어 물성이 감소하였다.

확률.신뢰도 기법을 적용한 CFRP 플레이트 표면매립보강 콘크리트 철도교의 임계보강비 산정 (Critical Strengthening Ratio of CFRP Plate Using Probabi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Concrete Railroad Bridge Strengthened by NSM)

  • 오홍섭;선종완;오광진;심종성;주민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681-688
    • /
    • 2009
  • 철도교량은 일반적으로 공용기간동안 진동과 충격에 의한 구조적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내하력 증진을 위한 보강성능 검토 시 철도교에 작용하는 외부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보강성능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철도교의 공용 중 진동 및 충격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보강공법으로써 NSM 보강공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 탄소섬유외부부착 공법에 비해 부착성능 및 보강성능이 우수한 공법이다. NSM 보강공법은 현재 다양한 실험적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실교량으로의 범용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보강설계에 필요한 합리적인 보강비 산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재료적 및 기하학적 불확실성이 반영된 확률 신뢰도기반 NSM 보강비 산정방법을 제안하여 임계보강비를 산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onte Carlo Simulation(MCS) 기법으로 도출된 재료 및 단면치수에 대한 불확실성 특성을 내부저항모멘트 설계식에 반영하여, 외부활하중의 불확실성 특성이 반영된 외부하중모멘트에 대한 안전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목표신뢰성지수 3.5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CFRP 플레이트의 임계보강비를 산출하였다.

토양수분조건 및 화학물질처리가 오이묘의 저온장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oisture and Chemical Application on Low Temperature Stres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Seedling)

  • 남윤일;우영회;이관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7-384
    • /
    • 2006
  • 오이묘가 저온피해를 입기 전, 후 토양수분조건과 몇 가지의 화학물질처리가 오이묘의 냉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토양수분 -0.3bar 적습상태에서 07:00시에 $2^{\circ}C$로 저온처리를 했을 때, 생존율은 28.3%이었으나 -5.5bar에서는 83.3%로 높아져 토양수분이 건조하면 저온피해가 감소되었다. 그러나 18:00시에 저온처리하면 -0.3bar에서도 생존율은 87% 이상이었다. 토양수분이 건조하면 엽신의 ABA함량은 크게 증가되었다. 저온처리 전, 후 ABA의 토양 및 엽면처리는 오이묘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세포의 전해질 누출량도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수량의 감소를 경감시켰다. 또한 ABA 처리는 저온처리 후보다는 저온처리 전에, 엽면처리보다는 토양에 처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었다. ABA($10^{-5}M$)와 더불어 요소(0.2%)와 $KH_2PO_4$의 엽면살포는 오이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저온피해를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경상북도 안강 행주 기씨 묘 출토 직금단 치마와 저고리 보존처리 - 직금단 편금사의 금박 재접착을 중심으로 - (Conservation of Golden Decorative(Jikgeumdan) Jeogori and Chima of Costumes Excavated from Hangju Gi' Tomb of Angang, Kyungsangbukdo Province - Re-adhesion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

  • 오준석;노수정
    • 복식
    • /
    • 제57권9호
    • /
    • pp.67-7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erve of golden decoration(Jikgeumdan) of Chima(skirt) and Jeogori(Korean jacket) of the costumes excavated from Hangju Gi' tomb(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1392{\sim}1910)$ and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onservation skill to prevent flakings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Up to the present, in case of golden decorations of costumes excavated from tombs of Joseon dynasty, some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of costumes were flaked away by deterioration of adhesives in tombs. However, most of gold leaves were flaked away and totally lost by wet cleaning for eliminating contaminants after excavation. In order to prevent flaking, preliminary experiments for re-adhesion of gold leaves have been carried out. Firstly,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gold leaf which was available in the market. Adhesives used in this research were water-soluble adhesives(hide glue(cow, rabbit), glue made from air bladders of sciaenoid fish and Primal AC-3444 of acrylic emulsion) and solvent-soluble adhesives(acrylic adhesive Paraloid B-67 and B-72). Because of difficulty in wetting and spreading of adhesive solutions into the interface between gold leaf and Korean paper, water-soluble adhesives were not proper for adhesion of gold leaf and Korean paper. Solvent-soluble adhesives were easily infiltrated into interface between gold leaf and Korean paper and the adhesive force was also satisfied. From this result, the researchers chose more flexible Paraloid B-72$(Tg\;40^{\circ}C)$ 1% solution than Paraloid B-67$(Tg\;50^{\circ}C)$ for adhesion of gold leaf and Korean paper. Secondly, using Paraloid B-72 1% solution, the estimations of re-adhesions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of Jeogori were carried out. When Paraloid B-72 1% solution was injected three times into the interface between gold leaf and Korean paper, the re-adhesion was most effectiv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these preliminary experiments, re-adhesions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of Chima and Jeogori were carried out on condition of three times injections of Paraloid B-72 1% solution before wet cleaning. After wet cleaning, the most of the gold leaves were survived, which was confirmed by both the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 and the microscopic examination.

Neonicotinoid 살충제 중독환자의 임상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Neonicotinoid Insecticide Poisoning)

  • 김진철;소병학;김한준;김형민;박정호;최세민;박규남;최경호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4-29
    • /
    • 2010
  • Purpose: Neonicotinoid insecticides are widely used as they have been proven by experimental studies to have low toxicity to mammals, including humans. As the use of neonicotioids increase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neonicotinoid poisoning has also increased. We conducted a study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neonicotinid poisoning.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atients who ingested neonicotinids and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located in Korea from March 2002 to February 2010. We reviewed the patients' age, gender, the amount of exposure, the elapsed time to presentation, the treatment and the outcome. According to the poisoning severity score, we divided the patients with a Poisoning severity score (PSS) of 0 or 1 into the mild/moderate toxicity group and the patients with a PSS of 2 or 3 into the severe/fatal toxicity group. Results: A total of 24 patients were analyzed. The most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s of neonicotinoid insecticide toxicity were gastrointestinal symptoms (66.7%) such as nausea, vomiting and abdominal pain and the others are respiratory symptoms (16.7%), cardiovascular symptoms (12.5%), metabolic imbalance (12.5%), renal dysfunction (8.3%), CNS symptoms (8.3%), and asymptomatic (29.2%). Twenty patients (83.3%) showed mild/moderate toxicity and 4 patients (16.7%) showed fatal conditions such as shock and mutiorgan failure. The mortality rate was 4.2%. In these fatal cases, the patients developed respiratory failure, hypotension, altered mentality and renal failure at the acute stage and they deteriorated to a more serious condition. This severe toxicity was caused by decreased renal excretion of neonicotinid metabolite, and this was improved after hemodialysis. Conclusion: Most patients with neonicotinoid poisoning and who showed mild toxicity usually improved after symptomatic treatment. However, som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toxicity with respiratory failure and renal function deterioration, and intensive care needed, including mechanical ventilation and hemodialysis.

  • PDF

고선량 감마선 조사가 즉석 취식용 양념 돼지 갈비 구이의 저장성 및 지질 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Dose Gamma Irradiation on Shelf Stability and Lipid Oxidation of Marinated and Precooked Pork Rib Steak)

  • 이주운;박재남;김재훈;박진규;김천제;김관수;변명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1-477
    • /
    • 2006
  • 본 연구는 사막이나 우주 등 극한 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즉석 양념 돼지 갈비 구이의 저장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고선량 조사 적용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즉석 양념 돼지 갈비 구이를 제조하여 진공 포장한 후 10, 20, 30, 40 및 50 kGy로 조사하고 $35^{\circ}C$에서 가속 저장하면서 미생물 생육과 지질 산패도를 평가하였다. 가열처리에 의해 약 3 Log CFU/g의 미생물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완전 사멸시키지는 못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해 저장 초기 미생물 생육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10, 20, 30 kGy조사구에서 저장4일, 7일, 14일에 미생물 생육이 관찰되었다. 오염 미생물의 최대성장률 예측 결과에서 비조사구, 10, 20, 30 kGy 감마선 조사구의 최대 성장률이 1.13, 0.60, 0.52, 0.18 Log CFU/g/day로 나타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초기 미생물 감소가 저장성 증진에 크게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가속 저장 중 malondialdehyde 함량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특히 감마선 조사에 의해 심한 지질 산화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선량 조사 적용시 품질 변화 없이도 육가공품의 완전멸균을 위해서는 다양한 식품 가공 방법과의 병용 처리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정보기술을 활용한 도로면 크랙실링 작업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Pavement Crack Sealing Using IT)

  • 변웅호;오세욱;이정호;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13-618
    • /
    • 2006
  • 최근 국내 ${\cdot}$ 외적으로 크랙실링 공법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 개발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예방적 차원의 크랙실링 공법의 활용을 통해 도로의 장 수영화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도포 유지관리 시점 및 유지 보수된 구간정보, 작업 수행 결과 등과 같은 크랙실링 관련 이력정보가 체계적으로 수집 ${\cdot}$ 축적될 수 있는 관리체계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크래실링 관련 기술개발 동향은 크랙실링 공법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고, 작업 완료 후 이력정보의 수집과 축적을 위한 관리체계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크랙실링 작업 관련 정보 습득의 어려움 및 경영 분석과 성과측정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 구축 미흡, 수집된 정보의 신뢰성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정보기술을 크랙실링 작업관리에 활용함으로써 크래실링 작업 시 발생되는 작업정보를 신속 ${\cdot}$ 정확하게 수집 및 축적하고 작업 주체간의 업무와 정보 교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PDA 및 웹 기반 크랙실링 작업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야외 청동 조각작품의 보존과 재질특성 연구 - 김찬식 '정(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ervation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Outdoor Bronze Sculpture : Kim Chan Shik's 'Feeling')

  • 권희홍;김예승;김범준;최남영;박혜선;김정석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5-165
    • /
    • 2017
  • 공공 예술 조각품과 야외 조형물에 대한 관심과 함께 미술품 보존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야외 조각작품의 경우, 장기간 대기 중에 노출되어 대기오염물과 자연재해 등의 이유로 부식과 열화 등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국립현대미술관 야외조각공원에 전시중인 김찬식의 '정' 역시 부식으로 인해 작품표면의 파티나층이 손상되었다. 따라서 상태조사, 표면연마, 재파티네이션, 왁스코팅 등의 보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원형에 가까운 복원을 이룰 수 있었다. 작품의 재질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구리, 주석, 아연, 납으로 주조된 미술 공예용 청동임을 확인하였다. 작품 표면연마 후 관찰되는 용접, 균열, 밝은 얼룩의 재질 특성 중, 용접부위는 바탕금속보다 구리를 제외한 나머지 주요원소의 함량이 비교적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 밝은 얼룩은 주석과 납의 함량이 13.0 wt%, 10.5 wt%로 바탕금속(주석: 7.0 wt%, 납: 4.4wt%)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미세조직 관찰결과, 작품의 제작은 열처리를 비롯한 인위적인 가공이 가해지지 않은 주조기법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일시다획성 적색육어류를 이용한 중간식품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2. 저염 고등어 Fillet의 가공 (Processing of Ready-to-Cook Food Materials with Dark Fleshed Fish 2. Processing of Ready-to-Cook Low Salt Mackerel Fillet)

  • 이병호;이강호;유병진;서재수;정인학;최병대;지영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09-416
    • /
    • 1985
  • In previous paper (Lee et al., 1983) processing method of sardine meat "surimi" was described as a part of the wort to develop new types of ready-to-cook food materials with dark fleshed fishes. As the other part of the work, processing of low salt mackerel fillet was investigated, in this paper, in which fresh mackerel was filleted, salted in brine or with dry salt for an adequate time until the expected salt concentration reached, washed, air dried (3 m/sec, 15 to $20^{\circ}C$), and finally packed individually in K-flex film bag by vacuum or $N_2$ gas substitution. Salting time and salt concentration of brine was decided by the salt level penetrated into the fillet. As the final salt level was fixed to 4 to $5\%$, salting for 20 hours with $10\%$ dry salt or in $15\%$ brine at $5^{\circ}C$ was enough to get that level of salt. If the final salt level was set 5 to $6\%$, salting for 20-24 hours with $15\%$ dry salt or in $20\%$ brine was adequate. Salt penetration, however, was not much influenced by salting method and temperature. Changes in VBN and salt soluble protein occurred more rapidly in cases of salting with dry salt at $20^{\circ}C$ than salted in brine at $5^{\circ}C$, al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period of 20 to 24 hours. Oxidation of lipid and histamine formation during salting at $20^{\circ}C$ could not be neglected if it was delayed loger than 25 hours. Insolubilizing the salt soluble proteins during the storage of salted fillet occurred rapidly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Browning and histamine formation, however, was depended on temperature and packing condition. In case of air pack, deterioration by browning and rancid was deeply developed but not the case for the packs by vacuum or $N_2$ gas substitution. The shelf-life of the salted mackerel fillet based on panel scores of brown color and rancidity, appeared 21 days for the air packed, and more than 30 days for vacunm or $N_2$ gas packed fillet at $20^{\circ}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