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sks/Chair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학교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안전 관리구조 실태 조사 -서울시 일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The Research on the effect of School Safety Management System on Accident in School -Based on study of high schools in Seoul-)

  • 박지은;이명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7-72
    • /
    • 2002
  •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Schools have the possibility of unanticipated accidents, however, and the rate of accidents in schools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accidents that arise in schools as well as the school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by analyzing affects that school safety management system has on accidents in schools, to come lip with a preventive plan. 906 high school sophomore students attending in Seoul were surveyed 1Tom November 12th to 23rd 2001. The results were following: 1. Students surveyed comprised of the following: Male 48.9%, Female 51.1% Public Schools 32.6%, Private Schools 67.4% Boys Schools 48.9%, Girls Schools 51.1% 2. In the past year, male students had more accidents(p〈.05) in school. 3. In examining students safety management control, 94.0% said that, there is an infirmary,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playing fields and pathways(74.8%), and the chemicals in the labs are kept in a safe manner(77.2%). The above items were generally well maintained. However, the following recorded low scores. There are warning signs in hazardous places and facilities(30.5%), There is guiding principle to examine the safeness on a regular basis(24.9%), and There are slogans and posters preventing accidents(40.3%). 4. In examining the facilities of the schools that were surveyed, the majority answered, yes to the following. There are hazardous facilities or materials at school(62.9%), There are sharp edges in educational supplies and equipment(59.8%), There are nails or other components that are sticking out of desks and chairs(75.9%), There are slippery spots in the corridors and classrooms(69.3%), There are stones, scrap metal, broken glass, and trash on the playing fields(66.6%). Furthermore, the students surveyed said, yes to the following although in low percentages. The amount of sand on the playing fields is sufficient(49.1%), The soccer and basket goal posts are fastened (53.7%), There are safety bars on the windows of classrooms and corridors (27.4%), There are safety mats on the entrance to restrooms preventing slips (14.2%), The stairs have slip protection measures(49.1%). 5. In analyzing the affect that the school safety management system has on accidents in school, schools that had slogans and posters preventing accidents had a 50% less chance of accidents(p〈.05), schools with chemicals and equipment in the labs that were safely maintained had an 80% less probability of accidents(p〈.0l), and the schools that had sharp edges in the educational supplies and equipment had an 80% greater chance of accidents(p〈.01).

교육시설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Investigation for the Fire Risk Assessment of Education Facilities)

  • 이성일;함은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51-364
    • /
    • 2021
  • 연구목적: 교육시설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를 위하여 화재하중 분석하였다. 사전조사로 화재하중을 산정하기 위해 학교시설의 화재하중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 기초자료는 화재하중의 정의 및 종류, 화재하중 산정을 위한 연소열 데이터 화재하중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진행하였고 화재하중 산출시 구획실에 존재하는 가연물 중량에 해당 연소열을 곱하여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A 초등학교의 고정가연물은 교실, 음악실, 교무실은 정서나 안전을 고려하여 바닥이 주로 목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나머지 구획실은 석재로 이루어졌다. 천장과 벽은 석고보드, 콘크리트로 되어있어 가연물에 속하지 않았다. 각 실별로 대표적인 적재가연물은 교실은 책상, 의자, 사물함 등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실은 실험기구함, 실험도구함이 주를 이루어었으며 도서실은 책과 서가, 열람기구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론: A 초등학교의 적재가연물에 따른 적재화재하중은 도서실, 컴퓨터실, 영어학습실, 교무실, 일반교실, 과학관, 음악실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회 교육공간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환경구성 (A Study on the Christian Learning Environmental Arrangement in Church Educational Space)

  • 우지연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2권
    • /
    • pp.313-334
    • /
    • 2020
  • 교육의 한 요소로써 교육공간은 교육의 목적과 분리될 수 없다. 교육공간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통로일 뿐 아니라 교육내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 그 자체이다. 이는 교사와 학생, 교육내용, 방법만 가지고는 충실하게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이를 수행하고 대변할 수 있는 교육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공간에 대한 문제는 간과하기 쉬운 주제이고 이를 재정이나 교회 규모에 관한 쟁점으로 미뤄두고 있다. 교회 교육공간은 신앙이 잉태되고 자라는 영적 발달과 경험이 일어나는 곳이다. 그러나 현실은 학교 교실 공간의 배열과 구조가 가진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며 교회 교육공간을 학습자 중심으로 구성한다고 할지라도 획일적이고 일반적인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실과 비슷한 교회 교육공간은 의자, 책상 등의 가구 배열이나 물리적 형태의 기본환경이 유사하다. 이는 지식전수, 획일주의 등의 목적에 적합하게 기획된 것이므로 교회 교육공간은 이를 지양해야 한다. 인간은 공간에서 태어나고 죽을 뿐 아니라 하나님과의 만남도 공간에서 일어난다. 그리고 하나님과의 교통은 인간에게 공간적 회심을 일으켜 방문하는 곳이 달라지게 한다. 그래서 교회의 교육공간이 학교 교실보다 더 세심하고 포괄적이어야 하는 것은 교회공간이 물리적, 교육적, 심리적, 사회적, 예술적 목적을 추구하는 학교와 달리 이 모든 것에 예전적 요소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적 환경구성은 교회를 방문하는 사람에 대한 공간적 배려, 기독교 예술작품이나 상징물 등을 배치함으로 신앙교육의 환경 조성, 공간이 지닌 기독교적 정체성인 예전성을 통해 기독교적 공간의 특성을 추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신앙 발달을 위한 공간의 역할이 있음을 강조하고 내·외재적 교육환경의 변화를 추구함으로 공간문제에 교육적 관심을 기울이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